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오갈피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기술번호 : KST2022022292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및 오갈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은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및 오갈피 추출물 또는 치사노게닌을 병용 투여함으로써 각각의 물질 단독 투여에 비해 상승된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각 물질의 과량 투여 또는 장기 투여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임의의 부작용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t. CL A61K 36/38 (2006.01.01) A61K 31/194 (2006.01.01) A61K 36/254 (2006.01.01) A61K 31/365 (2006.01.01) A61P 1/16 (2006.01.01) A23L 33/105 (2016.01.01) A23K 10/30 (2016.01.01)
CPC A61K 36/38(2013.01) A61K 31/194(2013.01) A61K 36/254(2013.01) A61K 31/365(2013.01) A61P 1/16(2013.01) A23L 33/105(2013.01) A23K 10/30(2013.01) A23V 2002/00(2013.01) A23V 2250/30(2013.01) A23V 2200/30(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055720 (2022.05.04)
출원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154023 (2022.11.2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10061558   |   2021.05.12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05.04)
심사청구항수 1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수의 대전광역시 유성구
2 김문옥 대전광역시 유성구
3 류형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4 오세량 대전광역시 유성구
5 김두영 대전광역시 유성구
6 이재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석만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 *층 (역삼동, 청송빌딩)(시원국제특허법률사무소)
2 이희숙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 *층 (역삼동, 청송빌딩)(시원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5.04 수리 (Accepted) 1-1-2022-0481640-56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르시니아 추출물 및 오갈피 추출물은 각각 독립적으로 꽃, 잎, 뿌리, 열매, 줄기, 뿌리껍질, 줄기껍질 또는 이의 혼합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갈피 추출물은 오갈피나무(Acanthopanax sessiliflorus(RUPR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 질환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알코올성 지방간, 알코올성 간 손상, 간염, 간 섬유화, 간 경변, 간 부전 및 간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및 오갈피 추출물은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a)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추출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 (b) 초임계 추출법 또는 (c) 초음파 추출법을 통해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사노게닌(Chisanogenin)은 오갈피로부터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 및 (ii)는 단일 조성물(single composition)의 형태이거나 또는 개별적인 조성물(separate composition)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8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 및 (ii)는 동시에(simutaneous), 별도로(separate) 또는 순차적(sequential)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9 9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0 10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수의학적 조성물
11 11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천연물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만성질환의 천연물유래 의약 원천물질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지질대사질환 치료용 해외 천연물소재 가치제고 및 상용화 연구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만성질환 개선/치료용 천연물 원천소재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