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가교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상기 가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기체 분리막 및 상기 기체 분리막의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18355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가교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상기 가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기체 분리막 및 상기 기체 분리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교 공중합체는 에폭시기를 갖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를 포함하는 제1 단량체에 아민기를 갖는 가지형 폴리에틸렌이민을 포함하는 제2 단량체를 가교 결합하여 가교 공중합체를 제조함으로써 상호 연결된 조약돌 모양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기체 분리막으로 적용 시 이산화탄소에 대한 기체 투과도 및 선택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교 공중합체는 기체 분리막으로 적용 시 분리막 내에서 상호 연결된 조약돌 모양의 구조를 형성하여 폴리에틸렌옥사이드 고분자의 결정화로 인한 구정 형성과 구정 사이의 결함이 생기는 것을 현저하게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조약돌 모양 구조 사이는 기체의 확산 통로로 작용하여 기체 투과 및 분리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Int. CL C08G 65/333 (2006.01.01) C08L 71/02 (2006.01.01) C08L 79/02 (2006.01.01) B01D 71/60 (2006.01.01) B01D 71/52 (2006.01.01) B01D 53/22 (2006.01.01)
CPC C08G 65/33331(2013.01) C08G 65/04(2013.01) C08G 73/0206(2013.01) C08G 73/022(2013.01) C08L 71/02(2013.01) C08L 79/02(2013.01) B01D 71/60(2013.01) B01D 71/52(2013.01) B01D 53/22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10018103 (2021.02.09)
출원인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114742 (2022.08.17)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2.09)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종학 서울특별시 양천구
2 민효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충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산로 **, *층(양재동, 베델회관)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2.09 수리 (Accepted) 1-1-2021-0163343-96
2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1.03.02 수리 (Accepted) 1-1-2021-0242601-57
3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2.01.18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양 말단에 에폭시기를 갖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를 포함하는 제1 단량체; 및양 말단에 아민기를 갖는 폴리(에틸렌이민)을 포함하는 제2 단량체;를 포함하고,상기 제1 단량체의 에폭시기와 상기 제2 단량체의 아민기가 서로 가교 결합되어 상호 연결된 조약돌 모양의 구조를 가지는 것인 가교 공중합체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를 포함하는 것인 가교 공중합체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2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에틸렌이민)을 포함하는 것인 가교 공중합체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가교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인 가교 공중합체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가교 공중합체는 상기 제1 단량체 및 제2 단량체가 8 내지 12 : 1 중량비로 중합된 것인 가교 공중합체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가교 공중합체의 조약돌 모양은 평균 크기가 1 내지 10 ㎛인 것인 가교 공중합체
7 7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 및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의 내부에 함침된 제1항 내지 제6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가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기체 분리막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기체 분리막은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및 가교 공중합체가 8:2 내지 2:8 중량비로 혼합된 것인 기체 분리막
9 9
제7항에 있어서,상기 기체 분리막은 XRD 분석 결과, 2θ가 ① 18° 내지 20° 범위, ② 23° 내지 25° 범위에서 각각 제1 유효 피크 및 제2 유효 피크를 보이고,상기 (제1 유효 피크)/(제2 유효 피크)의 세기(intensity) 비율은 1
10 10
제7항에 있어서,상기 기체 분리막은 이산화탄소, 질소 및 메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기체를 분리하는 것인 기체 분리막
11 11
제7항에 있어서,상기 기체 분리막은 이산화탄소 투과도가 105
12 12
제7항의 기체 분리막을 포함하는 기체 분리 장치
13 13
제7항의 기체 분리막을 포함하는 기체 포집 장치
14 14
에폭시기를 갖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를 포함하는 제1 단량체에 아민기를 갖는 폴리(에틸렌이민)을 포함하는 제2 단량체를 가교 반응시켜 가교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가교 공중합체는 상기 제1 단량체의 에폭시기와 상기 제2 단량체의 아민기가 서로 가교 결합되어 상호 연결된 조약돌 모양의 구조를 가지는 것인 가교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15 15
제14항에 있어서,상기 가교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량체 및 제2 단량체를 8 내지 12 : 1 중량비로 중합시키는 것인 가교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16 16
제14항에 있어서,상기 가교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인 가교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17 17
제14항에 있어서,상기 가교 공중합체의 조약돌 모양은 평균 크기가 1 내지 10 ㎛인 것인 가교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18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따른 가교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용매에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고분자 및 상기 가교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상기 혼합물을 건조시켜 기체 분리막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체 분리막의 제조방법
19 19
제18항에 있어서,상기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용매에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고분자 및 가교 공중합체를 8:2 내지 2:8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인 기체 분리막의 제조방법
20 20
제18항에 있어서,상기 기체 분리막은 XRD 분석 결과, 2θ가 ① 18° 내지 20° 범위, ② 23° 내지 25° 범위에서 각각 제1 유효 피크 및 제2 유효 피크를 보이고,상기 (제1 유효 피크)/(제2 유효 피크)의 세기(intensity) 비율은 1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천기술개발사업 직접인쇄 가능한 고에너지/고출력 전고체 슈퍼커패시터의 전극 및 전해질 소재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글로벌R&D기반구축사업 신규 흡착제/분리막 개발을 통한 개질가스로부터 고순도 수소 생산 및 CO2 포집을 위한 막분리-PSA 통합공정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