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충방전 사이클을 이용하는 과산화수소 생산 시스템

  • 기술번호 : KST2022020448
  • 담당센터 : 부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1-606-6561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산소가 공급되는 캐소드(111) 및 제1 전해질(112)을 포함하는 제1 챔버(110); 애노드(121) 및 제2 전해질(122)를 포함하는 제2 챔버(120); 및 상기 제1 챔버(110)와 상기 제2 챔버(1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캐소드(111) 및 상기 애노드(121)와 대향하는 금속 전극(130)을 포함하고, 방전 사이클 동안 상기 제1 챔버(110)에서 산소 환원 반응에 의해 과산화수소를 발생하고, 충전 사이클 동안 상기 제2 챔버(120)에서 물의 산화 반응에 의해 과산화수소를 발생하는, 과산화수소 생산 시스템(100)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산화수소 생산 시스템은 외부 전력을 이용하지 않고 자발적으로 과산화수소를 생산할 수 있으며, 과산화수소가 충전, 방전 사이클 모두에서 생산 가능하므로 과산화수소의 생산 효율이 높다.
Int. CL C25B 5/00 (2021.01.01) C25B 1/30 (2006.01.01) C25B 9/21 (2021.01.01) C25B 13/02 (2021.01.01) C25B 15/08 (2006.01.01) H01M 12/08 (2015.01.01) H01M 10/36 (2006.01.01)
CPC C25B 5/00(2013.01) C25B 1/30(2013.01) C25B 9/21(2013.01) C25B 13/02(2013.01) C25B 15/08(2013.01) H01M 12/08(2013.01) H01M 10/3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10045197 (2021.04.07)
출원인 울산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139050 (2022.10.14)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4.07)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울산과학기술원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울주군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건태 울산광역시 울주군
2 김정원 울산광역시 울주군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유한)아이시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길**, **층, **층(코아렌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4.07 수리 (Accepted) 1-1-2021-0407115-4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산소가 공급되는 캐소드 및 제1 전해질을 포함하는 제1 챔버; 애노드 및 제2 전해질을 포함하는 제2 챔버; 및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캐소드 및 상기 애노드와 대향하는 금속 전극을 포함하고, 방전 사이클 동안 상기 제1 챔버에서 산소 환원 반응에 의해 과산화수소를 발생하고, 충전 사이클 동안 상기 제2 챔버에서 물의 산화 반응에 의해 과산화수소를 발생하는, 과산화수소 생산 시스템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는 상기 캐소드와 상기 금속 전극 사이에 제1 바이폴라(bipolar) 멤브레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생산 시스템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챔버는 상기 애노드와 상기 금속 전극 사이에 제2 바이폴라 멤브레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생산 시스템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는 일측이 상기 제1 전해질과 접촉하고 타측이 공기 또는 산소 기체와 직접 접촉하도록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생산 시스템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는 상기 제1 전해질에 공기 또는 산소 기체를 주입하는 기체 주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체 주입부는 상기 캐소드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캐소드로 산소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생산 시스템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는 산소와 물을 산소 환원 반응시켜 과산화수소를 발생하는 산소 환원 촉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생산 시스템
7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환원 촉매는 Pt-Hg 합금, Pd-Hg 합금, 및 Ag-Hg 합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 합금; 금(Au), 백금(Pt), 코발트(Co), 니켈(Ni), 망간(Mn),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으로서 원자 단위로 분산된 금속; 카르복실(-COOH) 작용기 및/또는 에테르(-C-O-C-) 작용기를 포함하는 탄소 화합물; 및 헤테로 원자가 치환된 탄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생산 시스템
8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는 물을 산화반응시켜 과산화수소를 발생하는 금속 산화물 촉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생산 시스템
9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 촉매는 ZnO, MnOx, TiO2, BiVO4, WO3, SnO2, Co3O4, Al2O3, 및 CaSnO3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생산 시스템
10 10
제1항에 있어서, 방전 사이클 동안에 상기 금속 전극은 애노드가 되고 상기 금속 전극의 금속이 산화되어 금속 산화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생산 시스템
11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사이클은 상기 시스템에 전위를 인가하여 실시되고 상기 충전 사이클 동안에 상기 금속 전극은 캐소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생산 시스템
12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사이클과 상기 충전 사이클이 서로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과산화수소가 연속적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생산 시스템
13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사이클 동안에 금속 전극의 금속으로부터 형성된 금속 산화물은 상기 충전 사이클 동안에 환원되어 금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생산 시스템
14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전극은 아연(Zn), 바나듐(V) 크롬(Cr) 망간(Mn) 철(Fe) 코발트(Co) 니켈(Ni) 구리(Cu)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및 칼슘(C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생산 시스템
15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해질 및 상기 제2 전해질은 물을 함유하는 수계 전해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생산 시스템
16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폴라 멤브레인은 방전 사이클 동안에 물을 양성자(H+)와 수산화 이온(OH-)으로 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생산 시스템
17 1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이폴라 멤브레인은 충전 사이클 동안에 물을 양성자(H+)와 수산화 이온(OH-)으로 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생산 시스템
18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폴라 멤브레인에서 형성된 양성자는 상기 캐소드 쪽의 제1 전해질로 이동하고, 상기 수산화 이온은 상기 금속 전극 쪽의 제1 전해질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생산 시스템
19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이폴라 멤브레인에서 형성된 양성자는 상기 금속 전극 쪽의 제2 전해질로 이동하고, 상기 수산화 이온은 상기 애노드 쪽의 제2 전해질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생산 시스템
20 20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폴라 멤브레인 또는 상기 제2 바이폴라 멤브레인은 음이온 교환성 고분자막과 양이온 교환성 고분자막을 접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생산 시스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울산과학기술원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친환경 에너지 변환을 위한 프로톤 전도성 고체산화물 전기화학적 에너지 저장 및 변환 장치용 촉매 소재의 개발 및 공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