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스마트 휴대기기를 활용한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21043
  • 담당센터 : 부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1-606-6561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스마트 휴대기기에 기내장된 라이다 센서 및 뎁스 카메라 등을 활용함으로써, 물리적 보조기구 없이 스마트 휴대기기 및 안전점검 서버의 실시간 연동에 따른 증강현실/가상현실 가시화를 통해 안전점검 시설물의 상태와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초보자 또는 비전문가도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또한, 안전점검 시설물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시설물 시간이력을 관리함으로써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유지관리 전략을 수립할 수 있으며, 또한, 입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미지 분류 및 분석을 통해 시설물의 열화/손상 종류를 파악하고, 또한, 분류 및 분석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설물의 열화/손상의 정량적 정도 및 물량을 파악할 수 있으며, 안전점검 시설물의 등급을 용이하게 산정할 수 있으며, 합리적인 유지관리전략을 수립하여 관리주체에게 제시할 수 있는, 스마트 휴대기기를 활용한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Int. CL G06Q 50/10 (2012.01.01) G01B 11/16 (2006.01.01) G01B 11/24 (2006.01.01) G01S 17/86 (2020.01.01) G01S 19/46 (2010.01.01) G01S 17/894 (2020.01.01) G06T 19/00 (2011.01.01)
CPC G06Q 50/10(2013.01) G01B 11/16(2013.01) G01B 11/24(2013.01) G01S 17/86(2013.01) G01S 19/46(2013.01) G01S 17/894(2013.01) G06T 19/00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10058274 (2021.05.06)
출원인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151263 (2022.11.15)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5.06)
심사청구항수 1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상남도 진주시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오홍섭 서울특별시 용산구
2 김영환 경상남도 진주시
3 장낙섭 경상남도 진주시
4 강범주 경상남도 진주시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송세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 **층 ****호 한영국제특허법률사무소 (서초동, 서초지웰타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5.06 수리 (Accepted) 1-1-2021-0522833-22
2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2.09.22 수리 (Accepted) 4-1-2022-5223092-37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라이다 센서, 뎁스 카메라 및 GPS 모듈이 내장된 스마트 휴대기기(200)를 활용한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에 있어서,라이다(LIDAR) 센서(210), 뎁스(Depth) 카메라(220) 및 GPS 모듈(240)을 구비하며, 상기 라이다 센서(210) 및 뎁스 카메라(220)를 활용하여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 외관을 스캔하고, GPS-기반으로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의 위치를 등록하며,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에 대한 외관 스캔 데이터 및 뎁스 영상을 상기 GPS 위치 데이터와 함께 전송하는 스마트 휴대기기(200);상기 스마트 휴대기기(2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의 외관 스캔 데이터에 따라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을 증강현실/가상현실 가시화하고,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의 부재별/재료별 시설물 등급을 산정하며, 시설물 시간이력을 분석 및 관리하고, 시설물의 유지관리전략을 수립하는 안전점검 서버(300);상기 안전점검 서버(300)가 수신 및 처리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획득된 데이터를 증강/가상현실화하여 저장 관리할 수 있도록 구현된 안전점검 DB(400); 및상기 안전점검 서버(300)가 시설물 시간이력을 분석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연동되는 연동 시스템(500)을 포함하되,상기 스마트 휴대기기(200) 및 안전점검 서버(300)의 실시간 연동에 따른 증강현실/가상현실 가시화를 통해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의 상태와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휴대기기를 활용한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스마트 휴대기기(200)는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의 제원을 입력한 후,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과 일정거리 유지한 상태에서 기내장된 라이다 센서(210) 및 뎁스 카메라(220)를 활용하여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 외관을 스캔하여 GPS-기반으로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의 위치를 등록하고,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에 대한 외관 스캔 데이터 및 뎁스 영상을 상기 GPS 위치 데이터와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휴대기기를 활용한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연동 시스템(500)은 시설물 통합정보관리 시스템(Facility Management System: FMS) 또는 빌딩정보관리(Building Information Management: BIM)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휴대기기를 활용한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휴대기기(200)는,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에 조사되어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의 외관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라이다 센서(210);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을 촬영하여 3D 뎁스 영상을 생성하는 뎁스 카메라(220);상기 스마트 휴대기기(200)의 위치에 따른 GPS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스마트 휴대기기(200)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의 위치를 확인하여 등록하는 GPS 모듈(240);상기 라이다 센서(210)로부터 생성된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의 외관 스캔 데이터, 상기 뎁스 카메라(220)로부터 촬영된 3D 뎁스 영상 및 GPS 위치 데이터를 수집 데이터 수집부(250);상기 안전점검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의 제원을 입력하는 시설물 제원 입력부(270); 및상기 데이터 수집부(250)로부터 수집된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의 외관 스캔 데이터, 3D 뎁스 영상 및 GPS 위치 데이터를 취합하여 상기 상기 안전점검 서버(300)로 전송하는 통신모듈(290)을 포함하는 스마트 휴대기기를 활용한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점검 서버(300)는,상기 스마트 휴대기기(200)로부터 전송되는 라이다 센서 스캔 데이터, 뎁스 카메라 촬영 데이터 및 GPS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310);상기 데이터 수신부(310)가 수신한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의 외관 스캔 데이터에 