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다중 연결 네트워크에서 패킷 복제를 기반한 최적 HARQ 재전송 횟수 판별 장치 및 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21560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동일한 사용자 단말로 동일한 패킷을 전송하는 다수의 접속 노드를 포함하는 다중 연결 네트워크에서 각 접속 노드의 채널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채널 상태 측정부, 접속 노드 각각의 채널 상태와 최대 HARQ 재전송 횟수에 따른 다중 연결 네트워크의 패킷 신뢰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패킷 신뢰도가 기지정된 패킷 신뢰도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하는 패킷 신뢰도 조건 판별부, 최대 HARQ 재전송 횟수에 따른 접속 노드 각각의 최대 HARQ 지연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최대 HARQ 지연 시간이 기지정된 지연 시간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하는 지연시간 조건 판별부 및 최대 HARQ 재전송 횟수를 기지정된 초기값으로 초기화하고, 각 접속 노드가 채널 상태에 따라 사용하는 무선 자원량과 평균 재전송 횟수를 계산하여 각 접속 노드의 최대 HARQ 재전송 횟수에 따른 전체 무선 자원량에 대한 기대값의 변화량을 계산하며, 패킷 신뢰도 조건과 지연 시간 조건을 만족하도록, 계산된 기대값의 변화량에 따라 다수의 접속 노드의 최대 HARQ 재전송 횟수를 증가시키는 최대 HARQ 재전송 횟수 결정부를 포함하여, 무선 자원량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최적 HARQ 재전송 횟수 판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Int. CL H04L 1/18 (2006.01.01) H04L 1/00 (2006.01.01) H04L 1/20 (2006.01.01) H04W 28/04 (2009.01.01) H04B 17/309 (2014.01.01)
CPC H04L 1/1825(2013.01) H04L 1/0002(2013.01) H04L 1/0018(2013.01) H04L 1/0026(2013.01) H04L 1/1812(2013.01) H04L 1/203(2013.01) H04W 28/04(2013.01) H04B 17/309(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10042677 (2021.04.01)
출원인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136707 (2022.10.1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4.01)
심사청구항수 19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정종문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2 이창성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3 김준성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4 정재욱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5 백정석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민영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남부순환로 ****, *층(도곡동, 차우빌딩)(맥스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4.01 수리 (Accepted) 1-1-2021-0384195-07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1.07.16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2.10.07 수리 (Accepted) 4-1-2022-5235822-97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동일한 사용자 단말로 동일한 패킷을 전송하는 다수의 접속 노드를 포함하는 다중 연결 네트워크에서 각 접속 노드의 채널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채널 상태 측정부; 상기 접속 노드 각각의 채널 상태와 최대 HARQ 재전송 횟수에 따른 다중 연결 네트워크의 패킷 신뢰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패킷 신뢰도가 기지정된 패킷 신뢰도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하는 패킷 신뢰도 조건 판별부; 최대 HARQ 재전송 횟수에 따른 상기 접속 노드 각각의 최대 HARQ 지연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최대 HARQ 지연 시간이 기지정된 지연 시간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하는 지연시간 조건 판별부; 및 최대 HARQ 재전송 횟수를 기지정된 초기값으로 초기화하고, 각 접속 노드가 채널 상태에 따라 사용하는 무선 자원량과 평균 재전송 횟수를 계산하여 각 접속 노드의 최대 HARQ 재전송 횟수에 따른 전체 무선 자원량에 대한 기대값의 변화량을 계산하며, 상기 패킷 신뢰도 조건과 상기 지연 시간 조건을 만족하도록, 계산된 기대값의 변화량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접속 노드의 최대 HARQ 재전송 횟수를 증가시키는 최대 HARQ 재전송 횟수 결정부를 포함하는 최적 HARQ 재전송 횟수 판별 장치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HARQ 재전송 횟수 결정부는 상기 다수의 접속 노드 각각의 최대 HARQ 재전송 횟수를 기지정된 초기값으로 초기화하고, 최대 HARQ 재전송 횟수의 초기값에 따른 상기 패킷 신뢰도 조건과 상기 지연 시간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상기 다수의 접속 노드의 상기 기대값의 변화량을 계산하여, 상기 기대값의 변화량이 최소로 증가하는 순서에 따라 선택하여 상기 다수의 접속 노드의 최대 HARQ 재전송 횟수를 교대로 증가시키며, 교대로 증가된 최대 HARQ 재전송 횟수에 따라 계산된 최대 HARQ 지연 시간이 상기 지연 시간 조건을 만족하면, 현재 선택된 접속 노드의 최대 HARQ 재전송 횟수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최대 HARQ 재전송 횟수에 따른 패킷 신뢰도가 상기 패킷 신뢰도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하여, 상기 패킷 신뢰도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다수의 접속 노드의 현재 최대 HARQ 재전송 횟수를 최적화된 최대 HARQ 재전송 횟수로 결정하는 최적 HARQ 재전송 횟수 판별 장치
