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전기영동을 이용한 광발광계용 양자점 배열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20823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광발광계용 양자점의 배열방법에 있어서, (a) 무극성을 띄는 양자점 및 무극성을 띄는 부도체 입자를 준비하는 단계, (b) 무극성을 띄는 양자점 및 무극성을 띄는 부도체 입자를 극성을 띄는 양자점 및 극성을 띄는 부도체 입자로 변환시키는 단계, (c) 극성을 띄는 양자점과 극성을 띄는 부도체 입자를 극성용매에 혼합하여 분산하는 단계 및 (d) 전기영동법을 이용하여 극성을 띄는 양자점과 극성을 띄는 부도체 입자를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다수로 형성되는 극성을 띄는 양자점은 다수로 형성되는 극성을 띄는 부도체 입자에 의해 서로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을 이용한 광발광계용 양자점 배열방법을 제공한다.
Int. CL B82B 3/00 (2017.01.01) C25D 13/22 (2006.01.01) B82Y 20/00 (2017.01.01) B82Y 40/00 (2017.01.01) B82Y 30/00 (2017.01.01)
CPC B82B 3/0014(2013.01) C25D 13/22(2013.01) B82Y 20/00(2013.01) B82Y 40/00(2013.01) B82Y 30/00(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10060196 (2021.05.10)
출원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152802 (2022.11.17)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5.10)
심사청구항수 14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대한민국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조한철 부산광역시 강서구
2 조관현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3 박병건 부산광역시 연제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상수 대한민국 서울시 서초구 효령로**길 ** *층 (브릿지웰빌딩)(에이치앤피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5.10 수리 (Accepted) 1-1-2021-0539046-04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1.08.13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광발광계용 양자점의 배열방법에 있어서,(a) 무극성을 띄는 양자점 및 무극성을 띄는 부도체 입자를 준비하는 단계;(b) 상기 무극성을 띄는 양자점 및 상기 무극성을 띄는 부도체 입자를 극성을 띄는 양자점 및 극성을 띄는 부도체 입자로 변환시키는 단계;(c) 상기 극성을 띄는 양자점과 상기 극성을 띄는 부도체 입자를 극성용매에 혼합하여 분산하는 단계; 및(d) 전기영동법을 이용하여 상기 극성을 띄는 양자점과 상기 극성을 띄는 부도체 입자를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다수로 형성되는 상기 극성을 띄는 양자점은 다수로 형성되는 상기 극성을 띄는 부도체 입자에 의해 서로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을 이용한 광발광계용 양자점 배열방법
2 2
제1 항에 있어서,상기 극성을 띄는 부도체 입자는 상기 극성을 띄는 양자점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을 이용한 광발광계용 양자점 배열방법
3 3
제1 항에 있어서,상기 (a) 단계는,(a1) 분산 용액과 머르캅토 관능기를 구비한 산 화합물 또는 염기 화합물이 수용된 수용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a2) 상기 수용 용기에 상기 무극성을 띄는 양자점 및 상기 무극성을 띄는 부도체 입자를 투입한 후 가열하는 단계; 및(a3) 상기 분산 용액, 상기 머르캅토 관능기를 구비한 산 화합물 또는 염기 화합물 및 상기 무극성을 띄는 양자점 및 상기 무극성을 띄는 부도체 입자를 기설정된 온도에 맞춰 기설정된 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을 이용한 광발광계용 양자점 배열방법
4 4
제1 항에 있어서,상기 (b) 단계는,(b1) 상기 무극성을 띄는 양자점 및 상기 무극성을 띄는 부도체 입자를 표면개질하는 단계;(b2) 상기 표면개질된 양자점 및 부도체 입자를 세척하는 단계; 및(b3) 상기 세척된 양자점 및 부도체 입자를 수분산하여 극성을 띄는 양자점 및 극성을 띄는 부도체 입자를 생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을 이용한 광발광계용 양자점 배열방법
5 5
제4 항에 있어서,상기 (b2) 단계는,유기용매가 수용된 세척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상기 유기용매에 상기 표면 개질된 양자점 및 부도체 입자를 분산하고 침전시키는 과정을 교번적으로 수행하여 세척하는 단계; 및상기 세척된 양자점 및 부도체 입자를 자연건조 및 진공건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건조시켜 잔류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을 이용한 광발광계용 양자점 배열방법
6 6
제5 항에 있어서,상기 (b3) 단계는,상기 잔류용매가 제거된 양자점 및 부도체 입자를 완충용액에 분산시킨 양자점 분산용액을 형성하는 단계;원심분리법으로 상기 양자점 및 부도체 입자 분산용액에 존재하는 양자점 및 부도체 입자의 응집체 및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상기 양자점 및 부도체 입자 분산용액에 pH 조절된 완충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및상기 pH를 조절하여 상기 표면 개질된 양자점 및 부도체 입자에 전하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을 이용한 광발광계용 양자점 배열방법
7 7
제1 항에 있어서,상기 (d) 단계는,(d1) 수용부에 수용되는 극성용매, 상기 극성용매에 분산된 상기 극성을 띄는 양자점 및 상기 극성을 띄는 부도체 입자를 준비하는 단계;(d2) 기설정된 패턴이 형성되는 양전극기판 및 음전극기판을 상기 극성용매에 담그는 단계; 및(d3) 전원공급부가 상기 양전극기판 및 상기 음전극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양전극기판 및 상기 음전극기판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기설정된 패턴에 전기장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전기장의 형태는 직류(DC) 및 교류(A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을 이용한 광발광계용 양자점 배열방법
8 8
제7 항에 있어서,상기 (d) 단계는,(d4) 상기 극성용매에 분산된 극성을 띄는 양자점 및 상기 극성을 띄는 부도체 입자가 상기 양전극기판의 기설정된 패턴 및 상기 음전극기판의 기설정된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열되어 상기 전기영동법에 의해 패터닝되는 단계; 및(d5) 상기 양전극기판 및 상기 음전극기판을 상기 극성용매로부터 꺼내어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을 이용한 광발광계용 양자점 배열방법
9 9
제7 항에 있어서,상기 극성용매는 상기 전기장이 형성 가능한 물질로서 물, 탈이온수(DIW: delonized water), 아세톤,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알콜(IPA: Iso Propyl Alcohol), 헥산, 벤젠, 톨루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법을 이용한 광발광계용 양자점의 배열방법
10 10
제1 항에 있어서,상기 극성을 띄는 양자점 및 상기 극성을 띄는 부도체 입자는 제타 포텐셜(zeta potential)에 의해 분산됨에 따라 양극 및 음극 중 어느 하나의 극성을 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을 이용한 광발광계용 양자점 배열방법
11 11
제1 항에 있어서,상기 극성을 띄는 양자점 및 상기 극성을 띄는 부도체 입자는 리간드 치환에 의해 분산됨에 따라 양극 및 음극 중 어느 하나의 극성을 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을 이용한 광발광계용 양자점 배열방법
12 12
제1 항에 있어서,상기 극성을 띄는 부도체 입자는 폴리머 입자 및 세라믹 입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을 이용한 광발광계용 양자점 배열방법
13 13
제1 항에 따른 전기영동을 이용한 광발광계용 양자점 배열방법을 적용하여 제조된 전기발광소자
14 14
제1 항에 따른 전기영동을 이용한 광발광계용 양자점 배열방법을 적용하여 제조된 디스플레이용 QD패널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기획재정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융복합생산기술제조혁신연구개발 [협력_융복합]4000 ppi 급 초고해상도 양자점 배열 기술 개발(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