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상동 재조합 결핍 연관 유전자 도출 장치 및 방법, 상동 재조합 결핍 판단 모델 생성 장치 및 방법과, 상동 재조합 결핍 판단 장치 및 방법

  • 기술번호 : KST2023002125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상동 재조합 결핍 연관 유전자 도출 장치 및 방법, 상동 재조합 결핍 판단 모델 생성 장치 및 방법과, 상동 재조합 결핍 판단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일 양상에 따른 상동 재조합 결핍 연관 유전자 도출 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암 환자의 전사체 데이터, 유전자 발현량 데이터 및 상동 재조합 결핍 스코어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차별 발현 유전자 분석 기법을 통해, 상기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후보 유전자를 판단하는 후보 유전자 판단부; 상기 수집된 데이터 중 상기 후보 유전자의 발현량 데이터, 전사체 데이터 및 HRD 스코어 데이터를 학습데이터로 이용하여 기계학습 모델을 학습시켜 주요 유전자 판단 모델을 생성하는 모델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주요 유전자 판단 모델을 이용하여 상동 재조합 결핍과 관련된 주요 유전자를 판단하는 주요 유전자 판단부; 를 포함한다.
Int. CL G16B 20/00 (2019.01.01) G16B 40/00 (2019.01.01) G16B 5/00 (2019.01.01) G16B 25/10 (2019.01.01) G16B 30/10 (2019.01.01) G16B 50/00 (2019.01.01) C12Q 1/6886 (2018.01.01)
CPC G16B 20/00(2013.01) G16B 40/00(2013.01) G16B 5/00(2013.01) G16B 25/10(2013.01) G16B 30/10(2013.01) G16B 50/00(2013.01) C12Q 1/6886(2013.01) C12Q 2537/16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010873 (2022.01.25)
출원인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병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114557 (2023.08.0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01.25)
심사청구항수 8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2 서울대학교병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진구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2 이재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3 김진호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리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길**, *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1.25 수리 (Accepted) 1-1-2022-0095187-75
2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2.04.04 수리 (Accepted) 4-1-2022-5079741-71
3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2.08.11 수리 (Accepted) 4-1-2022-5189083-38
4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2.10.07 수리 (Accepted) 4-1-2022-5235636-01
5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3.05.02 수리 (Accepted) 4-1-2023-5107652-4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다양한 종류의 암 환자의 전사체 데이터, 유전자 발현량 데이터 및 상동 재조합 결핍 스코어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차별 발현 유전자 분석 기법을 통해, 상기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후보 유전자를 판단하는 후보 유전자 판단부;상기 수집된 데이터 중 상기 후보 유전자의 발현량 데이터, 전사체 데이터 및 HRD 스코어 데이터를 학습데이터로 이용하여 기계학습 모델을 학습시켜 주요 유전자 판단 모델을 생성하는 모델 생성부; 및상기 생성된 주요 유전자 판단 모델을 이용하여 상동 재조합 결핍과 관련된 주요 유전자를 판단하는 주요 유전자 판단부; 를 포함하는,상동 재조합 결핍 연관 유전자 도출 장치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기계학습 모델은 엘라스틱넷 회귀, 라쏘 회귀, 릿지 회귀, 그래디언트 부스팅, 서포트 벡터 머신 및 다층 퍼셉트론을 포함하는,상동 재조합 결핍 연관 유전자 도출 장치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주요 유전자 판단부는 상기 생성된 주요 유전자 판단 모델로부터 각 유전자의 가중치 또는 중요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가중치의 절대값 또는 중요도가 임계값 이상인 유전자를 주요 유전자로 판단하는,상동 재조합 결핍 연관 유전자 도출 장치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정규화하는 전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상동 재조합 결핍 연관 유전자 도출 장치
5 5
다양한 종류의 암 환자의 전사체 데이터, 유전자 발현량 데이터 및 상동 재조합 결핍 스코어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차별 발현 유전자 분석 기법을 통해, 상기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후보 유전자를 판단하는 후보 유전자 판단부;상기 수집된 데이터 중 상기 후보 유전자의 발현량 데이터, 전사체 데이터 및 HRD 스코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기계학습 모델을 학습시켜 주요 유전자 판단 모델을 생성하는 제1 모델 생성부;상기 생성된 주요 유전자 판단 모델을 이용하여 상동 재조합 결핍과 관련된 주요 유전자를 판단하는 주요 유전자 판단부; 및상기 수집된 데이터 중 상기 주요 유전자의 발현량 데이터, 전사체 데이터 및 HRD 스코어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이용하여 제2 기계학습 모델을 학습시켜 상동 재조합 결핍 판단 모델을 생성하는 제2 모델 생성부; 를 포함하는,상동 재조합 결핍 판단 모델 생성 장치
6 6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제1 기계학습 모델은 그래디언트 부스팅이고, 상기 제2 기계학습 모델은 엘라스틱넷 회귀인,상동 재조합 결핍 판단 모델 생성 장치
7 7
암 환자의 주요 유전자 발현량 데이터 및 전사체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및상동 재조합 결핍 판단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암 환자의 상동 재조합 결핍 여부를 판단하는 상동 재조합 결핍 판단부; 를 포함하고,상기 상동 재조합 결핍 판단 모델은 다양한 종류의 암 환자의 주요 유전자의 발현량 데이터, 전사체 데이터 및 상동 재조합 결핍 스코어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이용하여 기계학습 모델을 학습시켜 생성되고,상기 주요 유전자는 상동 재조합 결핍과 관련된 유전자로서, 주요 유전자 판단 모델로부터 판단된 가중치 절대값 또는 중요도가 임계값 이상인 유전자인,상동 재조합 결핍 판단 장치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주요 유전자 판단 모델은 다양한 종류의 암 환자의 전사체 데이터, 유전자 발현량 데이터 및 상동 재조합 결핍 스코어 데이터를 수집하고, 차별 발현 유전자 분석 기법을 통해 상기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후보 유전자를 판단하고, 상기 수집된 데이터 중 상기 후보 유전자의 발현량 데이터, 전사체 데이터 및 상동 재조합 결핍 스코어 데이터를 학습데이터로 이용하여 생성되는,상동 재조합 결핍 판단 장치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다중오믹스-종양미세환경 기반 약물 스크리닝 시스템 구축을 통한 임상 반응성 시뮬레이션 플랫폼 확립
2 보건복지부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기관고유연구사업 PARP 표적치료에 저항한 난치성 난소암 신규 치료기법 발굴을 위한 암 단백유전체 연구
3 다부처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의과대학)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R&D) (참여2)난소암 오가노이드의 다중인자 분석을 통한 항암제 감수성 진단키트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