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스트레인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 기술번호 : KST2023001662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스트레인 센서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개시의 일 양상에 따른 스트레인 센서는, 절연성 탄성중합체(insulating elastomer)의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전도성 나노카본 필러(conducting nanocarbon filler)의 복합체에 의해 형성되는 스트레처블 압저항체; 및 상기 절연성 탄성중합체의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금속 필러의 복합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스트레처블 압저항체의 양쪽 끝단에 일부가 삽입되는 스트레처블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압저항체의 길이 방향 인장 스트레인에 의해서 저항이 증가한다.
Int. CL G01L 1/18 (2006.01.01) G01L 1/22 (2006.01.01) C01B 32/158 (2017.01.01) G08C 17/02 (2006.01.01) B82Y 30/00 (2017.01.01) B82Y 40/00 (2017.01.01)
CPC G01L 1/18(2013.01) G01L 1/2287(2013.01) C01B 32/158(2013.01) G08C 17/02(2013.01) B82Y 30/00(2013.01) B82Y 40/00(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076707 (2022.06.23)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114679 (2023.08.0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20010848   |   2022.01.25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07.05)
심사청구항수 17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양우석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조경수 대전광역시 유성구
3 홍성훈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아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 **,**층(역삼동, 동희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6.23 수리 (Accepted) 1-1-2022-0656678-39
2 [심사청구]심사청구서·우선심사신청서
2022.07.05 수리 (Accepted) 1-1-2022-0700036-15
3 [반환신청]서류 반려요청서·반환신청서
2022.10.29 수리 (Accepted) 1-1-2022-1147633-14
4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22.10.29 수리 (Accepted) 1-1-2022-1147635-16
5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22.10.29 1-1-2022-1147600-18
6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3.07.18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절연성 탄성중합체(insulating elastomer)의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전도성 나노카본 필러(conducting nanocarbon filler)의 복합체에 의해 형성되는 스트레처블 압저항체; 및상기 절연성 탄성중합체의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금속 필러의 복합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스트레처블 압저항체의 양쪽 끝단에 일부가 삽입되는 스트레처블 전극을 포함하되,상기 압저항체의 길이 방향 인장 스트레인에 의해서 저항이 증가하는, 스트레인 센서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절연성 탄성중합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스트레처블 압저항체의 표면을 감싸는 스트레처블 커버레이어를 더 포함하는, 스트레인 센서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나노카본 필러는,카본 나노 튜브(carbon nanotube)와 카본 블랙(carbon black)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카본 나노 튜브의 무게 비율이 10~40% 구간에 포함되는, 스트레인 센서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절연성 탄성중합체는,스트레인이 100% 일 때 탄성계수(modulus)가 50~350 kPa 구간에 포함되는, 스트레인 센서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금속 필러는,마이크로 또는 나노 크기를 갖는 은 입자 또는 은이 코팅된 구리 코어-쉘(core-shell) 입자의 은 필러를 포함하고상기 금속 필러의 복합체에서 상기 금속 필러의 무게 비율은,60~80% 구간에 포함되는, 스트레인 센서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나노카본 필러의 복합체에서 상기 전도성 나노카본 필러의 무게 비율은,6~12% 구간에 포함되는, 스트레인 센서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스트레처블 압저항체의 넓이 대비 길이의 비율은,5~15 구간에 포함되고,상기 스트레처블 압저항체의 두께 대비 넓이의 비율은,5~15 구간에 포함되는, 스트레인 센서
8 8
제1항에 있어서,상기 스트레처블 전극의 두께는,상기 스트레처블 압저항체의 두께의 50~100% 구간에 포함되는, 스트레인 센서
9 9
제2항에 있어서,상기 스트레처블 커버레이어의 총 두께는,상기 스트레처블 압저항체의 두께의 200~350% 구간에 포함되는, 스트레인 센서
10 10
제1항에 있어서,상기 스트레인 센서는,스트레인이 0 일 때 저항 값이 5~50 kΩ 구간에 포함되고,측정 가능한 스트레인 범위는,0~300% 구간에 포함되며,게이지 팩터(gauge factor)는, 1~4 구간에 포함되는, 스트레인 센서
11 11
제1 기판과 제2 기판 각각의 상부에 절연성 탄성중합체의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전도성 나노카본 필러의 복합체를 이용하여 제1 스트레처블 압저항체와 제2 스트레처블 압저항체를 형성하는 단계;상기 절연성 탄성중합체의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금속 필러의 복합체를 이용하여 형성된 스트레처블 전극을 상기 제1 스트레처블 압저항체와 상기 제2 스트레처블 압저항체의 사이에 일부 삽입하는 단계;일부가 삽입된 상기 스트레처블 전극과 상기 제1, 제2 스트레처블 압저항체 그리고 상기 제1 스트레처블 압저항체와 상기 제2 스트레처블 압저항체를 접합하는 단계; 및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분리함으로써, 스트레인 센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트레인 센서 제조 방법
12 12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각각의 상부에 절연성 탄성중합체 용액을 이용하여 제1 커버레이어 필름과 제2 커버레이어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상기 제1 스트레처블 압저항체와 상기 제2 스트레처블 압저항체를 형성하는 단계는,상기 제1 커버레이어 필름과 상기 제2 커버레이어 필름 각각의 상부에 상기 제1 스트레처블 압저항체와 상기 제2 스트레처블 압저항체를 형성하는, 스트레인 센서 제조 방법
13 13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에 일정 압력을 인가하면서 열처리하는 열압착 공정을 통해 일부가 삽입된 상기 스트레처블 전극과 상기 제1, 제2 스트레처블 압저항체 그리고 상기 제1 스트레처블 압저항체와 상기 제2 스트레처블 압저항체를 접합하는, 스트레인 센서 제조 방법
14 14
지지체;상기 지지체 상의 RFID 칩, 안테나, 저항 칩과 센서 인터페이스 패드; 및상기 센서 인터페이스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트레인 센서를 포함하되,상기 스트레인 센서는,절연성 탄성중합체의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전도성 나노카본 필러의 복합체에 의해 형성되는 스트레처블 압저항체; 및상기 절연성 탄성중합체의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금속 필러의 복합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스트레처블 압저항체의 양쪽 끝단에 일부가 삽입되는 스트레처블 전극을 포함하고,상기 RFID 칩은,상기 저항 칩의 저항 값을 기준으로 상기 스트레인 센서의 저항 값을 측정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화시켜, 상기 안테나를 통하여 외부로 무선 송신하는, RFID 스트레인 센서
15 15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스트레인 센서는,상기 절연성 탄성중합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스트레처블 압저항체의 표면을 감싸는 스트레처블 커버레이어를 더 포함하는, RFID 스트레인 센서
16 16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나노카본 필러는,카본 나노 튜브와 카본 블랙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카본 나노 튜브의 무게 비율이 10~40% 구간에 포함되는, RFID 스트레인 센서
17 17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지지체는,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폴리머 소재로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이미드(polyimi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RFID 스트레인 센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산업통상자원부 (재)경남테크노파크 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사업 나노금형기반 맞춤형 융합제품 상용화지원센터 구축 (RFID 나노융합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