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중기공 탄소-탄소와이어 구조체와 황을 포함하는 리튬-황전지용 양극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황전지

  • 기술번호 : KST2022022255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평균 기공크기가 3~5nm인 중기공을 포함하는 탄소구조체와, 상기 중기공을 포함하는 탄소구조체로부터 성장한 탄소와이어를 포함하고, 입자의 크기가 80~800nm인 중기공 탄소-탄소와이어 구조체와; 상기 중기공 탄소-탄소와이어 구조체의 기공 내에 함침된 황;을 포함하는 리튬-황전지용 양극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황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리튬-황전지용 양극재 조성물은 중기공이 발달하고 다양한 크기의 기공을 가지면서 높은 기공도와 높은 비표면적을 가져 리튬 폴리설파이드의 용출을 막을 수 있는 구형의 탄소 나노구조체와, 중기공 탄소입자로부터 성장하여 탄소입자를 상호연결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이온 전달특성과 전자 전달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높은 전기전도도를 가진 탄소와이어 구조로 이루어진 중기공 탄소-탄소와이어 구조체를 사용하고, 중기공 탄소-탄소와이어 구조체 내부의 빈공간인 기공에 함침된 다량의 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를 양극재로 사용하면 양극 내 고함량의 황을 담지할 수 있으므로 높은 에너지밀도를 가진 리튬-황전지를 얻을 수 있다.
Int. CL H01M 4/36 (2006.01.01) H01M 4/38 (2006.01.01) H01M 4/62 (2006.01.01) H01M 4/66 (2006.01.01) H01M 10/052 (2010.01.01) H01M 4/02 (2006.01.01)
CPC H01M 4/362(2013.01) H01M 4/38(2013.01) H01M 4/625(2013.01) H01M 4/663(2013.01) H01M 10/052(2013.01) H01M 2004/02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10062405 (2021.05.14)
출원인 주식회사 와이파인텍, 한국화학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154894 (2022.11.2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5.14)
심사청구항수 16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주식회사 와이파인텍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2 한국화학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은겸 세종특별자치시 새롬중
2 이재광 대전광역시 서구
3 석정돈 대전광역시 유성구
4 김도엽 대전광역시 서구
5 김태영 경기도 의정부시 서부로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유병선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월평북로 **, ***호 (월평동, 만년오피스텔)(금강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5.14 수리 (Accepted) 1-1-2021-0558208-94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2.10.14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다공성 실리카 구조체를 제조하는 단계;상기 다공성 실리카 구조체의 표면에 탄소함유-고분자물질을 코팅하고 열처리하여 다공성 실리카-탄소구조체를 제조하는 단계;상기 다공성 실리카-탄소구조체에 탄소와이어를 성장시켜 다공성 실리카-탄소-탄소와이어 구조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다공성 실리카-탄소-탄소와이어 구조체에서 실리카를 제거하여 중기공 탄소-탄소와이어 구조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상기 중기공 탄소-탄소와이어 구조체에 황을 함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황전지용 양극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다공성 실리카 구조체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TEOS(Tetraethyl orthosilicate) 2~10중량%, 20~35중량% 농도의 암모니아수 2~15중량%, 증류수 3~25중량%, TEOS 부피의 0
3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다공성 실리카 구조체는, 용매에 20~35중량% 농도의 암모니아수, 증류수, 유기실란 및 TEOS를 혼합하여 5시간 이상 교반하여 합성하는 단계;액상부를 제거하고 고형분만을 분리하여 90~110℃에서 12시간 이상 건조시키는 단계; 및500~600℃에서 4~6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다공성 실리카 구조체는 입자크기 80~700nm의 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탄소함유-고분자물질은 페놀수지, PVA(polyvinyl alcohol), PAN(polyacrylonitrile),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VC(polyvinylchloride) 및 PS(polystyrene) 중 선택된 열가소성 수지와, 셀룰로오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6
제5항에 있어서,상기 열가소성 수지와 셀룰로오스는 6:4 내지 8:2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다공성 실리카-탄소구조체는,다공성 실리카 구조체 중량의 2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다공성 실리카 구조체에 탄소함유-고분자 물질을 코팅하는 단계 후 75~85℃에서 3시간 이상 숙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9 9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다공성 실리카-탄소-탄소와이어 구조체는,상기 다공성 실리카-탄소구조체 중량대비 4~5중량%의 마그네슘(Mg)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다공성 실리카-탄소구조체에 마그네슘이 혼합된 분말을 질소분위기에서 600~700℃에서 5~7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열처리된 시료를 분쇄한 후 150~250메쉬 크기의 체를 통과한 분체인 다공성 실리카-탄소-탄소와이어 구조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0 10
제1항에 있어서,상기 중기공 탄소-탄소와이어 구조체는, 다공성 실리카-탄소-탄소와이어 구조체 고형분 중량의 8~12배 중량의 증류수를 반응용기에 넣고 불산을 증류수에 서서히 주입하여 15~25중량%의 불산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상기 불산용액에 다공성 실리카-탄소-탄소와이어 구조체를 서서히 주입하고 밀봉한 후 12시간 이상 반응시켜 다공성 실리카-탄소-탄소와이어 구조체 내 실리카 물질을 용해시키는 단계;여과하여 용액을 제거하고 고형분은 증류수로 3~5회 세척하는 단계; 및분리된 고형분을 90~110℃에서 10~14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1 11
제1항에 있어서,원소 황을 분쇄하는 단계;분쇄된 황과 중기공 탄소-탄소와이어 구조체를 2~4: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분쇄하는 단계; 및150~160℃에서 10~14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중기공 탄소-탄소와이어 구조체에 황을 함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2 1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중기공 탄소-탄소와이어 구조체는 평균 기공크기가 3~5nm인 중기공을 포함하고 입자의 크기가 80~8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3 13
평균 기공크기가 3~5nm인 중기공을 포함하는 탄소구조체와, 상기 중기공을 포함하는 탄소구조체로부터 성장한 탄소와이어를 포함하고, 입자의 크기가 80~800nm인 중기공 탄소-탄소와이어 구조체와;상기 중기공 탄소-탄소와이어 구조체의 기공 내에 함침된 황;을 포함하는 리튬-황전지용 양극재 조성물
14 14
제13항에 있어서,상기 리튬-황전지 양극재 조성물은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전지용 양극재 조성물
15 15
리튬-황전지에 있어서,평균 기공크기가 3~5nm인 중기공을 포함하는 탄소구조체와, 상기 중기공을 포함하는 탄소구조체로부터 성장한 탄소와이어를 포함하고, 입자의 크기가 80~800nm인 중기공 탄소-탄소와이어 구조체와; 상기 중기공 탄소-탄소와이어 구조체의 기공 내에 함침된 황;을 포함하는 리튬-황전지용 양극재 조성물을 양극재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전지
16 16
제15항에 있어서,상기 리튬-황전지 양극재 조성물은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전지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산업통상자원부 와이파인텍 소재부품기술개발-전략핵심소재자립화기술개발기술개발사업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황 활용율 1000 mAh/g 이상 고용량 고안전성 황함유 전지 소재 및 적용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