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열 안정성 증가를 위한 전세포 촉매의 생체모방 실리카 고정화 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19560
  • 담당센터 : 부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1-606-6561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열 안정성 증가를 위한 전세포 촉매의 생체모방 실리카 고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면 실리카 캡슐에 고정화된 전세포 촉매의 열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방법은 전세포 촉매를 사용하는 생물공정, 식품, 제약, 바이오 관련 산업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t. CL C12N 9/88 (2006.01.01) C12N 11/14 (2020.01.01) C12N 15/52 (2006.01.01)
CPC C12N 9/88(2013.01) C12N 11/14(2013.01) C12N 15/52(2013.01) C12Y 402/01001(2013.01) C07K 2319/02(2013.01) C07K 2319/3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10042667 (2021.04.01)
출원인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136704 (2022.10.1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4.01)
심사청구항수 1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상남도 진주시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조병훈 경상남도 진주시 대밭골로 **, ***
2 임균택 경상남도 진주시 사들로 ***, **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최규환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대로 ***, **층 그린국제특허법률사무소 (둔산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4.01 수리 (Accepted) 1-1-2021-0384071-44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2.03.15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2.09.22 수리 (Accepted) 4-1-2022-5223092-37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전세포 촉매(whole cell catalyst), 염 및 실리카 전구체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세포 촉매의 열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생체모방 실리카 고정화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세포 촉매는 써모설퍼리모나스 디스뮤탄스(Thermosulfurimonas dismutans) 유래 탄산무수화효소(carbonic anhydrase)의 아미노 말단에 pelB 신호 펩타이드가 융합되고, 카복시 말단에 실리카 형성 펩타이드(silica forming peptide)가 융합된 단백질을 세포 간극에 발현하는 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세포 촉매의 열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생체모방 실리카 고정화 방법
3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형성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세포 촉매의 열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생체모방 실리카 고정화 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은 염화세슘(CsCl), 염화리튬(LiCl), 염화나트륨(NaCl), 염화칼륨(KCl), 염화루비듐(RbCl), 플루오린화나트륨(NaF), 브로민화나트륨(NaBr), 아이오딘화나트륨(NaI) 또는 질산나트륨(NaNO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세포 촉매의 열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생체모방 실리카 고정화 방법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전구체는 테트라메틸 오르토실리케이트(tetramethyl orthosilicate) 또는 테트라에틸 오르토실리케이트(tetraethyl orthosilic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세포 촉매의 열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생체모방 실리카 고정화 방법
6 6
pelB 신호 펩타이드 코딩 서열; 써모설퍼리모나스 디스뮤탄스(Thermosulfurimonas dismutans) 유래 탄산무수화효소(carbonic anhydrase) 코딩 서열; 및 실리카 형성 펩타이드(silica forming peptide) 코딩 서열;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재조합 벡터로 숙주세포를 형질전환하여 전세포 촉매(whole cell catalyst)를 제조하는 단계; 및상기 제조된 전세포 촉매와 염 및 실리카 전구체를 혼합하여 전세포 촉매를 생체모방 실리카에 고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세포 촉매가 고정화된 생체모방 실리카의 제조방법
7 7
제6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세포 촉매가 고정화된 생체모방 실리카
8 8
pelB 신호 펩타이드 코딩 서열, 써모설퍼리모나스 디스뮤탄스(Thermosulfurimonas dismutans) 유래 탄산무수화효소(carbonic anhydrase) 코딩 서열 및 실리카 형성 펩타이드(silica forming peptide) 코딩 서열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재조합 벡터; 염; 및 실리카 전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체모방 실리카에 고정화된 전세포 촉매의 열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조성물
9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형성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모방 실리카에 고정화된 전세포 촉매의 열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조성물
10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염은 염화세슘(CsCl), 염화리튬(LiCl), 염화나트륨(NaCl), 염화칼륨(KCl), 염화루비듐(RbCl), 플루오린화나트륨(NaF), 브로민화나트륨(NaBr), 아이오딘화나트륨(NaI) 또는 질산나트륨(NaNO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모방 실리카에 고정화된 전세포 촉매의 열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조성물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수요관리핵심기술개발(에특)(R&D) 고집적·고안정성 효소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CO2 전환 공정기술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경상대학교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생체 모방 실리카 고정화에서의 효소 안정성 강화를 위한 염효과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