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암환자의 예후 및 항암 치료에 대한 반응성 예측 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19620
  • 담당센터 : 광주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62-360-4654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암환자의 예후 또는 항암 치료에 대한 반응성 예측 방법 등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 CD8+ T 세포 아형 (subset)의 비율을 측정함으로써 정확한 예후 예측 및 항암 치료에 대한 반응성 예측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예측 방법에 머신러닝을 적용하여 환자가 항암 치료에 대해 반응성을 보일 확률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계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바, 보다 효율적으로 암환자의 항암 치료-반응성 등을 예측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예측 방법은 비침습적인 시료를 이용하므로, 암 조직 분석 등을 수반하지 않고 신속하고 정확한 예후 예측이 가능하다.
Int. CL C12Q 1/02 (2017.01.01) G01N 33/574 (2006.01.01) C12Q 1/6886 (2018.01.01)
CPC C12Q 1/025(2013.01) G01N 33/574(2013.01) C12Q 1/6886(2013.01) C12Q 2600/118(2013.01) C12Q 2600/106(2013.01) C12Q 2525/20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042365 (2022.04.05)
출원인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138828 (2022.10.13)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10044488   |   2021.04.06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04.05)
심사청구항수 2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조재호 전라남도 화순군
2 이성우 전라남도 화순군
3 오인재 광주광역시 서구
4 양덕환 광주광역시 서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명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 **층 (삼성동,본솔빌딩)(명진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4.05 수리 (Accepted) 1-1-2022-0363838-5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피검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CD8+ T 세포 아형의 비율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환자의 예후 또는 항암 치료에 대한 반응성 예측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으로서,상기 CD8+ T 세포 아형의 비율은 전체 CCR7- CD45RA+ CD8+ T 세포 대비 CD27+ CD28+ CCR7- CD45RA+ CD8+ T 세포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정보제공방법은 피트니스 인자 (Fitness factor)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트니스 인자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a) 전체 CCR7- CD45RA- CD8+ T 세포 대비 CD27+ CD28+ CCR7- CD45RA- CD8+ T 세포의 비율;(b) 전체 CCR7- CD45RA- CD8+ T 세포 대비 CD27- CD28- CCR7- CD45RA- CD8+ T 세포의 비율;(c) 전체 CCR7- CD45RA- CD8+ T 세포 대비 Perforin+ CCR7- CD45RA- CD8+ T 세포의 비율;(d) 전체 CCR7- CD45RA- CD8+ T 세포 대비 Granzyme B+ CCR7- CD45RA- CD8+ T 세포의 비율; 및(e) 전체 CCR7- CD45RA- CD8+ T 세포 대비 IL-2+ CCR7- CD45RA- CD8+ T 세포의 비율
3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항암 치료는 면역항암요법, 화학항암요법, 방사선치료요법, 및 화학치료-방사선치료 병용요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4 4
제3항에 있어서,상기 면역항암요법은 면역체크포인트 억제제 또는 면역세포 활성제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5 5
제3항에 있어서,상기 면역항암요법은 항-PD-L1 치료, 항-PD-1 치료, 항-CTLA-4 치료, 항-LAG3 치료, 항-TIM3 치료, 항-BTLA 치료, 항-4-1BB 치료, 항-OX40 치료, 사이토카인 치료, IL-2 치료, 및 사이토카인 수용체 치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항암 치료는 면역체크포인트 억제제에 의한 치료이고, 상기 정보제공방법이 상기 전체 CCR7- CD45RA+ CD8+ T 세포 대비 CD27+ CD28+ CCR7- CD45RA+ CD8+ T 세포의 비율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낮은 경우, 피검체의 예후가 더 좋을 것으로 판정하거나, 항암 치료에 대한 반응성이 더 높을 것으로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제공방법
7 7
제2항에 있어서,상기 항암 치료는 면역체크포인트 억제제에 의한 치료이고, 상기 정보제공방법이 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특징을 만족하는 경우, 피검체의 예후가 더 좋을 것으로 판정하거나, 항암 치료에 대한 반응성이 더 높을 것으로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제공방법:(a) 상기 전체 CCR7- CD45RA- CD8+ T 세포 대비 CD27+ CD28+ CCR7- CD45RA- CD8+ T 세포의 비율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높음; 및(b) 상기 전체 CCR7- CD45RA- CD8+ T 세포 대비 CD27- CD28- CCR7- CD45RA- CD8+ T 세포의 비율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낮음
