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이중 규격 다공성 실리카 입자 기반의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기술번호 : KST2022017417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다공성 실리카 나노 입자 및 다공성 실리카 마이크로 입자를 포함하는 이중 규격 다공성 실리카 입자 기반의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MSN(mesoporous silica nanoparticle) 백신보다 암에 대한 다량의 항원 특이적 세포 독성 T 세포의 생성을 더욱더 촉진하며, MSR(mesoporous silica microrod) 백신과 비교하여 증가된 항종양 효능을 나타낸다.
Int. CL A61K 39/00 (2006.01.01) A61K 9/51 (2006.01.01) A61K 9/16 (2006.01.01) A61K 38/19 (2006.01.01) A61P 35/00 (2006.01.01)
CPC A61K 39/00(2013.01) A61K 9/5115(2013.01) A61K 9/1611(2013.01) A61K 39/0011(2013.01) A61K 38/193(2013.01) A61P 35/00(2013.01) A61K 2039/5154(2013.01) A61K 2039/555(2013.01) A61K 2039/58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105897 (2022.08.24)
출원인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123608 (2022.09.0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90129468   |   2019.10.17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분할
원출원번호/일자 10-2020-0022569 (2020.02.24)
관련 출원번호 1020200022569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08.24)
심사청구항수 16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재윤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2 응웬 탄 락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명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 **층 (삼성동,본솔빌딩)(명진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분할출원]특허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8.24 수리 (Accepted) 1-1-2022-0885388-1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a) 항원 및 면역증강제(adjuvant)가 담지된 다공성 실리카 나노 입자; 및(b) 수지상 세포를 유인하는 화학주성인자(chemoattractant)가 담지된 다공성 실리카 마이크로 입자를 포함하는, 이중 규격 다공성 실리카 입자 기반의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다공성 실리카 마이크로 입자는 체내에서 자기조립(self-assembly)하여 입자들 사이에 마이크로 크기의 공간이 마련된 3차원 구조체를 형성하며, 상기 다공성 실리카 나노 입자는 상기 3차원 구조체 내 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다공성 실리카 나노 입자는 다공성 실리카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4
제2항에 있어서,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공간으로 미성숙 수지상 세포가 모집(recruitment)되며, 상기 다공성 실리카 나노 입자는 모집된 수지상 세포 내로 이입(internalize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5
제4항에 있어서,상기 다공성 실리카 나노 입자를 흡수한 미성숙 수지상 세포는 성숙되고(maturation), 림프절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다공성 실리카 나노 입자는 메조다공성 실리카 나노 입자(mesoporous silica nanopartic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다공성 실리카 나노 입자는 3 nm 내지 30 nm 크기의 기공(pore)을 갖는 직경 30 nm 내지 250 nm의 나노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8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다공성 실리카 나노 입자는 전하를 띠도록 표면이 개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9
제8항에 있어서,상기 전하를 띠도록 표면이 개질된 다공성 실리카 나노 입자는 아민 개질된(amine-modified) 나노 입자 또는 전하를 띤 고분자가 흡착된 나노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10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항원 또는 면역증강제는 다공성 실리카 나노 입자의 기공 내 담지, 정전기적 인력에 의한 담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식으로 담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11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다공성 실리카 마이크로 입자는 메조다공성 실리카 마이크로로드(mesoporous silica microro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12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다공성 실리카 마이크로 입자는 길이가 30 μm 내지 120 μm이며, 폭이 5 μm 내지 3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13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항원은 암 항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14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화학주성인자는 GM-CSF(granulocyte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CCL-21(chemokine (C-C motif) ligand 21), CCL-19(chemokine (C-C motif) ligand 19), Flt-3 리간드(FMS-like tyrosine kinase 3 (Flt-3) ligand)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15
제1항에 있어서,상기 조성물은 다공성 실리카 나노 입자 또는 상기 다공성 실리카 나노 입자에 담지된 면역증강제의 함량 증가에 따라 항암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16
(a) 항원 및 면역증강제가 담지된 다공성 실리카 나노 입자; 및(b) 수지상 세포를 유인하는 화학주성인자가 담지된 다공성 실리카 마이크로 입자를 포함하는, 이중 규격 다공성 실리카 입자 기반의 암 백신 약학적 조성물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균관대학교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산화환원 촉매 무기나노입자 기반 면역억제형 자가면역질환 백신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균관대학교 집단연구지원(R&D) 진단/치료용 고분자소재 연구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