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신규한 초분자 자기조립체, 이를 이용한 탄소 질화물 및 광촉매, 이들의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20077
  • 담당센터 : 부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1-606-6561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신규한 초분자 자기조립체, 이를 이용한 탄소 질화물 및 광촉매,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2 이상의 질소함유 화합물이 서로 수소 결합하여 형성된 복수의 복합체 단위; 및 상기 복수의 복합체 단위를 수소 결합으로 연결하는 링커 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질소함유 화합물 및 링커 단위는 각각 독립적으로 -NH기 및 상기 -NH기와 수소결합 가능하고, N, S 및 O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초분자 자기조립체를 이용함으로써, 높은 N-C=N 결합 비율을 가지는 탄소 질화물, 가시광선 하에서 광촉매 활성이 우수한 광촉매 및 이들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Int. CL C07D 251/30 (2006.01.01) B01J 35/00 (2006.01.01) B01J 27/24 (2006.01.01) B01J 23/30 (2006.01.01) B01J 23/22 (2006.01.01) B01J 23/28 (2006.01.01) B01J 35/10 (2006.01.01) B01J 35/02 (2006.01.01) B01J 37/00 (2006.01.01) B01J 37/08 (2006.01.01)
CPC C07D 251/30(2013.01) B01J 35/004(2013.01) B01J 27/24(2013.01) B01J 23/30(2013.01) B01J 23/22(2013.01) B01J 23/28(2013.01) B01J 35/1061(2013.01) B01J 35/1066(2013.01) B01J 35/1019(2013.01) B01J 35/023(2013.01) B01J 37/0018(2013.01) B01J 37/08(2013.01) C07B 2200/13(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10045141 (2021.04.07)
출원인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139488 (2022.10.17)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4.07)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남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병규 울산광역시 남구
2 밀라드 조르샤바니 울산광역시 남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다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 *길 **, 신관 *층~*층, **층(역삼동, 광성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4.07 수리 (Accepted) 1-1-2021-0406640-29
2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1.06.02 수리 (Accepted) 4-1-2021-5151542-25
3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1.07.07 수리 (Accepted) 4-1-2021-5185955-19
4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1.11.16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5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2.01.10 수리 (Accepted) 4-1-2022-5006881-65
6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2.01.13 수리 (Accepted) 4-1-2022-5010543-98
7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2.01.13 수리 (Accepted) 4-1-2022-5010528-13
8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2.04.25 수리 (Accepted) 4-1-2022-5097268-08
9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2.04.25 수리 (Accepted) 4-1-2022-5097214-4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2 이상의 질소함유 화합물이 서로 수소 결합하여 형성된 복수의 복합체 단위; 및상기 복수의 복합체 단위를 수소 결합으로 연결하는 링커 단위를 포함하고,상기 질소함유 화합물 및 링커 단위는 각각 독립적으로 -NH기 및 상기 -NH기와 수소결합 가능하고, N, S 및 O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초분자 자기조립체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질소함유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는 S 또는 O를 포함하되, 상기 링커 단위에 포함되는 헤테로원자와는 상이한 초분자 자기조립체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질소함유 화합물은 -NH기와 N을 가지는 제1질소함유화합물과, -NH기와 O를 가지는 제2질소함유화합물을 포함하고,상기 링커는 -NH기와 S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초분자 자기조립체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복합체는 1,3,5-트리아진(1,3,5-triazine) 골격 및 1,3,5-트리아지네인(1,3,5-triazinane) 골격을 포함하는 초분자 자기초립체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링커는 티오우레아, 티오우레아 이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초분자 자기조립체
6 6
제1항에 있어서,CuKα선을 이용한 X선 회절 측정 시 2θ=10
7 7
제1항에 있어서,FT-IR 측정 시 1084±20cm-1에서 피크를 나타내는 초분자 자기조립체
8 8
전구체를 이용하여 수열반응으로 초분자 자기조립체를 제조하는 초분자 자기조립체의 제조방법으로서,상기 전구체는,-NH기를 가지는 질소함유 화합물; 및상기 -NH기와 수소결합 가능하고, N, S 및 O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지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초분자 자기조립체의 제조방법
9 9
제8항에 있어서,전구체는 하기 (a) 내지 (c)를 포함하는 초분자 자기조립체의 제조방법:(a) 질소 원자를 2 내지 6개 포함하는 화합물;(b) 질소 원자를 2 내지 4개 포함하고, 산소 원자를 1개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 및(c) 질소 원자를 1개 이상 포함하고, 황 원자를 1개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
10 10
제9항에 있어서,상기 (a) 또는 (b)와 (c)의 몰비는 1:0
11 11
제8항에 있어서,상기 수열반응은 용매에 전구체를 용해시킨 후 60℃ 내지 180℃에서 1 내지 12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인 초분자 자기조립체의 제조방법
12 12
헵타진(Heptazine) 골격을 포함하는 탄소 질화물로서,C 1s X선 광전자 분광(XPS) 분석시, C-C 결합에너지를 나타내는 피크가 284
13 13
제12항에 있어서,밴드갭 에너지가 2
14 14
제1항의 초분자 자기조립체를 축중합 및 열처리하여 탄소 질화물을 제조하는 탄소 질화물의 제조방법
15 15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축중합은 500℃ 내지 600℃에서 2 시간 내지 5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인 탄소 질화물의 제조방법
16 16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열처리는 450℃ 내지 550℃에서 1 시간 내지 5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인 탄소 질화물의 제조방법
17 17
제12항의 탄소 질화물; 및상기 탄소 질화물의 표면 및/또는 내부에 형성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광촉매
18 18
제17항에 있어서,상기 금속 산화물은 텅스텐, 바나듐 및 몰리브덴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 산화물인 광촉매
19 19
제17항에 있어서,기공 크기가 30nm 이상이고, 기공 부피가 0
20 20
초분자 자기조립체를 축중합하는 단계; 및축중합된 자기조립체를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상기 축중합하는 단계는 금속함유 전구체와 자기 조립체를 용매에 분산하여 축중합하고, 또는상기 열처리하는 단계에서 금속함유 전구체와 축중합된 자기조립체를 용매에 분산하여 열처리하는 광촉매의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울산대학교 국제연구인력교류(R&D) 태양광 조사와 카본질화물에 기초한 차세대 광촉매의 설계와 개발을 통한 신재생에너지의 생산연구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울산대학교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Host-Guest Heterojunction 광촉매 시스템 개발 및 응용: 실내공기 중 탄소성 미세먼지, 전구체 및 바이오에어로졸의 광촉매 분해와 온실가스의 태양연료로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