3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HARQ 재전송 횟수 결정부는 증가된 최대 HARQ 재전송 횟수에 따라 계산된 최대 HARQ 지연 시간이 상기 지연 시간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이전 선택된 접속 노드의 증가된 최대 HARQ 재전송 횟수를 복구하고, 다른 접속 노드를 선택하여 최대 HARQ 재전송 횟수를 증가시키며, 업데이트된 최대 HARQ 재전송 횟수에 따른 패킷 신뢰도가 상기 패킷 신뢰도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업데이트된 최대 HARQ 재전송 횟수를 기반으로 상기 기대값의 변화량을 계산하여, 상기 기대값의 변화량이 최소로 증가하는 순서에 따라 선택하는 최적 HARQ 재전송 횟수 판별 장치
4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HARQ 재전송 횟수 결정부는 각 접속 노드(gNBi)가 사용하는 무선 자원량(ri)을 수학식 (여기서 ri는 제i(i = {1, 2, …, N}) 접속 노드에서 수집된 채널 상태 정보인 SINR(γi)의 채널 상태에서 L 비트의 패킷을 패킷 오류율(pi,m)이 되도록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무선 자원량을 나타내고, Ci 는 섀넌 무선 채널 용량으로 Ci = log2(1 + γi)이며, V(γi) = (log2(e))2(1-1/(1+γi)2)이다
5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신뢰도 조건 판별부는 각 접속 노드의 채널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각 접속 노드의 패킷 오류율을 계산하고, 상기 패킷 오류율과 최대 HARQ 재전송 횟수에 따라 패킷 손실률을 계산하며, 상기 패킷 손실률을 이용하여 상기 패킷 신뢰도를 계산하는 최적 HARQ 재전송 횟수 판별 장치
6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시간 조건 판별부는 각 접속 노드의 단일 전송 시간을 계산하고, 최대 HARQ 재전송 횟수에 따른 단일 전송 시간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응신에 따른 시간을 반영하여 상기 최대 HARQ 지연 시간을 계산하는 최적 HARQ 재전송 횟수 판별 장치
7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신뢰도 조건 판별부는 상기 채널 상태 정보로서 수집된 각 접속 노드(gNBi)의 SINR(γi)을 기반으로 각 접속 노드(gNBi)에서의 패킷 오류율(pi,m)을 수학식 (여기서, γi 는 제i 접속 노드에서 수집된 SINR이고, m은 HARQ 재전송 횟수이며, am, gm 및 γp,m 은 변조 코딩 기법과 적응적 변조 및 코딩기법에 따른 m번째 HARQ 재전송시의 파라미터 값과 SINR 값으로 미리 지정된 상수값이다
8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시간 조건 판별부는 각 접속 노드(gNBi)의 단일 전송 시간을 수학식 (여기서 Tone,i 는 제i 접속 노드의 단일 전송 시간, TDL_align 은 하향 링크 패킷 정렬 시간, TgNB_proc,i 은 해당 접속 노드의 처리 시간, TDL_Tx,i 는 다운링크 접속 시간( = 전송 시간 간격(TTI)), TUE_proc 은 사용자 단말(UE)의 처리 시간을 나타낸다
9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HARQ 재전송 횟수 결정부는 각 접속 노드(gNBi)의 평균 재전송 횟수(E[mi])를 수학식 에 따라 계산하여, 다중 연결 네트워크에서 전체 무선 자원량에 대한 기대값(E[rMC])을 수학식 에 따라 계산하며, 무선 자원량 기대값(E[rMC])의 변화량을 수학식 에 따라 계산하는 최적 HARQ 재전송 횟수 판별 장치
1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접속 노드 중 하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오리지널 패킷을 전송하는 마스터 노드이고, 나머지 접속 노드는 상기 마스터 노드로부터 상기 오리지널 패킷이 복제된 복제 패킷을 인가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세컨드리 노드이며, 상기 패킷 신뢰도 조건과 상기 지연 시간 조건은 URLLC(Ultra-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에 의해 미리 지정되는 최적 HARQ 재전송 횟수 판별 장치
11 11
동일한 사용자 단말로 동일한 패킷을 전송하는 다수의 접속 노드를 포함하는 다중 연결 네트워크에서 각 접속 노드의 최대 HARQ 재전송 횟수를 기지정된 초기값으로 초기화하는 단계; 각 접속 노드의 채널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접속 노드 각각의 채널 상태와 최대 HARQ 재전송 횟수에 따른 다중 연결 네트워크의 패킷 신뢰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패킷 신뢰도가 기지정된 패킷 신뢰도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하는 단계; 최대 HARQ 재전송 횟수에 따른 상기 접속 노드 각각의 최대 HARQ 지연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최대 HARQ 지연 시간이 기지정된 지연 시간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하는 단계; 및 각 접속 노드가 채널 상태에 따라 사용하는 무선 자원량과 평균 재전송 횟수를 계산하여 각 접속 노드의 최대 HARQ 재전송 횟수에 따른 전체 무선 자원량에 대한 기대값의 변화량을 계산하며, 상기 패킷 신뢰도 조건과 상기 지연 시간 조건을 만족하도록, 계산된 기대값의 변화량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접속 노드의 최대 HARQ 재전송 횟수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최적 HARQ 재전송 횟수 판별 방법
