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인공신경망 연산 장치

  • 기술번호 : KST2022024355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인공연산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시냅스 어레이를 포함하는 이진 신경망 아키텍쳐에 있어서, 상기 시냅스 어레이는 다수의 시냅스 소자를 포함하며, 각각의 시냅스 소자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인접하여 배치된 제1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TFET) 및 제2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TFET)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는 각각 게이트 전극, 드레인 단자 및 소스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t. CL G06N 3/063 (2006.01.01) G06N 3/04 (2006.01.01) H01L 29/792 (2006.01.01) H01L 27/11563 (2017.01.01)
CPC G06N 3/063(2013.01) G06N 3/04(2013.01) H01L 29/792(2013.01) H01L 27/11563(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10078468 (2021.06.17)
출원인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168681 (2022.12.26)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6.17)
심사청구항수 1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마포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최우영 서울특별시 용산구
2 이장우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3 우재승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정부연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길 **(서초동, 한빛위너스) ***동 ***, ***호(현신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6.17 수리 (Accepted) 1-1-2021-0697688-56
2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1.07.06 수리 (Accepted) 1-1-2021-0777971-27
3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2.06.21 수리 (Accepted) 4-1-2022-5144444-29
4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2.07.26 수리 (Accepted) 4-1-2022-5174303-48
5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2.08.22 수리 (Accepted) 4-1-2022-5195690-28
6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2.09.16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7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2.11.22 수리 (Accepted) 4-1-2022-5274937-97
8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2.12.19 수리 (Accepted) 4-1-2022-5300080-2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시냅스 어레이를 포함하는 이진 신경망 아키텍쳐에 있어서,상기 시냅스 어레이는 다수의 시냅스 소자를 포함하며,각각의 시냅스 소자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인접하여 배치된 제1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TFET) 및 제2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TFET)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는 각각 게이트 전극, 드레인 단자 및 소스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연산망 장치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진 신경망 아키텍쳐는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된 복수의 비트라인; 및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된 복수의 워드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시냅스 소자는 상기 비트라인과 워드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연산망 장치
3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는 상기 워드라인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신경망 연산 장치
4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상기 드레인 단자는 상기 비트라인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신경망 연산 장치
5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단자는 메탈 라인과 접속되어 그라운드(GND)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신경망 연산 장치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제2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는 반도체 기판 상부에 형성된 게이트 패턴;상기 게이트 패턴 하부에 위치한 채널 영역; 및상기 게이트 패턴 양측의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 형성된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패턴은 하부 산화막, 질화막, 상부 산화막 및 게이트 전극층의 적층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신경망 연산 장치
7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제2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상기 드레인 영역은 콘택 플러그를 통해 비트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소스 영역은 콘택 플러그를 통해 메탈 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게이트 전극층은 콘택 플러그를 통해 워드라인과 연결되어 시냅스 소자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신경망 연산 장치
8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냅스 소자로 활용되는 터널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는 프로그램(program) 및 이레이즈(erase) 동작을 수행하며, XNOR 동작 구현을 통해 이진 신경망 연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신경망 연산 장치
9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시냅스 소자들의 가중치(Weight) 값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입력(Input) 값에 따른 출력(Output) 값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신경망 연산 장치
1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냅스 어레이는 비트라인에 흐르는 전류 값(IBL)과 기준 전류 값(IREF)에 따라 출력 값이 결정하는 CSA 블록(Conditional sum adder); 및 각 시냅스 소자에 대한 비교 결과값들을 순차적으로 입력 받아 처리하고, 최종 결과값을 출력하는 가산기(Adder)와 비교회로(Comparato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신경망 연산 장치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정보디바이스산업원천기술개발(R&D,정보화) 초저전력 로직응용을 위한 SiGe 다중 적층 채널 GAA TFET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정보통신방송혁신인재양성(R&D) 인공지능 서비스 실현을 위한 지능형 반도체 설계 핵심기술 개발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서울대학교 차세대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R&D) SNN 성능 향상을 위한 시냅스 소자와 신소자 기반 뉴런 회로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서강대학교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초저전력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모노리식 삼차원 집적을 이용한 두뇌모방 연산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