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폴더블 전극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 기술번호 : KST2022015380
  • 담당센터 : 부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1-606-6561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폴더블 전극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 섬유 기반의 기재; 및 상기 기재에 코팅된 기능성 물질; 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물질은, 활물질; 및 금속 나노와이어, 탄소 나노와이어 및 탄소나노튜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폴더블 전극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Int. CL H01M 4/13 (2010.01.01) H01M 4/131 (2010.01.01) H01M 4/136 (2010.01.01) H01M 4/80 (2006.01.01) H01M 4/74 (2006.01.01) H01M 4/66 (2006.01.01) H01M 4/139 (2010.01.01) H01M 4/1391 (2010.01.01) H01M 4/1397 (2010.01.01) H01M 4/04 (2006.01.01) H01M 10/058 (2010.01.01) H01M 10/0525 (2010.01.01)
CPC H01M 4/13(2013.01) H01M 4/131(2013.01) H01M 4/136(2013.01) H01M 4/806(2013.01) H01M 4/747(2013.01) H01M 4/661(2013.01) H01M 4/663(2013.01) H01M 4/667(2013.01) H01M 4/139(2013.01) H01M 4/1391(2013.01) H01M 4/1397(2013.01) H01M 4/0419(2013.01) H01M 4/043(2013.01) H01M 10/058(2013.01) H01M 10/0525(2013.01) H01M 2220/30(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90061028 (2019.05.24)
출원인 울산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10-2203959-0000 (2021.01.12)
공개번호/일자 10-2020-0135648 (2020.12.03)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210119)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05.24)
심사청구항수 1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울산과학기술원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울주군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송현곤 울산광역시 울주군
2 황치현 울산광역시 울주군
3 송우진 울산광역시 울주군
4 박수진 울산광역시 울주군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무한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역삼동,화물재단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울산과학기술원 울산광역시 울주군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05.24 수리 (Accepted) 1-1-2019-0532901-60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0.01.29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0.03.13 수리 (Accepted) 9-1-2020-0009863-66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7.03 수리 (Accepted) 4-1-2020-5148444-43
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8.20 수리 (Accepted) 4-1-2020-5186266-03
6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0.08.2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567824-11
7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0.10.20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0-1109724-11
8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0.10.20 수리 (Accepted) 1-1-2020-1109725-67
9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0.10.22 수리 (Accepted) 1-1-2020-1120272-90
10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21.01.0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1-0018369-51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마이크로 섬유 기반의 기재; 및 상기 기재에 코팅된 기능성 물질; 을 포함하고,상기 기능성 물질은, 활물질; 및 금속 나노와이어, 탄소 나노와이어, 탄소 섬유 및 탄소나노튜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상기 기재는, 1 um 내지 20 um 기공 크기, 20 % 내지 60 % 다공도(porosity) 및 10 um 내지 30 um 두께를 포함하고,상기 기재는, 50 도 이하의 접촉각의 액체 젖음성을 갖고,상기 기능성 물질은, 탄소 나노와이어, 탄소 섬유 및 탄소나노튜브 중 적어도 하나; 및 활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탄소 나노와이어, 탄소 섬유 및 탄소나노튜브 중 적어도 하나: 기재: 활물질은, 1:1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폴더블 전극 구조체는, 상기 기재에서 1 mg/cm2 이상의 기능성 물질의 로딩 밀도(loading density)를 갖는 것인,폴더블 전극 구조체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기능성 물질은, 상기 마이크로 섬유와 감기거나 또는 웹(webbed)되어 3차원 그물망 네트워크에 의한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3차원 그물망 네트워크 내에 상기 활물질이 트랩(trap)되고, 상기 기능성 물질은, 상기 기재의 두께의 10 % 이상의 두께로 코팅층을 형성한 것인, 폴더블 전극 구조체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기능성 물질은, 상기 기재의 두께 방향의 10 % 이상으로 함침된 것인, 폴더블 전극 구조체