8 8
제2항에 있어서,상기 항암 치료는 면역체크포인트 억제제에 의한 치료이고, 상기 피검체는 항암 치료를 받기 전의 피검체이며, 상기 정보제공방법이 하기 특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대조군에 비해 피검체의 예후가 더 좋을 것으로 판정하거나, 항암 치료에 대한 반응성이 더 높을 것으로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제공방법:(c) 상기 전체 CCR7- CD45RA- CD8+ T 세포 대비 Perforin+ CCR7- CD45RA- CD8+ T 세포의 비율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낮음;(d) 상기 CCR7- CD45RA- CD8+ T 세포 대비 Granzyme B+ CCR7- CD45RA- CD8+ T 세포의 비율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낮음; 및(e) 상기 CCR7- CD45RA- CD8+ T 세포 대비 IL-2+ CCR7- CD45RA- CD8+ T 세포의 비율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높음
9 9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항암 치료는 IL-2 치료이고, 상기 피검체는 항암 치료를 받기 전의 피검체이며, 상기 정보제공방법이 전체 CD8+ T 세포 대비 CCR7- CD45RA+ CD8+ T 세포의 비율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높은 경우, 피검체의 예후가 더 좋을 것으로 판정하거나, 항암 치료에 대한 반응성이 더 높을 것으로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제공방법
10 10
제2항에 있어서,상기 항암 치료는 IL-2 치료이고, 상기 정보제공방법이 상기 전체 CCR7- CD45RA- CD8+ T 세포 대비 CD27+ CD28+ CCR7- CD45RA- CD8+ T 세포의 비율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낮은 경우, 피검체의 예후가 더 좋을 것으로 판정하거나, 항암 치료에 대한 반응성이 더 높을 것으로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제공방법
11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상기 IL-2 치료는 IL-2; 및 항-IL-2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의 컨쥬게이트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12 12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대조군은 정상인 또는 항암 치료 후 완전 관해 또는 부분 관해를 보인 암환자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13 1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시료는 혈액, 말초혈액, 전혈, 혈장, 및 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14 14
제1항에 있어서,상기 CD8+ T 세포 아형은 말초혈액 내의 CD8+ T 세포 아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15 15
제1항에 있어서,상기 암은 흑색종, 소세포 폐암, 비소세포 폐암, 신경교종, 간암, 갑상선 종양, 위암, 전립선암, 난소암, 방광암, 폐암, 대장암, 유방암, 호지킨림프종, 요로상피세포암, 교모세포종, 자궁내막암, 자궁경부암, 신장암, 결장암, 췌장암, 식도암종, 두경부암, 중피종, 육종, 담관암, 소장 선암, 소아 악성암, 표피암, 고환암, 혈액암, 및 뇌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16 16
CCR7- CD45RA+ CD8+ T 세포 및 CD27+ CD28+ CCR7- CD45RA+ CD8+ T 세포 검출용 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환자의 예후 또는 항암 치료에 대한 반응성 예측용 조성물
17 17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조성물은 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CD8+ T 세포 아형 검출용 제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CCR7- CD45RA- CD8+ T 세포;CD27+ CD28+ CCR7- CD45RA- CD8+ T 세포;CD27- CD28- CCR7- CD45RA- CD8+ T 세포;Perforin+ CCR7- CD45RA- CD8+ T 세포;Granzyme B+ CCR7- CD45RA- CD8+ T 세포; 및IL-2+ CCR7- CD45RA- CD8+ T 세포
18 18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제제는 항체 또는 앱타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9 19
제16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암환자의 예후 또는 항암 치료에 대한 반응성 예측용 키트
20 20
제19항에 있어서,상기 키트는 전체 CD8+ T 세포 검출용 제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21 21
제19항에 있어서,상기 키트는 제1항 또는 제2항의 정보제공방법이 기재된 설명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남대학교 집단연구지원(R&D) 복합암면역치료 연구센터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남대학교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면역치료 혁신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