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컬러 기반 바이러스 감지체

  • 기술번호 : KST2022020629
  • 담당센터 : 광주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62-360-4654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금속을 포함하는 반사층과, 상기 반사층 상에 형성되는 공진층과, 상기 공진층의 상부에 위치하며 항체를 고정시키는 항체고정층과, 상기 항체고정층 상에 형성되는 항체층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지체를 제공한다.
Int. CL G01N 21/78 (2006.01.01) G01N 33/52 (2006.01.01) G01N 33/569 (2017.01.01) G01N 33/543 (2006.01.01)
CPC G01N 21/78(2013.01) G01N 33/521(2013.01) G01N 33/56983(2013.01) G01N 33/5436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10053637 (2021.04.26)
출원인 주식회사 포엘, 광주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146858 (2022.11.0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4.26)
심사청구항수 7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주식회사 포엘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2 광주과학기술원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송영민 광주광역시 북구
2 유영진 부산광역시 남구
3 고주환 전라북도 정읍시
4 이종헌 경상남도 김해시 무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더웨이브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 *층(삼성동, 삼릉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1.04.26 수리 (Accepted) 1-1-2021-0486564-11
2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4.26 수리 (Accepted) 1-1-2021-0484604-03
3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2.02.28 수리 (Accepted) 1-1-2022-0227046-54
4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2.05.25 수리 (Accepted) 4-1-2022-5123273-82
5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2.07.15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금속을 포함하는 반사층; 상기 반사층 상에 형성되는 공진층; 상기 공진층의 상부에 위치하며 항체를 고정시키는 항체고정층; 상기 항체고정층 상에 형성되는 항체층;을 포함하는,바이러스 감지체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층과 상기 항체고정층의 사이에 형성되며 산화물을 포함하는 버퍼층;을 더 포함하는,바이러스 감지체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고정층은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또는 항체의 아미노기와 결합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가진 고분자 물질을 코팅함으로써 형성되는, 바이러스 감지체
4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고정층 상에 항체 수용액을 도포하면 항체가 상기 항체고정층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항체층이 형성되는, 바이러스 감지체
5 5
제1항에 있어서, 바이러스에 노출되면 상기 항체층과 바이러스의 항원-항체 반응으로 인해 표면의 색상이 변하는, 바이러스 감지체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층은 게르마늄(Ge) 또는 비정질 실리콘(a-Si) 중 하나로 이루어진, 바이러스 감지체
7 7
제1항에 있어서, 반사층은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티타늄(Ti) 또는 알루미늄(Al) 중 하나로 이루어진, 바이러스 감지체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광주과학기술원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초박막 플랫폼을 이용한 에어로졸 바이러스 컬러 감지 스마트 스킨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광주과학기술원 나노·소재기술개발(R&D) 고화질 광시야각 홀로그램용 복소 광변조 능동 메타 소재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