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스케일러블 비디오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기술번호 : KST2023001751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스케일러블 비디오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부호화 장치는 복수의 레이어들의 영상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비트스트림을 복호화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복호화 장치는 비트스트림 내의 복수의 레이어들의 영상들의 정보를 사용하거나 생성된 비트스트림들로 구성된 복수 레이어들의 정보를 사용하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레이어들은 베이스 레이어 및 향상된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비트스트림은 베이스 레이어의 전체의 영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비트스트림은 향상된 레이어의 전체의 영상 중 부분의 정보만을 포함할 수 있다. 향상된 레이어의 전체의 영상 중 부분은 복호화 장치의 시점에 기반하여 선택될 수 있다.
Int. CL H04N 19/30 (2014.01.01) H04N 19/119 (2014.01.01) H04N 19/187 (2014.01.01) H04N 19/174 (2014.01.01) H04N 19/139 (2014.01.01) H04N 19/513 (2014.01.01)
CPC H04N 19/30(2013.01) H04N 19/119(2013.01) H04N 19/187(2013.01) H04N 19/174(2013.01) H04N 19/139(2013.01) H04N 19/513(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30008296 (2023.01.19)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019256 (2023.02.07)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60157601   |   2016.11.24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분할
원출원번호/일자 10-2017-0158146 (2017.11.24)
관련 출원번호 1020170158146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3.01.19)
심사청구항수 28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방건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윤국진 대전광역시 유성구
3 박광훈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4 권우원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5 윤성재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6 허영수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7 홍석종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유)한양특허법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길 **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분할출원]특허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3.01.19 수리 (Accepted) 1-1-2023-0077384-86
2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3.01.26 수리 (Accepted) 1-1-2023-0094657-9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영상에 대한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상기 영상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영상을 생성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상기 처리부는 상기 영상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영상 내의 분할 유닛을 결정하고, 상기 분할 유닛의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복호화 장치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처리부는 상기 분할 유닛의 움직임 벡터를 상기 분할 유닛 내의 복수의 블록들의 움직임 벡터들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복호화 장치
3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블록들의 각 블록은 기정의된 크기를 갖는 복호화 장치
4 4
제3항에 있어서,상기 기정의된 크기는 4x4인 복호화 장치
5 5
제2항에 있어서,상기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블록들의 움직임 벡터들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복호화 장치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분할 유닛은 제1 분할 유닛 및 제2 분할 유닛을 포함하고,상기 처리부는 대상 블록이 상기 제1 분할 유닛 및 상기 제2 분할 유닛 중 어떤 분할 유닛에 속하는가에 따라서 상기 제1 분할 유닛에 대한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제2 분할 유닛에 대한 움직임 벡터 중 하나의 움직임 벡터를 상기 대상 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도출을 위해 사용하는 복호화 장치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대상 블록은 상기 제1 분할 유닛 내의 복수의 블록들 및 상기 제2 분할 유닛 내의 복수의 블록들 중 하나인 복호화 장치
8 8
제1항에 있어서,상기 움직임 벡터는 복수의 움직임 벡터들이고,상기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움직임 벡터들을 사용하여 생성된 복수의 예측 블록들을 사용하는 가중치가 부여된 합을 사용하여 상기 분할 유닛의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복호화 장치
9 9
제8항에 있어서,상기 처리부는 머지 리스트 내의 복수의 후보들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움직임 벡터들을 각각 결정하고,상기 복수의 후보들의 각 후보는 양방향 예측의 움직임 정보인 복호화 장치
10 10
비트스트림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상기 비트스트림은영상에 대한 영상 정보를 포함하고,상기 영상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영상이 생성되고,상기 영상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영상 내의 분할 유닛이 결정되고, 상기 분할 유닛의 움직임 벡터가 결정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1 11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분할 유닛 내의 복수의 블록들의 움직임 벡터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분할 유닛의 움직임 벡터가 사용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2 12
제11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블록들의 각 블록은 기정의된 크기를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3 13
제12항에 있어서,상기 기정의된 크기는 4x4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4 14
제11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블록들의 움직임 벡터들에 대한 보정이 수행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5 15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분할 유닛은 제1 분할 유닛 및 제2 분할 유닛을 포함하고,대상 블록이 상기 제1 분할 유닛 및 상기 제2 분할 유닛 중 어떤 분할 유닛에 속하는가에 따라서 상기 제1 분할 유닛에 대한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제2 분할 유닛에 대한 움직임 벡터 중 하나의 움직임 벡터가 상기 대상 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도출을 위해 사용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6 16
제15항에 있어서,상기 대상 블록은 상기 제1 분할 유닛 내의 복수의 블록들 및 상기 제2 분할 유닛 내의 복수의 블록들 중 하나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7 17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움직임 벡터는 복수의 움직임 벡터들이고,상기 분할 유닛의 예측 블록은 상기 복수의 움직임 벡터들을 사용하여 생성된 복수의 예측 블록들을 사용하는 가중치가 부여된 합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8 18
제17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움직임 벡터들은 머지 리스트 내의 복수의 후보들에 기반하여 각각 결정되고,상기 복수의 후보들의 각 후보는 양방향 예측의 움직임 정보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9 19
영상에 대한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처리부; 및상기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상기 비트스트림을 사용하는 영상 복호화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영상 내의 분할 유닛을 결정하고, 상기 분할 유닛의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호화 장치
20 20
제19항에 있어서,상기 비트스트림을 사용하는 상기 영상 복호화에 있어서, 상기 분할 유닛의 움직임 벡터는 상기 분할 유닛 내의 복수의 블록들의 움직임 벡터들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부호화 장치
21 21
제20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블록들의 각 블록은 기정의된 크기를 갖는 부호화 장치
22 22
제21항에 있어서,상기 기정의된 크기는 4x4인 부호화 장치
23 23
제20항에 있어서,상기 비트스트림을 사용하는 상기 영상 복호화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록들의 움직임 벡터들에 대한 보정이 수행되는 부호화 장치
24 24
제19항에 있어서,상기 분할 유닛은 제1 분할 유닛 및 제2 분할 유닛을 포함하고,상기 비트스트림을 사용하는 상기 영상 복호화에 있어서, 대상 블록이 상기 제1 분할 유닛 및 상기 제2 분할 유닛 중 어떤 분할 유닛에 속하는가에 따라서 상기 제1 분할 유닛에 대한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제2 분할 유닛에 대한 움직임 벡터 중 하나의 움직임 벡터가 상기 대상 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도출을 위해 사용되는 부호화 장치
25 25
제24항에 있어서,상기 대상 블록은 상기 제1 분할 유닛 내의 복수의 블록들 및 상기 제2 분할 유닛 내의 복수의 블록들 중 하나인 부호화 장치
26 26
제19항에 있어서,상기 움직임 벡터는 복수의 움직임 벡터들이고,상기 비트스트림을 사용하는 상기 영상 복호화에 있어서, 상기 분할 유닛의 예측 블록은 상기 복수의 움직임 벡터들을 사용하여 생성된 복수의 예측 블록들을 사용하는 가중치가 부여된 합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부호화 장치
27 27
제26항에 있어서,상기 비트스트림을 사용하는 상기 영상 복호화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움직임 벡터들은 머지 리스트 내의 복수의 후보들에 기반하여 각각 결정되고,상기 복수의 후보들의 각 후보는 양방향 예측의 움직임 정보인 부호화 장치
28 28
제19항의 부호화 장치에 의해 생성된 상기 비트스트림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KR102492286 KR 대한민국 FAMILY
2 WO2018097669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WO2018097669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