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신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기술번호 : KST2022018346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에 따른 신장 조직유래 줄기세포; 또는 오가노이드는 치료를 위한 시술이 용이하고, 높은 자가 증식능으로 대량 공급이 가능하며, 신장 세포로 분화능이 뛰어나고, 종양 형성의 가능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병변에 직접 주입되는 경우 손상된 조직을 재생하는 능력이 매우 탁월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줄기세포 중에서, 특히 성제줄기세포 기반 재생치료에 매우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신장 세포 중에서 특히 신장 줄기세포만을 특이적으로 선별해낼 수 있다. 나아가, Lrig1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발현하는 신장 줄기세포는 재생능력 및 다능성이 매우 뛰어나고, 네프론으로 분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신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Int. CL A61K 35/22 (2015.01.01) A61K 38/17 (2006.01.01) A61P 13/12 (2006.01.01) C12N 5/071 (2010.01.01) G01N 33/569 (2017.01.01) G01N 33/68 (2006.01.01)
CPC A61K 35/22(2013.01) A61K 38/1709(2013.01) A61P 13/12(2013.01) C12N 5/0686(2013.01) C12N 5/0697(2013.01) C07K 14/47(2013.01) C12Q 1/686(2013.01) A01K 67/027(2013.01) G01N 33/56966(2013.01) G01N 33/6893(2013.01) C12N 2533/54(2013.01) C12N 2501/415(2013.01) C12Q 2600/158(2013.01) A01K 2267/03(2013.01) A01K 2267/0393(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10016870 (2021.02.05)
출원인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113589 (2022.08.16)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2.05)
심사청구항수 3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남기택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2 이유라 서울특별시 성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파도특허법인유한회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길 **, *층(대치동, 노벨빌딩)
2 이재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길 **, *층(대치동, 노벨빌딩)(파도특허법인유한회사)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2.05 수리 (Accepted) 1-1-2021-0152621-26
2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21.04.16 수리 (Accepted) 1-1-2021-0446565-29
3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1.12.15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Lrig1(Leucine Rich Repeats And Immunoglobulin Like Domains 1)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발현하는 신장 조직유래 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신장 조직유래 줄기세포는 Klf6(Krueppel-like factor 6)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추가로 더 발현하는, 약학 조성물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신장 질환은 급성 신손상(Acute kidney injury; AKI) 또는 만성 신손상(Chronic kidney disease; CKD)인 것인, 약학 조성물
4 4
Lrig1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발현하는 신장 조직유래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신장 오가노이드
5 5
제4항에 있어서,상기 신장 조직유래 줄기세포는 Klf6(Krueppel-like factor 6)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추가로 더 발현하는, 신장 오가노이드
6 6
제4항 또는 제5항의 신장 오가노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7
(a) 목적하는 개체로부터 분리된 신장 상피세포에서 Lrig1(Leucine Rich Repeats And Immunoglobulin Like Domains 1)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가 발현된 세포를 분리하는 단계;(b) 상기 Lrig1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가 발현된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c) 상기 배양된 세포를 마트리겔에 넣고 오가노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장 오가노이드의 제조 방법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a) 단계에서 분리된 세포는 Klf6(Krueppel-like factor 6)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추가로 더 발현하는 것인, 제조 방법
9 9
제7항에 있어서,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유전자가 발현된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는 우태아혈청, 성장인자 및 항생제가 포함된 세포 배양 배지를 이용하는 것인, 제조 방법
10 10
제7항에 있어서,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오가노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는 B27 보충제, 조건 배지, 성장인자, N-아세틸시스테인 및 ALK 5(TGFβ kinase/activin receptor-like kinase) 억제제가 포함된 세포 배양 배지를 이용하는 것인, 제조 방법
11 11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조건 배지는 Wnt3a 조건 배지, 노긴(noggin) 조건 배지 및 Rspo1 조건 배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인, 제조 방법
12 12
제7항에 있어서,상기 마트리겔은 성장인자 감소 마트리겔인 것인, 제조 방법
13 13
Lrig1(Leucine Rich Repeats And Immunoglobulin Like Domains 1)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신장 조직유래 줄기세포 검출용 조성물
14 14
제13항에 있어서,상기 검출용 조성물은 Klf6(Krueppel-like factor 6)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더 포함하는, 검출용 조성물
15 15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상기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프로브 및 안티센스 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인, 검출용 조성물
16 16
제13항에 있어서,상기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상기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올리고펩타이드, 리간드, PNA(peptide nucleic acid) 및 압타머(apta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인, 검출용 조성물
17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검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신장 조직유래 줄기세포 검출용 키트
18 18
목적하는 개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Lrig1(Leucine Rich Repeats And Immunoglobulin Like Domains 1)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장 조직유래 줄기세포 검출 방법
19 19
제18항에 있어서,상기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시 상기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Klf6(Krueppel-like factor 6)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추가로 측정하는, 검출 방법
20 20
제18항에 있어서,상기 유전자의 발현 수준은 상기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프로브 및 안티센스 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측정되는 것인, 검출 방법
21 21
제18항에 있어서,상기 단백질의 발현 수준은 상기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올리고펩타이드, 리간드, PNA 및 압타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측정되는 것인, 검출 방법
22 22
제18항에 있어서,상기 Lrig1(Leucine Rich Repeats And Immunoglobulin Like Domains 1)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발현 수준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증가된 경우, 신장 조직유래 줄기세포로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검출 방법
23 23
목적하는 개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Lrig1(Leucine Rich Repeats And Immunoglobulin Like Domains 1)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가 발현되는 세포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장 조직유래 줄기세포의 분리 방법
24 24
제23항에 있어서,상기 분리되는 세포는 Klf6(Krueppel-like factor 6)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추가로 더 발현하는 것인, 분리 방법
25 25
제23항에 있어서,상기 분리하는 단계는 자기 활성 세포 분류법(Magnetic activated cell sorting; MACS) 또는 유세포 분석(Flow cytometry Analysis)을 통해 수행되는 것인, 분리 방법
26 26
Lrig1(Leucine Rich Repeats And Immunoglobulin Like Domains 1)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발현하는 신장 조직유래 줄기세포를 분리하는 단계; 및상기 분리된 신장 조직유래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장 조직 유래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방법
27 27
제26항에 있어서,상기 분리되는 세포는 Klf6(Krueppel-like factor 6)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추가로 더 발현하는 것인, 배양하는 방법
28 28
신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세포치료제 스크리닝용 동물 모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Lrig1(Leucine Rich Repeats And Immunoglobulin Like Domains 1)을 암호화하는 유전자가 CreERT2-LoxP 시스템에 의해 조건적으로 발현되는 동물에 신장 손상을 유도하는 단계; 및상기 동물에 에스트로겐 길항제를 처리하여, 목적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물 모델의 제조 방법
29 29
제28항에 있어서,상기 신장 손상을 유도하는 단계는 엽산의 복강내 투여; 허혈/재관류 손상을 유도; 및 일측성 요관 폐쇄 유도로 구성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인, 동물 모델의 제조 방법
30 30
제28항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신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세포치료제 스크리닝용 동물 모델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