따라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을 증강현실/가상현실 가시화하는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가시화 모듈(320);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의 부재별/재료별 시설물 등급을 산정하는 시설물 등급 산정 모듈(330);상기 연동 시스템(500)과 연동시켜 시설물 시간이력을 분석 및 관리하는 시설물 시간이력 관리부(340); 및상기 안전점검 서버(300)가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에 따라 시설물의 유지관리전략을 수립하여 관리주체 단말(600)에게 통지하는 시설물 유지관리전략 수립부(350)를 포함하는 스마트 휴대기기를 활용한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6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등급 산정 모듈(330)은,이미지 분류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안전점검 시설물(100)의 열화/손상 종류를 분류 및 분석하는 이미지 분류 및 분석부(331);라이다 스캔 데이터에 따른 열화/손상 면적률을 산정하는 열화/손상 면적률 산정부(332);이미지 분석을 통해 균열폭을 산정하는 균열폭 산정부(333);GPS 위치 데이터에 따른 열화/손상 위치를 표시하는 열화/손상 위치 표시부(334); 및안전점검 시설물의 부재별/재료별 등급을 산정하는 시설물 등급 산정부(335)를 포함하는 스마트 휴대기기를 활용한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7 7
라이다 센서, 뎁스 카메라 및 GPS 모듈이 내장된 스마트 휴대기기(200)를 활용한 시설물 안전점검 방법에 있어서,a) 스마트 휴대기기(200)를 사용하여 안전점검 시설물(100)의 시작점에서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에 대한 제원을 입력하는 단계;b)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의 시작점과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의 외관 스캔 데이터 및 GPS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c) 상기 스마트 휴대기기(2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안전점검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계;d) 상기 안전점검 서버(300)가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의 외관 스캔 데이터에 따라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을 증강현실/가상현실 가시화하는 단계;e) 상기 안전점검 서버(300)가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의 부재별/재료별 시설물 등급을 산정하는 단계;f) 연동 시스템(500)과 연동시켜 상기 안전점검 서버(300)가 시설물 시간이력을 분석 및 관리하는 단계; 및g) 상기 안전점검 서버(300)가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에 따라 시설물의 유지관리전략을 수립하여 관리주체 단말(600)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상기 스마트 휴대기기(200) 및 안전점검 서버(300)의 실시간 연동에 따른 증강현실/가상현실 가시화를 통해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의 상태와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휴대기기를 활용한 시설물 안전점검 방법
8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e-1) 이미지 분류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안전점검 시설물(100)의 열화/손상 종류를 분류 및 분석하는 단계;e-2) 라이다 스캔 데이터에 따른 열화/손상 면적률을 산정하는 단계;e-3) 이미지 분석을 통해 균열폭을 산정하는 단계;e-4) GPS 위치 데이터에 따른 열화/손상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 및e-5)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의 부재별/재료별 등급을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휴대기기를 활용한 시설물 안전점검 방법
9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스마트 휴대기기(200)는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의 제원을 입력한 후,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과 일정거리 유지한 상태에서 기내장된 라이다 센서(210) 및 뎁스 카메라(220)를 활용하여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 외관을 스캔하여 GPS-기반으로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의 위치를 등록하고,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에 대한 외관 스캔 데이터 및 뎁스 영상을 상기 GPS 위치 데이터와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휴대기기를 활용한 시설물 안전점검 방법
10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휴대기기(200)는,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에 조사되어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의 외관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라이다 센서(210);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을 촬영하여 3D 뎁스 영상을 생성하는 뎁스 카메라(220);상기 스마트 휴대기기(200)의 위치에 따른 GPS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스마트 휴대기기(200)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의 위치를 확인하여 등록하는 GPS 모듈(240);상기 라이다 센서(210)로부터 생성된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의 외관 스캔 데이터, 상기 뎁스 카메라(220)로부터 촬영된 3D 뎁스 영상 및 GPS 위치 데이터를 수집 데이터 수집부(250);상기 안전점검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의 제원을 입력하는 시설물 제원 입력부(270); 및상기 데이터 수집부(250)로부터 수집된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의 외관 스캔 데이터, 3D 뎁스 영상 및 GPS 위치 데이터를 취합하여 상기 상기 안전점검 서버(300)로 전송하는 통신모듈(290)을 포함하는 스마트 휴대기기를 활용한 시설물 안전점검 방법
11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점검 서버(300)는,상기 스마트 휴대기기(200)로부터 전송되는 라이다 센서 스캔 데이터, 뎁스 카메라 촬영 데이터 및 GPS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310);상기 데이터 수신부(310)가 수신한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의 외관 스캔 데이터에 따라 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을 증강현실/가상현실 가시화하는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가시화 모듈(320);상기 안전점검 시설물(100)의 부재별/재료별 시설물 등급을 산정하는 시설물 등급 산정 모듈(330);상기 연동 시스템(500)과 연동시켜 시설물 시간이력을 분석 및 관리하는 시설물 시간이력 관리부(340); 및상기 안전점검 서버(300)가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에 따라 시설물의 유지관리전략을 수립하여 관리주체 단말(600)에게 통지하는 시설물 유지관리전략 수립부(350)를 포함하는 스마트 휴대기기를 활용한 시설물 안전점검 방법
12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등급 산정 모듈(330)은,이미지 분류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안전점검 시설물(100)의 열화/손상 종류를 분류 및 분석하는 이미지 분류 및 분석부(331);라이다 스캔 데이터에 따른 열화/손상 면적률을 산정하는 열화/손상 면적률 산정부(332);이미지 분석을 통해 균열폭을 산정하는 균열폭 산정부(333);GPS 위치 데이터에 따른 열화/손상 위치를 표시하는 열화/손상 위치 표시부(334); 및안전점검 시설물의 부재별/재료별 등급을 산정하는 시설물 등급 산정부(335)를 포함하는 스마트 휴대기기를 활용한 시설물 안전점검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