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세포 활성 조절 시스템 및 세포 활성 조절 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18370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세포 활성 조절 시스템은 자기력 발생부 및 생체가 배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하기 관계식 1 및 2를 만족하는 회전 자기장을 형성하는 회전 자기장 발생장치; 및 상기 생체 내에 배치되어 생체 활성 물질과 결합이 가능하고, 회전 자기장 인가 시 토크를 발생시켜 상기 생체 활성 물질에 토크를 전달하는 자성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관계식 1] |Mc| ≥ 1 mT [관계식 2] |M75-Mc|/D75 ≤ 5.0 T/m 상기 관계식 1 및 2에서 Mc은 회전축 위치의 자기장의 세기이고, D75은 회전축으로부터 자기력 발생부까지의 거리의 75% 위치까지의 거리를 의미하며, M75은 D75 위치에서의 자기장의 세기를 의미한다.
Int. CL C12M 1/42 (2017.01.01) C12N 13/00 (2017.01.01) C12N 5/0793 (2010.01.01) H01F 7/02 (2006.01.01) H01F 7/20 (2006.01.01)
CPC C12M 35/06(2013.01) C12N 13/00(2013.01) C12M 35/02(2013.01) C12N 5/0619(2013.01) H01F 7/0273(2013.01) H01F 7/202(2013.01) C12N 2529/00(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020830 (2022.02.17)
출원인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초과학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117853 (2022.08.24)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10021485   |   2021.02.17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1020220020901;1020220020902;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02.17)
심사청구항수 27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2 기초과학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천진우 서울특별시 양천구
2 이재현 서울특별시 서초구
3 이정욱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이룸리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평대로 ***, *층 (반포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2.17 수리 (Accepted) 1-1-2022-0179834-55
2 [분할출원]특허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2.17 수리 (Accepted) 1-1-2022-0180461-53
3 [분할출원]특허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2.17 수리 (Accepted) 1-1-2022-0180462-09
4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2.02.22 수리 (Accepted) 1-1-2022-0196487-5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자기력 발생부 및 생체가 배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하기 관계식 1 및 2를 만족하는 회전 자기장을 형성하는 회전 자기장 발생장치; 및 상기 생체 내에 배치되어 생체 활성 물질과 결합이 가능하고, 회전 자기장 인가 시 토크를 발생시켜 상기 생체 활성 물질에 토크를 전달하는 자성 입자;를 포함하는 세포 활성 조절 시스템:[관계식 1]|Mc| ≥ 1 mT[관계식 2]|M75-Mc|/D75 ≤ 5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회전 자기장은 하기 관계식 3을 추가로 만족하는 세포 활성 조절 시스템:[관계식 3]|M50-Mc|/D50 ≤ 1 T/m상기 관계식 3에서 Mc은 회전축 위치의 자기장의 세기이고, D50은 회전축으로부터 자기력 발생부까지의 거리의 50% 위치까지의 거리를 의미하며, M50은 D50 위치에서의 자기장의 세기를 의미한다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회전 자기장은 하기 관계식 4를 추가로 만족하는 세포 활성 조절 시스템:[관계식 4]|M75-M50|/(D75-D50) ≤ 10 T/m상기 관계식 4에서 D75은 회전축으로부터 자기력 발생부까지의 거리의 75% 위치까지의 거리를 의미하며, D50은 회전축으로부터 자기력 발생부까지의 거리의 50% 위치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M75는 D75 위치에서의 자기장의 세기를 의미하며 M50은 D50 위치에서의 자기장의 세기를 의미한다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관계식을 만족하는 회전 자기장의 넓이는 0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자성 입자는 상기 관계식 1 및 2를 만족하는 회전 자기장의 인가 시 10 pN·nm 이상의 토크를 발생시키는 세포 활성 조절 시스템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자성 입자는 자기 이방성인 세포 활성 조절 시스템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자성 입자의 평균 입경은 2
