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광수집 및 촉매 효율이 개선된 광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광전지

  • 기술번호 : KST2022015450
  • 담당센터 : 부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1-606-6561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광수집 및 촉매 효율이 개선된, 광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광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전극층; 및 상기 전극층 상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고, (제1 폴리머층/제1 나노입자층)n, (제2 나노입자층/제2 폴리머층)m 또는 이 둘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다층막(n 및 m은, 각각 1 이상의 정수이고, 층수를 의미한다); 을 포함하는 것인, 광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광전극을 포함하는 광전지에 관한 것이다.
Int. CL H01G 9/20 (2006.01.01)
CPC H01G 9/2022(2013.01) H01G 9/2068(2013.01) H01G 9/2004(2013.01) H01G 9/2027(2013.01) Y02E 10/54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90122455 (2019.10.02)
출원인 울산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10-2305257-0000 (2021.09.16)
공개번호/일자 10-2021-0039798 (2021.04.1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210928)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10.02)
심사청구항수 18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울산과학기술원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울주군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류정기 울산광역시 울주군
2 김현우 울산광역시 울주군
3 전다솜 울산광역시 울주군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무한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역삼동,화물재단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울산과학기술원 울산광역시 울주군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10.02 수리 (Accepted) 1-1-2019-1011445-44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9.12.06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0.01.10 수리 (Accepted) 9-1-2020-0001621-48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7.03 수리 (Accepted) 4-1-2020-5148444-43
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8.20 수리 (Accepted) 4-1-2020-5186266-03
6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0.10.2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747638-03
7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0.12.08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0-1329900-55
8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0.12.08 수리 (Accepted) 1-1-2020-1329901-01
9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1.04.2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1-0343907-50
10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1.05.11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1-0544088-28
11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1.05.11 수리 (Accepted) 1-1-2021-0544089-74
12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21.08.2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1-0679994-47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기판 상에 형성된 투명 전극; 및 상기 투명 전극 상에 형성된 전극층;을 포함하고,상기 전극층 및 상기 기판의 후면 상의 적어도 일부분에 하이브리드 다층막이 형성되고, 상기 하이브리드 다층막은, n층의 (제1 폴리머층/제1 나노입자층), m층의 (제2 나노입자층/제2 폴리머층) 또는 이둘(n 및 m은, 각각 1 이상의 정수이다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하이브리드 다층막은:상기 전극층 상에 n층의 (제1 폴리머층/제1 나노입자층) 및 m층의 (제2 나노입자층/제2 폴리머층)이 순차적으로 또는 교차 적층되어 조립되고(n 및 m은 각각 1 이상의 정수이다),상기 제1 나노입자층은, 촉매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광전극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하이브리드 다층막은:상기 기판의 후면 상에 n층의 (제1 폴리머층/제2 폴리머층), m층의 (제2 나노입자층/제2 폴리머층) 또는 l층의 (제2 나노입자층/제2 폴리머층/제3 나노입자층/제2 폴리머층)을 포함하고(n, m 및 l은 각각 1 이상의 정수이다
4 4
삭제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극층은, 반도체 물질, 카본계 물질 또는 이 둘을 포함하고,상기 반도체 물질은, Ti, Sn, Zn, Mn, Mg, Ni, W, Co, Fe, Ba, In, Zr, Cu, Al, Bi, Pb, Ag, Cd, Y, Mo, Rh, Pd, Sb, Cs, La, V, Si, Al 및 Sr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 또는 이들의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카본계 물질은, 카본 분말, 카본 페이퍼(carbon paper), 카본 섬유 (carbon fiber), 카본 천(carbon cloth), 카본 펠트(carbon felt), 글래시 카본(glassy carbon), CNT(carbon nanotube), CNT 페이퍼 및 그래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광전극
