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바이페닐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보조제 및 이의 용도

  • 기술번호 : KST2022015961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바이페닐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보조제 및 이를 다양하게 이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그람음성 세균의 폴리믹신계 항생제에 대한 민감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그람음성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처리되는 폴리믹신계 항생제의 투여량을 낮추고, 폴리믹신계 항생제와 병용 투여되어 그람음성 세균의 생장 저해 및 사멸 효과를 나타내며, 신장 독성 등의 부작용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고 항생제의 과량 사용에 따른 패혈증 및 패혈증성 쇼크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Int. CL A61K 31/06 (2006.01.01) A61K 31/12 (2006.01.01) A61K 31/353 (2006.01.01) A61K 31/085 (2006.01.01) A61K 31/4035 (2006.01.01) A61K 31/343 (2006.01.01) A61P 43/00 (2006.01.01)
CPC A61K 31/06(2013.01) A61K 31/12(2013.01) A61K 31/353(2013.01) A61K 31/085(2013.01) A61K 31/4035(2013.01) A61K 31/343(2013.01) A61P 31/04(2013.01) A61P 43/00(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013425 (2022.01.28)
출원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111676 (2022.08.09)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10014932   |   2021.02.02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01.28)
심사청구항수 14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준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류충민 대전광역시 유성구
3 김선영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태평양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 *층(다동, 예금보험공사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1.28 수리 (Accepted) 1-1-2022-0114963-80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보조제:[화학식 1]여기서,X는 할로겐 원자이고,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임
2 2
청구항 1에 있어서,X는 염소 원자이고, R1은 수소 원자이고, R2는 메틸인 항균 보조제
3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항균 보조제는 세균의 폴리믹신계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을 향상시키는 것인 항균 보조제
4 4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폴리믹신계 항생제는 폴리믹신 B 또는 폴리믹신 E인 항균 보조제
5 5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세균은 그람음성 세균(gram-negative bacteria)인 항균 보조제
6 6
청구항 5에 있어서,상기 그람음성 세균은 에스케리키아 속(Escherichia sp
7 7
청구항 6에 있어서,상기 에스케리키아 속 세균은 에스케리키아 콜리(Escherichia coli), 에스케리키아 알버티(Escherichia albertii), 에스케리키아 블라태(Escherichia blattae), 에스케리키아 페르구소니(Escherichia fergusonii), 에스케리키아 헤르마니(Escherichia hermannii) 및 에스케리키아 불네리스(Escherichia vulneris)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상기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은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nii), 아시네토박터 주니(Acinetobacter junii), 아시네토박터 보이시에리(Acinetobacter boissieri), 아시네토박터 칼코아세티쿠스(Acinetobacter calcoaceticus), 아시네토박터 해모리티쿠스(Acinetobacter haemolyticus), 아시네토박터 노소코미알리스(Acinetobacter nosocomialis), 아시네토박터 쉰들레리(Acinetobacter schindleri) 및 아시네토박터 유르신기(Acinetobacter ursingii)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상기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8 8
청구항 5에 있어서,상기 그람음성 세균은 폴리믹신계 항생제에 내성이 있는 세균이거나, 다제내성(multi-drug resistance) 세균인 항균 보조제
9 9
청구항 1의 항균 보조제, 및 폴리믹신계 항생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10 10
청구항 9에 있어서,상기 조성물은 그람 음성 세균의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것인, 항균용 조성물
11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그람 음성 세균의 세포막 탈분극을 유도하여 세포막을 손상시키는 것인, 항균용 조성물
12 12
청구항 1의 항균 보조제 및 폴리믹신계 항생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증성 쇼크에 의한 장기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3 13
청구항 12에 있어서,상기 패혈증 또는 패혈증성 쇼크는 에스케리키아 속(Escherichia sp
14 14
청구항 12에 있어서,상기 장기는 간장, 신장 및 폐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약학적 조성물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인터지노믹스 기반 슈퍼박테리아 제어 연구사업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Persister cell 매개 유도변이에 의한 항생제 내성균 출현 및 조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