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인공지능 기술기반 광간섭단층영상을 통한 시기능 정보 추출 시스템 및 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22609
  • 담당센터 : 부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1-606-6561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술기반 광간섭단층영상을 통한 시기능 정보 추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SS-OCT 검사지로부터 양안에 대한 신경절 세포층(GCL), 망막 신경 섬유층(RNFL), 망막 신경 섬유층의 평면도(RNFL_ENFA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OCT 이미지를 추출하는 OCT 이미지 추출부, 상기 OCT 이미지에서 임의의 단안에 대해 수평 반전을 적용하는 수평 반전 적용부, 수평 반전이 적용된 상기 OCT 이미지의 일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히스토그램 매칭기법을 사용하여 전처리하고, 수평 반전이 적용된 상기 OCT 이미지의 대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클라헤(CLAHE)기법을 사용하여 전처리하는 전처리부 및 기 학습된 신경망 모델에 전처리된 상기 OCT 이미지를 입력함으로써, 피검사자의 시기능 정보를 출력하는 시기능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술기반 광간섭단층영상을 통한 시기능 정보 추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Int. CL A61B 3/10 (2006.01.01) A61B 3/00 (2006.01.01) G16H 50/20 (2018.01.01) G06T 7/00 (2017.01.01)
CPC A61B 3/102(2013.01) A61B 3/0025(2013.01) G16H 50/20(2013.01) G06T 7/0012(2013.01) G06T 2207/10101(2013.01) G06T 2207/30041(2013.01) G06T 2207/20084(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007531 (2022.01.19)
출원인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산대학교병원, 주식회사 딥노이드
등록번호/일자 10-2471991-0000 (2022.11.24)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221130)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01.19)
심사청구항수 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금정구
2 부산대학교병원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서구
3 주식회사 딥노이드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지웅 부산 서구
2 이재혁 서울 강남구
3 최현주 경남 김해
4 유병철 부산 북구
5 최우식 인천 계양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종석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서로 **(우동) KNN타워 ****호(브릿지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산광역시 금정구
2 부산대학교병원 부산광역시 서구
3 주식회사 딥노이드 서울특별시 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1.19 수리 (Accepted) 1-1-2022-0066394-40
2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2.01.19 수리 (Accepted) 1-1-2022-0068654-63
3 [우선심사신청]심사청구서·우선심사신청서
2022.07.26 수리 (Accepted) 1-1-2022-0780532-14
4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22.10.25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2-0818145-1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SS-OCT 검사지로부터 양안에 대한 신경절 세포층(GCL), 망막 신경 섬유층(RNFL), 망막 신경 섬유층의 평면도(RNFL_ENFA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OCT 이미지를 추출하는 OCT 이미지 추출부;상기 OCT 이미지에서 임의의 단안에 대해 수평 반전을 적용하는 수평 반전 적용부;수평 반전이 적용된 상기 OCT 이미지의 일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히스토그램 매칭기법을 사용하여 전처리하고, 수평 반전이 적용된 상기 OCT 이미지의 대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클라헤(CLAHE)기법을 사용하여 전처리하는 전처리부; 및기 학습된 신경망 모델에 전처리된 상기 OCT 이미지를 입력함으로써, 피검사자의 시기능 정보를 출력하는 시기능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술기반 광간섭단층영상을 통한 시기능 정보 추출 시스템
2 2
제1 항에 있어서,상기 전처리부는, 상기 신경망 모델에 동일한 크기로 입력할 수 있도록 전처리된 상기 OCT 이미지를 수평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술기반 광간섭단층영상을 통한 시기능 정보 추출 시스템
3 3
제1 항에 있어서,상기 신경망 모델은,Inception ResnetV2를 기초모델로 하여 ImageNet 데이터셋을 미리 학습시킨 가중치를 적용하고, 상기 기초모델 이후에는 전역평균풀링(Global Average Pooling; GAP)을 통해 특징의 수만큼 밀도 층(Dense Layer)을 생성하고, Relu 활성화 함수를 갖는 다수 개의 완전연결 층(Fully Connected Layer)을 거치며 상기 특징을 압축시키고,기 설정된 개수만큼의 상기 시기능 정보가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술기반 광간섭단층영상을 통한 시기능 정보 추출 시스템
4 4
제1 항에 있어서,상기 시기능 정보 출력부는,다수 개의 상기 시기능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n개의 군집으로 군집화한 후 군집 간 평균값을 산출하는 군집화부;를 포함하고,상기 군집화부는,임의의 군집 내 m개의 상기 시기능 정보를 선형 변환시킨 후 상기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값을 다시 로그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술기반 광간섭단층영상을 통한 시기능 정보 추출 시스템
5 5
OCT 이미지 추출부에 의하여, SS-OCT 검사지로부터 양안에 대한 신경절 세포층(GCL), 망막 신경 섬유층(RNFL), 망막 신경 섬유층의 평면도(RNFL_ENFA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OCT 이미지가 추출되는 OCT 이미지 추출단계;수평 반전 적용부에 의하여, 상기 OCT 이미지에서 임의의 단안에 대해 수평 반전이 적용되는 수평 반전 적용단계;전처리부에 의하여, 수평 반전이 적용된 상기 OCT 이미지의 일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히스토그램 매칭기법이 시용되어 전처리되고, 수평 반전이 적용된 상기 OCT 이미지의 대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클라헤(CLAHE)기법이 사용되어 전처리되는 전처리단계; 및시기능 정보 출력부에 의하여, 기 학습된 신경망 모델에 전처리된 상기 OCT 이미지를 입력함으로써, 피검사자의 시기능 정보가 출력되는 시기능 정보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술기반 광간섭단층영상을 통한 시기능 정보 추출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