6 6
제5항에 있어서,상기 반도체 물질은, Si, Fe2O3, Fe3O4, BiVO4, Bi2WO4, TiO2, SrTiO3, ZnO, CuO, Cu2O, NiO, SnO2, CoO, In2O3, WO3, MgO, CaO, La2O3, Nd2O3, Y2O3, CeO2, PbO, ZrO2, Co3O4 및 Al2O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광전극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극층은, 애노드, 캐소드 또는 이 둘인 것인, 광전극
8 8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폴리머층 및 제2 폴리머층은, 각각, 액상 고분자 전해질, 겔형 고분자 전해질 또는 이 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폴리머층 및 제2 폴리머층은,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 또는 이 둘을 포함하는 것인, 광전극
9 9
제8항에 있어서,상기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은, PEI(polyethyleneimine), b-PEI(branched-poly(ethylene imine)), l-PEI(linear-poly(ethylene imine)), PAH(poly(allylamine hydrochloride)), PAH(poly(allylamine hydrochloride)), PDDA(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PLL(poly(lysine)), PDADMA(poly(diallyldimethylammonium)), PAMPDDA(Poly(acrylamide-co-diallyldimethylammonium), 및 PDADMAC(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상기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은, PSS(polystyrene sulfonate), PAA(polyacrylic acid), PMA(poly methacrylic acid), PSS(poly styrene sulfonate) 및 HA(hyaluronic aci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광전극
10 10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나노입자층은, 물분해 촉매를 포함하고, 상기 물분해 촉매는, 음이온성이고, 전이금속-치환된 폴리옥소메탈레이트(transition metal-substituted polyoxometalates)를 포함하는 것인, 광전극
11 11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나노입자층은, [Ni4(H2O)2(VW9O34)2]10-, [Co4(H2O)2(VW9O34)2]10-, [Ni4(H2O)2(α-PW9O34)2]10-, [Co4(H2O)2(α-PW9O34)2]10- 및 [{Ru4O4(OH)2(H2O)4}(γ10O36)2]1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분해 촉매를 포함하는 것인, 광전극
12 12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제2 나노입자층 및 제3 나노입자층은, 각각, YF3, LiYF4, NaYF4, BaYF5, BaY2F8, NaYF4, KYF4, Y2O2S 및 Y2O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UCN(upconversion) 물질; 및 Li, Pt, Pd, Ru, Rh, Ir, Ag, Au, Al, Ti, V, Cr, Mn, Fe, Ni, Co, Cu, Mo, Mg, W, Zr, Zn, Ce 및 L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 및 금속 산화물;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것인, 광전극
13 13
제12항에 있어서,상기 UCN 물질은, La, Ce, Pr, Ne, Pm, Sm, Eu, Gd, Tb, Dy, Ho, Er, Tm, Yb 및 Lu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펀트를 더 포함하고,상기 금속 및 금속 산화물은, 폴리머로 캡핑된 것인, 광전극
14 1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상기 하이브리드 다층막에서 UCN 물질 대 금속, 금속산화물 또는 이 둘;의 비율은, 1:1 내지 1:10인 것인,광전극
15 15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하이브리드 다층막은, 1 nm 이상의 크기를 갖는 나노입자를 포함하고,상기 나노입자는, 코어/쉘 구조인 것인,광전극
16 16
제1항의 광전극을 포함하는,광전지
17 17
제16항에 있어서,적외선, 가시광 또는 이 둘의 조사에서 광촉매 효율을 갖는 것인,광전지
18 18
제16항에 있어서,상기 광전지는, 전기화학적 또는 광전기화학 물분해용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것인, 광전지
19 19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상기 기판 상에 투명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 전극층 상에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기판의 후면 및 상기 전극층 상의 적어도 일부분에 다층 박막 적층법(layer-by-layer)을 이용하여 하이브리드 다층막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상기 하이브리드 다층막은, n층의 (제1 폴리머층/제1 나노입자층), m층의 (제2 나노입자층/제2 폴리머층) 또는 이 둘을 포함하는 것인(n 및 m은 각각 1 이상의 정수이다), 광전극의 제조방법
20 20
삭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교육부 울산과학기술원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환원효소 활성부위를 모방한 분자금속산화물 기반의 이산화탄소 자원화 전기화학촉매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세대학교 나노·소재기술개발(R&D) 자연광수확시스템 하이브리드 광전극 및 태양광 소자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