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시변 밀러 보상을 사용하는 다단계 증폭기 및 그의 동작 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22533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개시의 일 양상으로, 다단계 증폭기에 있어서, 제1 스테이지 회로; 상기 제1 스테이지 회로의 출력단과 종속 접속되는 제2 스테이지 회로; 및 상기 제2 스테이지 회로의 입력단 및 상기 제2 스테이지 회로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로컬 피드백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테이지 회로는: 상기 제1 스테이지 회로의 입력단 및 상기 제1 스테이지 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1 인버터; 상기 제1 인버터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인버터를 충전하는 제1 충전 커패시터; 및 상기 제1 스테이지 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1 부하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테이지 회로는: 상기 제2 스테이지 회로의 입력단 및 상기 제2 스테이지 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2 인버터; 상기 제2 인버터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인버터를 충전하는 제2 충전 커패시터; 및 상기 제2 스테이지 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2 부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다단계 증폭기이다.
Int. CL H03F 1/22 (2006.01.01) H03F 3/45 (2006.01.01)
CPC H03F 1/223(2013.01) H03F 3/45183(2013.01) H03F 2200/213(2013.01) H03F 2203/4565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10065244 (2021.05.21)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157569 (2022.11.29)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5.21)
심사청구항수 7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철우 서울특별시 강남구
2 최요한 서울특별시 성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주연케이알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길**, *층(역삼동, 엘에스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5.21 수리 (Accepted) 1-1-2021-0584241-45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다단계 증폭기에 있어서,제1 스테이지 회로;상기 제1 스테이지 회로의 출력단과 종속 접속되는 제2 스테이지 회로; 및상기 제2 스테이지 회로의 입력단 및 상기 제2 스테이지 회로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로컬 피드백 회로를 포함하고,상기 제1 스테이지 회로는:상기 제1 스테이지 회로의 입력단 및 상기 제1 스테이지 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1 인버터;상기 제1 인버터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인버터를 충전하는 제1 충전 커패시터; 및상기 제1 스테이지 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1 부하 커패시터를 포함하고,상기 제2 스테이지 회로는:상기 제2 스테이지 회로의 입력단 및 상기 제2 스테이지 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2 인버터;상기 제2 인버터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인버터를 충전하는 제2 충전 커패시터; 및상기 제2 스테이지 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2 부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다단계 증폭기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로컬 피드백 회로는 로컬 피드백 저항 및 상기 로컬 피드백 저항에 연결되는 로컬 피드백 커패시터를 포함하는,다단계 증폭기
3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1 충전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상기 제2 충전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상기 로컬 피드백 저항 및 상기 로컬 피드백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스테이지 회로의 극점 각주파수가 상기 다단계 증폭기의 단위 이득 각주파수 보다 클 것을 만족하도록 설정되는,다단계 증폭기
4 4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제2 충전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는 상기 제1 충전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보다 큰 값을 갖는,다단계 증폭기
5 5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제1 스테이지 회로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입력 커패시터; 및상기 제1 스테이지 회로의 입력단 및 상기 제2 스테이지 회로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다단계 피드백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다단계 증폭기
6 6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제2 스테이지 회로의 극점 각주파수는 로 정의되고, 상기 다단계 증폭기의 단위 이득 각주파수는 로 정의되고,여기서 gm1(t)는 상기 제1 스테이지 회로의 트랜스컨덕턴스이고, Cm은 상기 로컬 피드백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이고, gm2(t)는 상기 제2 스테이지 회로의 트랜스컨덕턴스이고, CS는 상기 입력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이고, CF는 상기 다단계 피드백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이고, CL은 상기 제2 부하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인,다단계 증폭기
7 7
다단계 증폭기의 동작 방법으로서,제1 충전 커패시터 및 제2 충전 커패시터를 충전하는 단계;상기 제1 충전 커패시터의 충전 전압 및 상기 제2 충전 커패시터의 충전 전압에 기초하여, 제1 스테이지 회로 및 제2 스테이지 회로를 동작시키는 단계; 및상기 제2 스테이지 회로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제2 스테이지 회로의 극점 각주파수는 상기 다단계 증폭기의 단위 이득 각주파수 보다 클 것을 만족하도록 설정되는,동작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려대학교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레퍼런스 및 기생 성분에 둔감한 커패시턴스-디지털 변환기 구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