8 8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자성 입자는 코어 및 상기 코어의 표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세포 활성 조절 시스템
9 9
제8항에 있어서,상기 나노 입자의 평균 입경은 5 nm 초과인 세포 활성 조절 시스템
10 10
제8항에 있어서,상기 나노 입자는 철(Fe), 망간(Mn), 니켈(Ni), 아연(Zn), 알루미늄(Al), 코발트(Co), 크롬(Cr), 몰리브덴(Mo), 티타늄(Ti), 비스무스(Bi), 네오디뮴(Nd), 백금(Pt), 금(Au), 팔라듐(Pd), 구리(Cu), 이들의 합금, 이들의 산화물, 이들의 페라이트(ferrite) 및 이들의 도핑된 페라이트(ferri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세포 활성 조절 시스템
11 11
제8항에 있어서,상기 코어와 상기 나노 입자를 연결하는 링커를 추가로 포함하는 세포 활성 조절 시스템
12 1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생체 활성 물질은 기계 민감성 채널 및/또는 기계 민감성 이온 채널인 세포 활성 조절 시스템
13 13
제12항에 있어서,상기 기계 민감성 채널 또는 기계 민감성 이온 채널은 Piezo1, Piezo2, TRPC1, TRPC3, TRPC6, TRPM4, TRPM7, TRPN1, TRPA1, TRPY1, TRPP1, TRPP2, TRPV1, I679K-TRPV1, TRPV2, TRPV4, TREK, TRAAK, ASIC1,2,3, MEC-4/MEC-10, MscL, MscS, RGD, 인테그린(integrin) 및 카드헤린(cadher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세포 활성 조절 시스템
14 14
제12항에 있어서,상기 기계 민감성 채널 및/또는 기계 민감성 이온 채널은 회전 자기장의 인가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세포 활성 조절 시스템
15 15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자성 입자는 상기 생체 활성 물질의 표면에 결합되는 세포 활성 조절 시스템
16 16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자성 입자는 상기 생체 활성 물질의 표면에 위치하는 항원 또는 특이적 수용체와 결합되는 세포 활성 조절 시스템
17 17
제1항에 있어서,상기 회전 자기장 발생장치는 복수의 자기장 발생부를 포함하는 세포 활성 조절 시스템
18 18
생체 활성 물질과 결합이 가능하고 회전 자기장 인가 시 토크를 발생시켜 상기 생체 활성 물질에 토크를 전달하는 자성 입자에 하기 관계식 1 및 2를 만족하는 회전 자기장을 인가하는 자기장 인가 단계; 및상기 회전 자기장의 인가에 따라 발생한 토크를 상기 생체 활성 물질에 전달하는 토크 전달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활성 조절 방법:[관계식 1]|Mc| ≥ 1 mT[관계식 2]|M75-Mc|/D75 ≤ 5
19 19
제18항에 있어서,상기 회전 자기장은 하기 관계식 3을 만족하는 세포 활성 조절 방법:[관계식 3]|M50-Mc|/D50 ≤ 1 T/m상기 관계식에서 Mc은 회전축 위치의 자기장의 세기이고, D50은 회전축으로부터 자기력 발생부까지의 거리의 50% 위치까지의 거리를 의미하며, M50은 D50 위치에서의 자기장의 세기를 의미한다
20 20
제18항에 있어서,상기 회전 자기장은 하기 관계식 4를 만족하는 세포 활성 조절 방법:[관계식 4]|M75-M50|/(D75-D50) ≤ 10 T/m상기 관계식 4에서 D75은 회전축으로부터 자기력 발생부까지의 거리의 75% 위치까지의 거리를 의미하며, D50은 회전축으로부터 자기력 발생부까지의 거리의 50% 위치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M75는 D75 위치에서의 자기장의 세기를 의미하며 M50은 D50 위치에서의 자기장의 세기를 의미한다
21 21
제18항에 있어서,상기 자성 입자는 상기 관계식 1 및 2를 만족하는 회전 자기장의 인가 시 10 pN·nm 이상의 토크를 발생시키는 세포 활성 조절 방법
22 22
제18항에 있어서,상기 토크 전달 단계는 상기 자성 입자에서 발생한 토크가 상기 자성 입자가 결합된 상기 생체 활성 물질의 표면을 통해 토크를 전달하는 단계인 세포 활성 조절 방법
23 23
제18항에 있어서,상기 생체 활성 물질은 기계 민감성 채널 및/또는 기계 민감성 이온 채널인 세포 활성 조절 방법
24 24
제23항에 있어서,상기 기계 민감성 채널 및/또는 기계 민감성 이온 채널은 회전 자기장의 인가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세포 활성 조절 방법
25 25
제18항에 있어서,상기 자기장 인가 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자성 입자 부착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상기 자성 입자 부착 단계는 생체 활성 물질 상의 특이적 수용체 또는 항원과 자성 입자를 결합시키는 단계인 세포 활성 조절 방법
26 26
제18항에 있어서,상기 생체 활성 물질에 전달된 토크를 이용하여 세포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세포 활성 조절 방법
27 27
제26항에 있어서,상기 활성화되는 세포는 신경 세포, 신경 교세포, 면역 세포 및/또는 암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활성 조절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KR1020220117855 KR 대한민국 FAMILY
2 KR1020220117856 KR 대한민국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DOCDB 패밀리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과학연구원 IBS외부연구단 나노-바이오 시스템 융합 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