12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HARQ 재전송 횟수를 증가시키는 단계는 최대 HARQ 재전송 횟수의 초기값에 따른 상기 패킷 신뢰도 조건과 상기 지연 시간 조건이 만족하는지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패킷 신뢰도 조건과 상기 지연 시간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 자원량과 평균 재전송 횟수를 계산하여 상기 다수의 접속 노드의 상기 기대값의 변화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기대값의 변화량이 최소로 증가하는 순서에 따라 선택하여 상기 다수의 접속 노드의 최대 HARQ 재전송 횟수를 교대로 증가시키는 단계; 교대로 증가된 최대 HARQ 재전송 횟수에 따라 계산된 최대 HARQ 지연 시간이 상기 지연 시간 조건을 만족하면, 현재 선택된 접속 노드의 최대 HARQ 재전송 횟수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업데이트된 최대 HARQ 재전송 횟수에 따른 패킷 신뢰도가 상기 패킷 신뢰도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 신뢰도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다수의 접속 노드의 현재 최대 HARQ 재전송 횟수를 최적화된 최대 HARQ 재전송 횟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최적 HARQ 재전송 횟수 판별 방법
13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HARQ 재전송 횟수를 증가시키는 단계는 증가된 최대 HARQ 재전송 횟수에 따라 계산된 최대 HARQ 지연 시간이 상기 지연 시간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이전 선택된 접속 노드의 증가된 최대 HARQ 재전송 횟수를 복구하고, 다른 접속 노드를 선택하여 최대 HARQ 재전송 횟수를 증가시키는 단계; 및 업데이트된 최대 HARQ 재전송 횟수에 따른 패킷 신뢰도가 상기 패킷 신뢰도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업데이트된 최대 HARQ 재전송 횟수를 기반으로 상기 기대값의 변화량을 계산하여, 상기 기대값의 변화량이 최소로 증가하는 순서에 따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최적 HARQ 재전송 횟수 판별 방법
14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신뢰도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하는 단계는 각 접속 노드의 채널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각 접속 노드의 패킷 오류율을 계산하고, 상기 패킷 오류율과 최대 HARQ 재전송 횟수에 따라 패킷 손실률을 계산하며, 상기 패킷 손실률을 이용하여 상기 패킷 신뢰도를 계산하는 최적 HARQ 재전송 횟수 판별 방법
15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하는 단계는 각 접속 노드의 단일 전송 시간을 계산하고, 최대 HARQ 재전송 횟수에 따른 단일 전송 시간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응신에 따른 시간을 반영하여 상기 최대 HARQ 지연 시간을 계산하는 최적 HARQ 재전송 횟수 판별 방법
16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신뢰도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 상태 정보로서 수집된 각 접속 노드(gNBi)의 SINR(γi)을 기반으로 각 접속 노드(gNBi)에서의 패킷 오류율(pi,m)을 수학식 (여기서, γi 는 제i 접속 노드에서 수집된 SINR이고, m은 HARQ 재전송 횟수이며, am, gm 및 γp,m 은 변조 코딩 기법과 적응적 변조 및 코딩기법에 따른 m번째 HARQ 재전송시의 파라미터 값과 SINR 값으로 미리 지정된 상수값이다
17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하는 단계는 각 접속 노드(gNBi)의 단일 전송 시간을 수학식 (여기서 Tone,i 는 제i 접속 노드의 단일 전송 시간, TDL_align 은 하향 링크 패킷 정렬 시간, TgNB_proc,i 은 해당 접속 노드의 처리 시간, TDL_Tx,i 는 다운링크 접속 시간( = 전송 시간 간격(TTI)), TUE_proc 은 사용자 단말(UE)의 처리 시간을 나타낸다
18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대값의 변화량을 계산하는 단계는 각 접속 노드(gNBi)가 사용하는 무선 자원량(ri)을 수학식 (여기서 ri는 제i(i = {1, 2, …, N}) 접속 노드에서 수집된 채널 상태 정보인 SINR(γi)의 채널 상태에서 L 비트의 패킷을 패킷 오류율(pi,m)이 되도록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무선 자원량을 나타내고, Ci 는 섀넌 무선 채널 용량으로 Ci = log2(1 + γi)이며, V(γi) = (log2(e))2(1-1/(1+γi)2)이다
19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접속 노드 중 하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오리지널 패킷을 전송하는 마스터 노드이고, 나머지 접속 노드는 상기 마스터 노드로부터 상기 오리지널 패킷이 복제된 복제 패킷을 인가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세컨드리 노드이며, 상기 패킷 신뢰도 조건과 상기 지연 시간 조건은 URLLC(Ultra-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에 의해 미리 지정되는 최적 HARQ 재전송 횟수 판별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보통신방송연구개발사업 무선광통신 기반 수직 이동통신 네트워크 기술 개발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