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비-선형 회로를 포함하는 주파수 혼합기

  • 기술번호 : KST2023001898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혼합기는, LO(Local Oscillator) 신호에 기초하여, 정합된 LO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정합 회로, 정합된 LO 신호에 기초하여, 비-선형 LO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비-선형 회로, RF(Radio Frequency) 신호에 기초하여, 정합된 RF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2 정합 회로, 비-선형 LO 신호 및 정합된 RF 신호의 혼합에 기초하여, 혼합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혼합 회로, 및 혼합 신호에 기초하여,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3 정합 회로를 포함한다. 비-선형 회로는 직렬로 연결된 비-선형 트랜지스터, 바이어스 트랜지스터, 및 내부 정합 회로를 포함한다.
Int. CL H03D 7/14 (2006.01.01) H03D 7/12 (2006.01.01)
CPC H03D 7/1441(2013.01) H03D 7/125(2013.01) H03D 2200/0074(2013.01) H03D 2200/008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023220 (2022.02.22)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067451 (2023.05.16)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10152302   |   2021.11.08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06.23)
심사청구항수 16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장우진 대전광역시 유성구
2 강동민 대전광역시 유성구
3 민병규 대전광역시 유성구
4 박종율 대전광역시 유성구
5 이종민 대전광역시 유성구
6 장유진 대전광역시 유성구
7 조규준 대전광역시 유성구
8 지홍구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고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길 ** *층(역삼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2.22 수리 (Accepted) 1-1-2022-0199538-14
2 [심사청구]심사청구서·우선심사신청서
2022.06.23 수리 (Accepted) 1-1-2022-0656347-3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LO(Local Oscillator) 신호에 기초하여, 정합된 LO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정합 회로;상기 정합된 LO 신호에 기초하여, 비-선형 LO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비-선형 회로;RF(Radio Frequency) 신호에 기초하여, 정합된 RF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2 정합 회로;상기 비-선형 LO 신호 및 상기 정합된 RF 신호의 혼합에 기초하여, 혼합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혼합 회로; 및상기 혼합 신호에 기초하여,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3 정합 회로를 포함하되,상기 비-선형 회로는 직렬로 연결된 비-선형 트랜지스터, 바이어스 트랜지스터, 및 내부 정합 회로를 포함하는 주파수 혼합기
2 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내부 정합 회로는 병렬로 연결된 저항,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주파수 혼합기
3 3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저항의 크기, 상기 인덕터의 용량, 및 상기 커패시터의 용량은 상기 주파수 혼합기의 LO-대-RF 격리도, RF-대-LO 격리도, 및 LO-대-IF 격리도 중 적어도 하나를 향상시키도록 최적화되는 주파수 혼합기
4 4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바이어스 트랜지스터는 바이어스 전압에 응답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상기 바이어스 전압의 크기는 상기 주파수 혼합기의 LO-대-RF 격리도, RF-대-LO 격리도, 및 LO-대-IF 격리도 중 적어도 하나를 향상시키도록 최적화되는 주파수 혼합기
5 5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바이어스 트랜지스터는 바이어스 전압에 응답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상기 바이어스 전압의 상기 크기는, 상기 주파수 혼합기의 제작 공정에서 발생하는 능동 소자의 공정 변화 및 수동 소자의 공정 변화에 대해, 상기 주파수 혼합기의 LO-대-RF 격리도, RF-대-LO 격리도, 및 LO-대-IF 격리도 중 적어도 하나를 향상시키도록 최적화되는 주파수 혼합기
6 6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비-선형 트랜지스터는 상기 비-선형 LO 신호가 생성되는 단자 및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정합된 LO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되고,상기 바이어스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노드 및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바이어스 전압에 응답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상기 내부 정합 회로는 상기 제2 노드 및 접지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주파수 혼합기
7 7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비-선형 회로는 상기 바이어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전압원을 더 포함하는 주파수 혼합기
8 8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내부 정합 회로는:상기 제2 노드 및 상기 접지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저항;상기 제2 노드 및 상기 접지 노드 사이에 연결된 인덕터; 및상기 제2 노드 및 상기 접지 노드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주파수 혼합기
9 9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비-선형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는 상기 비-선형 LO 신호가 생성되는 상기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비-선형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는 상기 제1 노드와 연결되고, 그리고상기 바이어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는 상기 제1 노드와 연결되고, 상기 바이어스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는 상기 제2 노드와 연결되는 주파수 혼합기
10 10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비-선형 트랜지스터 및 상기 바이어스 트랜지스터는 각각 NMOS(N-channel Metal Oxide Semiconductor) 트랜지스터, GaAs PHEMT(Pseudomorphic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GaAs MHEMT(Metamorphic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InP HEMT(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및 GaN FET(Field Effect Transistor)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되는 주파수 혼합기
11 11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주파수 혼합기는 상기 RF 신호의 제1 주파수에서 상기 LO 신호의 제2 주파수를 감산한 제3 주파수를 갖는 상기 IF 신호를 생성하는 하향 주파수 혼합기인 주파수 혼합기
12 12
LO(Local Oscillator) 신호를 정합하고, 정합된 LO 신호에 기초하여 비-선형 LO 신호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비-선형 LO 신호 및 RF(Radio Frequency) 신호에 기초하여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 혼합기에 있어서:상기 비-선형 LO 신호가 생성되는 단자 및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정합된 LO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된 제1 트랜지스터;상기 제1 노드 및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바이어스 전압에 응답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된 제2 트랜지스터; 및상기 제2 노드 및 접지 노드 사이에 연결된 내부 정합 회로를 포함하는 주파수 혼합기
13 13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내부 정합 회로는:상기 제2 노드 및 상기 접지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저항;상기 제2 노드 및 상기 접지 노드 사이에 연결된 인덕터; 및상기 제2 노드 및 상기 접지 노드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주파수 혼합기
14 14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저항의 크기, 상기 인덕터의 용량, 및 상기 커패시터의 용량은 상기 주파수 혼합기의 LO-대-RF 격리도, RF-대-LO 격리도, 및 LO-대-IF 격리도 중 적어도 하나를 향상시키도록 최적화되는 주파수 혼합기
15 15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전압원을 더 포함하는 주파수 혼합기
16 16
제 15 항에 있어서,상기 바이어스 전압의 크기는, 상기 주파수 혼합기의 제작 공장에서 발생하는 능동 소자의 공정 변화 및 수동 소자의 공정 변화에 대해, 상기 주파수 혼합기의 LO-대-RF 격리도, RF-대-LO 격리도, 및 LO-대-IF 격리도 중 적어도 하나를 향상시키도록 최적화되는 주파수 혼합기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국토교통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세대대인보안검색검색기술개발(R&D) 차세대 대인 보안검색 기술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