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자극감응성 복합섬유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열 엑추에이터 시스템

  • 기술번호 : KST2022017755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열방성 액정성 중합체 및 광열변환 물질을 포함하여, 광 및 열 모두에 대하여 반응성을 가지며, 우수한 반응 응답성 및 기계적 물성을 가지며, 수회의 반복 작동에도 반응 재연성이 우수한, 자극감응성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자극감응성 복합섬유를 2가닥 이상의 복수개의 다발로 설계함으로써, 다양한 구조체에 적용이 가능하고,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극감응성 복합소재, 이를 포함하는 인공 근육 및 광열 엑추에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nt. CL D01F 8/00 (2006.01.01) D01F 1/10 (2006.01.01) D01D 5/08 (2006.01.01)
CPC D01F 8/00(2013.01) D01F 1/10(2013.01) D01D 5/08(2013.01) A61F 2/08(2013.01) A61F 2/68(2013.01) A61L 27/443(2013.01) A61F 2002/0894(2013.01) A61F 2002/5066(2013.01) A61L 2430/30(2013.01) D10B 2509/00(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10032288 (2021.03.11)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127676 (2022.09.20)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3.11)
심사청구항수 2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상욱 대전광역시 유성구
2 김인호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플러스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대로 ***번지 (둔산동, 사학연금회관) **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3.11 수리 (Accepted) 1-1-2021-0290790-26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2.04.15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열방성 액정성 중합체 및 광열변환 물질을 포함하는 자극감응성 복합섬유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열방성 액정성 중합체는 메소겐 함유 라디칼 중합성 단량체로부터 유래된 것인 자극감응성 복합섬유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열방성 액정성 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의 메소겐 함유 단량체로부터 유래된 것인 자극감응성 복합섬유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광열변환 물질은 탄소계 물질인 자극감응성 복합섬유
5 5
제4항에 있어서,상기 탄소계 물질은 2차원 탄소계 물질인 자극감응성 복합섬유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열방성 액정성 중합체의 메소겐은 자극감응성 복합섬유의 축 방향으로 정렬되어 이방성을 가지는 것인 자극감응성 복합섬유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광열변환 물질은 자극감응성 복합섬유의 축 방향으로 정렬되어 이방성을 가지는 것인 자극감응성 복합섬유
8 8
제1항에 있어서,상기 광열변환 물질은 자극감응성 복합섬유 전체 중량에 대하여 0
9 9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자극감응성 복합섬유는 광 또는 열에 반응하여 가역적으로 수축 또는 이완을 하는 것인 자극감응성 복합섬유
10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자극감응성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자극감응성 복합원단
11 11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자극감응성 복합섬유는 섬유사로 직조된 원단의 일부 영역에 구비된 것인 자극감응성 복합원단
12 12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자극감응성 복합원단은 직조된 위사 및 경사를 포함하며,상기 위사 및 경사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상기 자극감응성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자극감응성 복합원단
13 13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자극감응성 복합섬유의 다발을 포함하는 자극감응성 복합소재
14 14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자극감응성 복합소재는 인공 근육인 자극감응성 복합소재
15 15
a) 열방성 액정성 올리고머와 광열변환 물질을 혼합하여 분산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b) 상기 분산 혼합물을 용융 방사하여 방사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극감응성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16 16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열방성 액정성 올리고머의 네마틱-등방성 전이온도(nematic-isotropic transition temperature, Tni)는 80 ℃ 내지 120 ℃인 자극감응성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17 17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용융 방사는 열방성 액정성 올리고머의 액정성-등방성 전이온도(Tni)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인 자극감응성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18 18
제15항에 있어서,상기 b) 단계 이후, c) 광경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자극감응성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19 19
제18항에 있어서,상기 c) 단계 이후, 제조된 복수개의 방사 섬유를 다발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자극감응성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20 20
제9항의 자극감응성 복합소재 및 광원을 포함하는 광열 액추에이터 시스템
21 21
제20항에 있어서,상기 광원은 750 내지 3,000 nm의 파장을 가지는 것인 광열 액추에이터 시스템
22 22
제13항에 따른 자극감응성 복합소재에 국부적으로 광을 인가하여, 상기 자극감응성 복합소재의 국부가 가역적으로 수축 또는 이완을 하는 광열 작동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원 원천기술개발사업 (통합EZ)그래핀산화물 액정섬유 방사원리 및 물성제어 연구(2020)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원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통합EZ)다차원 나노조립제어 창의연구단(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