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단백질 제제의 안정성 향상을 위한 단백질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16163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단백질 제제의 안정성 향상을 위한 단백질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단백질에 트레할로스를 혼합하고 SPG 멤브레인 유화 기술을 이용하여 n-옥탄올에서 단백질을 탈수시킬 경우 입자 크기 분포가 좁고 가역성이 높은 마이크로비드가 형성되며, 이는 단백질 용액에 비해 외부 충격 또는 고온 스트레스에 대해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마이크로비드 제조 방법은 고농도 단백질 의약품 등의 제조에 적용하여 보관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t. CL A61K 9/16 (2006.01.01) A61K 38/00 (2006.01.01)
CPC A61K 9/1682(2013.01) A61K 9/1623(2013.01) A61K 38/00(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10013460 (2021.01.29)
출원인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110394 (2022.08.0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1.29)
심사청구항수 14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정성훈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2 김남아 인천광역시 서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명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 **층 (삼성동,본솔빌딩)(명진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1.29 수리 (Accepted) 1-1-2021-0122724-83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1.11.16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단백질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방법:(a) 단백질을 공정용 안정화제 및 유기 용매에 혼합하여 제조한 에멀젼을 교반하고 단백질을 탈수하는 단계;(b) 상기 에멀젼을 교반하고 단백질을 탈수하여 생긴 침전물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는 단계; 및(c) 상기 상층액 제거 후 건조하는 단계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단백질은 항체, 압타머, 융합 단백질, Fc 융합 단백질, PEG 화 단백질, 합성 폴리펩티드, 단백질 단편, 리포단백질, 효소, 호르몬, 면역원성 단백질, 구조 펩티드, 및 펩티드 약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유기 용매는 물과 섞이지 않는 비수성 유기 용매로서 f(water saturation fraction) 값이 0
4 4
제3항에 있어서,상기 유기 용매는 카보네이트계, 에스테르계, 에테르계, 케톤계, 알코올계, 비양성자성 용매, 및 이들의 이성질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방법
5 5
제4항에 있어서,상기 유기 용매는 n-옥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방법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공정용 안정화제는 희석제 및 사카라이드(sacchar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방법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공정용 안정화제는 트레할로스, 만니톨, 및 수크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방법
8 8
제1항에 있어서,상기 (a) 단계에서 에멀젼을 교반하기 전 시라스 다공성 유리(Shirasu porous glass, SPG) 멤브레인 또는 마이크로 칩을 통해 단백질을 유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단백질 마이크로비드의 입자 형태 및 크기를 균일하게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방법
9 9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단백질 마이크로비드는 가역성이 90 % 내지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방법
10 10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단백질 마이크로비드는 물리적 충격 또는 40 ℃ 내지 70 ℃의 고온 스트레스에 대한 안정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방법
11 11
제1항에 있어서,상기 (a) 단계에서 탈수는 10초 내지 20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방법
12 12
제1항에 있어서,상기 (c) 단계에서 건조는 25 ℃ 내지 40 ℃에서 24시간 내지 130 시간 동안 50 mTorr 내지 300 mTorr의 압력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방법
13 13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단백질 마이크로비드는 주사제, 흡입제, 패취제, 및 외용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형태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방법
14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단백질 마이크로비드로서,상기 단백질 마이크로비드는 가역성이 90 % 내지 100 %이고, 물리적 충격 또는 40 ℃ 내지 70 ℃의 고온 스트레스에 대한 안정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마이크로비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산업통상자원부 동국대학교산학협력단 바이오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바이오소재의 물리적 성질 기반 액상 주사제형 고농도 상온 안정화 플랫폼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