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다공성층을 포함하는 해수전지용 고체 전해질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15750
  • 담당센터 : 부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1-606-6561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다공성층을 포함하는 해수전지용 고체 전해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1) 고체 전해질 분말, 분산제, 결합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제1슬러리, 세라믹 분말, 고분자 수지, 분산제, 결합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제2슬러리, 탄소물질, 분산제, 결합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제3슬러리를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제1슬러리를 적층하여 치밀(dense) 층을 형성하는 단계; 3) 상기 제1슬러리 위에 상기 제2슬러리를 적층하여 다공성(porous) 층을 형성하는 단계; 4) 상기 다공성층에 형성된 기공 부위를 제3슬러리로 채우는 단계; 5) 상기 치밀층 및 다공성층을 포함하는 그린 몸체(green body)를 경화시키는 단계;및 6) 상기 경화된 그린 몸체를 소결하여 제3슬러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해수전지용 고체 전해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해수전지용 고체 전해질은 얇은 치밀(Dense) 층과 기계적 강도를 보충해 줄 다공성층을 포함하고 있어 기계적 강도를 보충하고, Na 이온 통로 길이를 최소화하여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t. CL H01M 10/0562 (2010.01.01) H01M 6/18 (2006.01.01) H01M 12/08 (2015.01.01) H01M 10/36 (2006.01.01) H01M 6/34 (2006.01.01)
CPC H01M 10/0562(2013.01) H01M 6/18(2013.01) H01M 12/08(2013.01) H01M 10/36(2013.01) H01M 6/34(2013.01) H01M 2300/0094(2013.01) H01M 2300/006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172518 (2020.12.10)
출원인 울산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10-2422663-0000 (2022.07.14)
공개번호/일자 10-2022-0082535 (2022.06.17)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220718)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12.10)
심사청구항수 1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울산과학기술원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울주군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영식 울산광역시 울주군
2 고우석 울산광역시 울주군
3 김종우 울산광역시 울주군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지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로 ***, ***호, ***호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울산과학기술원 울산광역시 울주군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12.10 수리 (Accepted) 1-1-2020-1342479-84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2.03.15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2.06.2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22-0109022-49
4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22.06.2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2-0461577-55
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심사관 직권보정)
2022.07.15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2-5014891-17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1) 제1슬러리, 제2슬러리 및 제3슬러리는 준비하는 단계, - 제1슬러리는 고체 전해질 분말, 분산제, 결합제 및 용매를 포함하고, - 제2슬러리는 세라믹 분말, 고분자 수지, 분산제, 결합제 및 용매를 포함하고, - 제3슬러리는 탄소물질, 분산제, 결합제 및 용매를 포함함;2) 상기 제1슬러리를 적층하여 치밀(dense) 층을 형성하는 단계;3) 상기 제1슬러리 위에 상기 제2슬러리를 적층하여 다공성(porous) 층을 형성하는 단계;4) 상기 다공성층에 형성된 기공 부위를 제3슬러리로 채우는 단계;5) 상기 치밀층 및 다공성층을 포함하는 그린 몸체(green body)를 경화시키는 단계;및6) 상기 경화된 그린 몸체를 소결하여 제3슬러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해수전지용 고체 전해질 제조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 및 단계 4)는 0 ~ 300℃에서 수행되는 해수전지용 고체 전해질 제조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층의 다공율은 다공성층 부피 대비 5 ~ 20%인 해수전지용 고체 전해질 제조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5)는 O2 기체 분위기하에서 1000 ~ 1500℃에서 수행되는 해수전지용 고체 전해질 제조방법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전해질 분말은 나시콘(NASICON), 나트륨베타알루미나(Na-β-Alumina) 또는 리튬이온전도체인 리튬란탄티타네이트(lithium lanthanum titanate, LLT) 중 어느 하나인 해수전지용 고체 전해질 제조방법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글리세릴 트리올레이트(glycerol trioleate), 피시오일(Fish oil) 또는 포스페이트 에스테르(Phosphate ester),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인 해수전지용 고체 전해질 제조방법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는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polyacrylate esters),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인 해수전지용 고체 전해질 제조방법
8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 TCE), 에틸알코올(ethyl alcohol, EtOH), IPA(Isopropyl alcohol), 톨루엔(toluene) 또는 메틸에틸케톤(metyl ethyl ketone, MEK),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인 해수전지용 고체 전해질 제조방법
9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분말은 Al2O3, ZrO2, AlN, SiC 및 Si3N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인 해수전지용 고체 전해질 제조방법
1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COC(고리형 올레핀 고분자), EVOH(에틸렌비닐알코올), PA(폴리아미드), PE(폴리에틸렌), PES(폴리에테르설폰), PEI(폴리에테르이미드), PP(폴리프로필렌), PPE(폴리프로필렌에테르), PPS(폴리페닐렌설 파이드), PVC(폴리염화비닐), PVDF(폴리불화비닐리덴)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인 해수전지용 고체 전해질 제조방법
11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물질은 그래핀(graphene), 산화그래핀(GO; graphene oxide),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 흑연,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인 해수전지용 고체 전해질 제조방법
12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해수전지용 고체 전해질
13 13
제12항의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해수전지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