5 5
삭제
6 6
삭제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기능성 물질은, 흑연 입자, 팽창 흑연 입자, 하드 카본 입자, 소프트 카본 입자, 그래핀, 아세틸렌 블랙 및 케첸블랙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탄소계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인, 폴더블 전극 구조체
8 8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금속 나노와이어는, 전이금속, 귀금속, 희토류 금속, 이들의 산화물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폴더블 전극 구조체
9 9
삭제
10 10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기재는, 1 um 내지 100 um의 직경의 마이크로 섬유를 포함하고,상기 마이크로 섬유는, 천연섬유, 폴리머섬유 또는 이 둘 다를 포함하고,상기 폴리머 섬유는, 셀룰로즈 섬유, 폴리아크릴산(poly acrylic acid, PA),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PPT),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나이론(nylon),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페니렌설파이드(PPS),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PVDF), 폴리설폼(PSU),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미드(P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우레탄(PU) 및 폴리스티렌(P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폴더블 전극 구조체
11 11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활물질은, (Li (Ni, Co, Al)O2)계 활물질(NCA), Li(Ni,Mn, Co)O2계 활물질(NMC), 리튬코발트산화물계 활물질(lithium cobalt oxide, LCO), 리튬철포스페이트계 활물질(lithium iron phosphate, LFP), 리튬티타늄 산화물계 활물질(lithium titanium oxide, LTO), 리튬알루미늄 티타늄 포스페이트계 활물질(lithium aluminum titanium phosphates, LATP) 및 리튬알루미늄 게르마늄 포스페이트계 활물질(lithium aluminum germanium phosphate, LAGP)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폴더블 전극 구조체
12 12
제1항의 폴더블 전극 구조체를 포함하도록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13 13
음극용 마이크로 섬유 기반의 기재; 및 상기 음극용 마이크로 섬유 기반의 기재에 코팅된 음극용 금속나노와이어; 및 음극용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구조체; 및양극용 마이크로 섬유 기반의 기재; 상기 양극용 마이크로 섬유 기반의 기재에 코팅된 탄소 나노와이어, 탄소 섬유 및 탄소나노튜브 중 적어도 하나의 양극용 탄소계 물질; 및 양극용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구조체;를 포함하고,상기 음극 구조체 및 상기 양극 구조체는 각각 제1항의 폴더블 전극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인, 플렉서블 디바이스
14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상기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바일, 에너지 변환 및 에너지 저장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플렉서블 디바이스
15 15
제14항에 있어서,상기 디바이스는, 리튬이온전지인 것인, 플렉서블 디바이스
16 16
마이크로 섬유 기반의 기재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 상에 기능성 물질 용액을 초음파 분사하여 코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상기 기능성 물질은, 활물질; 및 금속 나노와이어, 탄소 나노와이어, 탄소 섬유 및 탄소나노튜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상기 기재는, 50 도 이하의 접촉각의 액체 젖음성을 갖고,상기 초음파 분사하여 코팅하는 단계는, 50 ℃ 내지 100 ℃ 온도에서 60 내지 120 초음파 에너지(kHz) 및 1 내지 10 속도(ml/min)초음파 분사하고,코팅된 기재를 압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상기 압착하는 단계는 20 ℃ 내지 60 ℃ 온도 및 1bar 내지 10bar 압력에서 압착하는 것인,폴더블 전극 구조체의 제조방법
17 17
삭제
18 18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초음파 분사하여 코팅하는 단계는, 분사헤드가 X 및 Y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 또는 스윙하면서 이동하는 것인, 폴더블 전극 구조체의 제조방법
19 19
삭제
20 20
제16항에 있어서,상기 기능성 물질 용액에서 금속 나노와이어 대 활물질은, 1:1 내지 1:20(질량비)로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기능성 물질 용액에서 탄소 나노와이어, 탄소 섬유 및 탄소나노튜브 중 적어도 하나; 대 활물질은, 1:1 내지 1:20 (질량비)로 포함되는 것인, 폴더블 전극 구조체의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교육부 울산과학기술원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전도성 나노와이어 및 유연모재로 구성된 상호결착형 3차원 전극을 이용한 고용량 및 고속충전 유연전지 개발
2 산업통상자원부 (재)울산테크노파크 지역혁신클러스터육성(R&D) 전지·ESS 기반 에너지산업 혁신생태계 구축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