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자동 테이핑 장치 및 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15938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자동 테이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판작업 이후 즉 케이블들이 정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완전 자동으로 테이핑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자동 테이핑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nt. CL H01B 13/012 (2006.01.01) H01B 13/00 (2006.01.01) B65H 35/00 (2006.01.01)
CPC H01B 13/01263(2013.01) H01B 13/01236(2013.01) H01B 13/0003(2013.01) H01B 13/0036(2013.01) B65H 35/0026(2013.01) B65H 35/0073(2013.01) B65H 2301/51532(2013.01) B65H 2701/377(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10015469 (2021.02.03)
출원인 한국기계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112007 (2022.08.10)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2.03)
심사청구항수 18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기계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동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2 박종우 세종특별자치
3 한병길 대전광역시 유성구
4 김의겸 대전광역시 유성구
5 송성혁 대전광역시 유성구
6 최태용 대전광역시 유성구
7 조영수 서울특별시 은평구
8 이준호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9 김병인 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
10 정현목 세종특별자치시 남세종로
11 김휘수 대전광역시 유성구
12 도현민 대전광역시 유성구
13 김두형 세종특별자치시 남세
14 경진호 대전광역시 유성구
15 김기훈 대전광역시 서구
16 박찬훈 대전광역시 서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플러스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대로 ***번지 (둔산동, 사학연금회관) **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2.03 수리 (Accepted) 1-1-2021-0140701-55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정위치에 배치된 복수 개의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케이블번들(500) 상의 기설정된 테이핑위치에 테이프(550)를 감아 테이핑작업을 수행하는 자동 테이핑 장치(100)로서,상기 케이블번들(500)의 연장방향을 제1방향, 제1방향에 수직하며 상기 자동 테이핑 장치(100)가 상기 케이블번들(500)로 접근 또는 후퇴하는 방향을 제2방향, 제1, 2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제3방향이라 할 때,기저부(110);상기 기저부(110)에 연결되어 롤 형상으로 감겨진 상기 테이프(550)를 제1방향을 축으로 하여 상기 케이블번들(500)을 둘러감도록 회전시키는 회전부(120);테이핑작업 시작전 또는 완료후 상기 테이프(550) 끝단이 상기 케이블번들(500)에 부착 또는 이격되도록 상기 테이프(550) 끝단을 지지하는 지지부(130);테이핑작업 완료후 상기 테이프(550)를 절단하는 절단부(140);상기 기저부(110)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130) 및 상기 절단부(140)를 제1, 2, 3방향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150);상기 회전부(120), 상기 지지부(130), 상기 절단부(140), 상기 구동부(1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테이핑 장치
2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110)는,로봇 팔 또는 자동화장비를 포함하는 배치용 외부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테이핑 장치
3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배치용 외부장치의 제어장치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테이핑 장치
4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120)는,반원형으로 형성되는 제1회전지지판(121),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회전지지판(121)과 함께 원형구조물을 이루도록 상기 제1회전지지판(121) 제3방향 하측에 이격 배치되는 제2회전지지판(122),상기 제1회전지지판(121) 또는 상기 제2회전지지판(122) 상에 형성되며 제1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2회전지지판(121)(122)이 이루는 원형구조물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테이프(550)의 중심이 끼워지는 축끼움부(123),상기 테이프(550)가 상기 제1, 2회전지지판(121)(122)에 안내되어 제1방향을 축으로 하여 상기 케이블번들(500)을 둘러감도록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모터(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테이핑 장치
5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120)는,상기 테이프(550의 중심이 상기 축끼움부(123)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회전구동모터(124)가 상기 제1, 2회전지지판(121)(122)이 이루는 원형구조물을 회전시킴으로써,상기 테이프(550)가 제1방향을 축으로 하여 상기 케이블번들(500)을 둘러감도록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테이핑 장치
6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120)는,상기 제1, 2회전지지판(121)(122)이 이격된 틈으로 통과된 상기 케이블번들(500)이 상기 제1, 2회전지지판(121)(122)이 이루는 원형구조물의 중심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테이핑 장치
