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벌크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벌크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및 이를 사용한 박막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제조 방법

  • 기술번호 : KST2023002679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벌크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벌크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및 이를 사용한 박막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벌크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제조 방법은 나이오븀(Nb), 탄탈럼(Ta), 타이타늄(Ti), 하프늄(Hf), 지르코늄(Zr), 텅스텐(W), 몰리브데넘(Mo), 크로뮴(Cr), 바나듐(V) 및 레늄(Re)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4 내지 10 종의 금속을 혼합한 후 밀링하여 혼합 금속 분말을 제조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제1 단계에서 제조된 혼합 금속 분말을 소결하는 제2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박막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제조 방법은 상기 벌크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벌크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를 타겟으로 준비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타겟을 증발시켜 기판에 증착하여 기판 상에 박막형 합금을 형성하는 제2 단계; 를 포함한다.
Int. CL B22F 9/04 (2006.01.01) B22F 3/10 (2006.01.01) B22F 3/03 (2006.01.01) C23C 14/28 (2006.01.01)
CPC B22F 9/04(2013.01) B22F 3/10(2013.01) B22F 3/03(2013.01) C23C 14/28(2013.01) B22F 2009/043(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10170705 (2021.12.02)
출원인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082852 (2023.06.09)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12.02)
심사청구항수 17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종수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2 김진희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3 박두선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4 정순길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5 한윤석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6 강원남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7 최우석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상수 대한민국 서울시 서초구 효령로**길 ** *층 (브릿지웰빌딩)(에이치앤피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12.02 수리 (Accepted) 1-1-2021-1398175-90
2 [공지예외적용대상(신규성, 출원시의 특례)증명서류]서류제출서
[Document Verifying Exclusion from Being Publically Known (Novelty, Special Provisions for Application)] Submission of Document
2021.12.02 수리 (Accepted) 1-1-2021-1399364-91
3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2.03.15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4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2.06.1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22-0218655-53
5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23.02.06 수리 (Accepted) 1-1-2023-0134461-75
6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3.02.2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3-0184240-44
7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3.04.21 수리 (Accepted) 1-1-2023-0452535-25
8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3.04.21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3-0452536-71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나이오븀(Nb), 탄탈럼(Ta), 타이타늄(Ti), 하프늄(Hf), 지르코늄(Zr), 텅스텐(W), 몰리브데넘(Mo), 크로뮴(Cr), 바나듐(V) 및 레늄(Re)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4 내지 10 종의 금속을 혼합한 후 밀링(milling)하여 혼합 금속 분말을 제조하는 제1 단계; 및상기 제1 단계에서 제조된 혼합 금속 분말을 소결하여 하기 화학식 Ⅰ에 따른 합금을 제조하는 제2 단계; 를 포함하는,벌크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제조 방법:(M1)x1(M2)x2(M3)x3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단계의 금속은 나이오븀(Nb), 탄탈럼(Ta), 타이타늄(Ti), 하프늄(Hf) 및 지르코늄(Zr)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에서 제조된 합금은 하기 화학식 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벌크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제조 방법:(Nb)y1(Ta)y2(Ti)y3(Hf)y4(Zr)y5 (Ⅱ)여기서,y1 내지 y5는 1 이상의 정수로써, y1 내지 y5의 총합에 대하여 5 내지 35 %의 값을 가지는 정수이다
3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y1은 2이고,상기 y2는 1이며,상기 y3은 1이고,상기 y4는 1이며,상기 y5는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벌크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제조 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단계의 밀링은 볼 밀링(ball milling)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벌크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제조 방법
5 5
제4항에 있어서,상기 볼 밀링은 200 내지 600 RPM에서 9 내지 15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벌크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제조 방법
6 6
제4항에 있어서,상기 볼 밀링은 아르곤 가스 분위기 하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벌크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제조 방법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2 단계의 소결은 상기 혼합 금속 분말을 몰드(mold) 내에 배치한 후, 가압 및 가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벌크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제조 방법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몰드는 카본 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벌크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제조 방법
9 9
제7항에 있어서,상기 가압 과정은 5 내지 500 MPa 로 가압하고,상기 가열 과정은 500 내지 1300 ℃로 가열하며,가압 및 가열되는 시간은 30분 내지 2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벌크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제조 방법
10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벌크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벌크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11 11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벌크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는 원판형 또는 원통 형상이고, 3 내지 50 mm의 지름 및 1 내지 30 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벌크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12 12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9항에 따른 벌크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벌크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를 타겟으로 준비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타겟을 증발시켜 기판에 증착하여 기판 상에 박막형 합금을 형성하는 제2 단계; 를 포함하는,박막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제조 방법
13 13
제12항에 있어서,상기 타겟은 나이오븀(Nb), 탄탈럼(Ta), 타이타늄(Ti), 하프늄(Hf) 및 지르코늄(Zr)을 포함하고, 하기 화학식 Ⅲ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박막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제조 방법:(Nb)z1(Ta)z2(Ti)z3(Hf)z4(Zr)z5 (Ⅲ)여기서,z1 내지 z5는 1 이상의 정수로써, z1 내지 z5의 총합에 대하여 5 내지 35 %의 값을 가지는 정수이다
14 14
제13항에 있어서,상기 z1은 2이고,상기 z2는 1이며,상기 z3은 1이고,상기 z4는 1이며,상기 z5는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박막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제조 방법
15 15
제12항에 있어서,상기 타겟은 레이저에 의해 증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박막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제조 방법
16 16
제15항에 있어서,상기 레이저는 엑시머 펄스레이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박막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제조 방법
17 17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엑시머 펄스레이저는 193 내지 532 nm의 파장의 레이저를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박막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제조 방법
18 18
제12항에 있어서,상기 타겟은 회전하는 상태에서 증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박막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제조 방법
19 19
제12항에 있어서,상기 기판은 사파이어(Al2O3) 단결정 혹은 하스텔로이(Hastello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박막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제조 방법
20 20
제12항에 있어서,상기 기판은 270 내지 620 ℃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박막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제조 방법
21 21
제20항에 있어서,상기 기판은 할로겐 램프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박막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제조 방법
22 22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제2 단계는 10-7 내지 10-5 Torr의 진공 상태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박막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제조 방법
23 23
제12항에 있어서,상기 박막형 합금의 두께가 100 내지 7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박막형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제조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20230178269 US 미국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2023178269 US 미국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교육부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이온조사를 이용한 초전도체-절연체 양자상전이 연구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균관대학교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양자물질 초전도연구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원자층 단위 제어를 통한 양자 산화물 구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