7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120)는,상기 제1, 2회전지지판(121)(122)이 이격된 틈이 상기 케이블번들(500)의 굵기에 상응하게 조절되도록, 상기 제1, 2회전지지판(121)(122)이 제3방향을 따라 대칭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테이핑 장치
8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30)는,공압을 이용하여 상기 테이프(550) 끝단을 흡착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테이핑 장치
9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140)는,진동커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테이핑 장치
10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50)는,테이핑작업 시작전 또는 완료후 상기 테이프(550) 끝단 지지 또는 절단이 수행되도록 상기 지지부(130) 및 상기 절단부(140)를 정위치에 배치시키거나,테이핑작업 진행중 상기 테이프(550)의 회전운동 방해를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부(130) 및 상기 절단부(140)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테이핑 장치
11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50)는,상기 지지부(130) 및 상기 절단부(140)를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테이핑 장치
12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50)는,상기 지지부(130) 및 상기 절단부(140)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이동구동모터(151),상기 지지부(130) 및 상기 절단부(140)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이동구동모터(1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테이핑 장치
13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50)는,상기 지지부(130) 및 상기 절단부(140)가 상기 제2이동구동모터(152)의 이동단에 연결되며,상기 제2이동구동모터(152)가 상기 제1이동구동모터(151)의 이동단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테이핑 장치
14 14
제 1항에 의한 자동 테이핑 장치(100)를 이용한 자동 테이핑 방법에 있어서,상기 케이블번들(500)이 상기 회전부(120)의 중심에 배치되는 케이블배치단계;상기 테이프(550) 끝단을 지지하고 있는 상기 지지부(130)가 제1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테이프(550) 끝단이 상기 케이블번들(500)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케이블번들(500) 상의 테이핑위치에 배치되는 테이프배치단계;상기 지지부(130)가 상기 테이프(550) 끝단 지지를 해제함으로서 상기 테이프(550) 끝단이 상기 케이블번들(500) 상의 테이핑위치에 부착되는 테이프부착단계;상기 지지부(130)가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테이프(550)의 회전운동 궤적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테이핑준비단계;상기 회전부(120)가 상기 테이프(550)를 제1방향을 축으로 하여 상기 케이블번들(500)을 둘러감도록 회전시키는 테이핑수행단계;상기 지지부(130) 및 상기 절단부(140)가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케이블번들(500)에 둘러감아진 후 일부 연장 배치된 상기 테이프(550) 상에 배치되는 절단배치단계;상기 지지부(130)가 상기 케이블번들(500)에 둘러감아진 후 일부 연장 배치된 상기 테이프(550)를 지지하는 절단준비단계;상기 절단부(140)가 상기 테이프(550)를 절단하는 테이프절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테이핑 방법
15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테이핑 방법은,상기 테이프절단단계 이후에,상기 구동부(150)가 절단된 상기 테이프(550) 끝단을 지지하고 있는 상기 지지부(130)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비위치에 배치시키는 초기귀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테이핑 방법
16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테이핑 방법은,상기 기저부(110)가 로봇 팔 또는 자동화장비를 포함하는 배치용 외부장치에 연결되며,상기 케이블배치단계가 상기 배치용 외부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테이핑 방법
17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테이핑 방법은,상기 구동부(150)가 상기 지지부(130) 및 상기 절단부(140)를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되어,상기 테이프배치단계, 상기 테이핑준비단계, 상기 절단배치단계가 상기 구동부(150)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테이핑 장치
18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테이핑 방법은,상기 회전부(120)가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제1회전지지판(121),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회전지지판(121)과 함께 원형구조물을 이루도록 상기 제1회전지지판(121) 제3방향 하측에 이격 배치되는 제2회전지지판(12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2회전지지판(121)(122)이 제3방향을 따라 대칭이동가능하게 형성되되,상기 케이블배치단계 이전에 상기 제1, 2회전지지판(121)(122)이 이격된 틈이 상기 케이블번들(500)의 굵기에 상응하게 조절되며,상기 케이블배치단계 수행시 상기 케이블번들(500)이 상기 제1, 2회전지지판(121)(122)이 이격된 틈을 통과해 상기 제1, 2회전지지판(121)(122)이 이루는 원형구조물의 중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테이핑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산업통상자원부 한국기계연구원 산업부-국가연구개발사업(V) 유연 케이블 와이어링을 위한 인식,파지,조작 기술 개발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