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고신축성 나노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 방법

  • 기술번호 : KST2023002681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원은 패브릭; 및 상기 패브릭 상에 코팅된 전도성 도료; 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도료는 고분자 및 금속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것인, 고신축성 나노복합소재에 관한 것이다.
Int. CL D06M 15/564 (2006.01.01) D06M 11/83 (2020.01.01) C09D 5/24 (2006.01.01) C09D 175/04 (2006.01.01) C09D 1/00 (2020.01.01) G01B 7/16 (2006.01.01)
CPC D06M 15/564(2013.01) D06M 11/83(2013.01) C09D 5/24(2013.01) C09D 175/04(2013.01) C09D 1/00(2013.01) G01B 7/16(2013.01) D10B 2401/061(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10170892 (2021.12.02)
출원인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082927 (2023.06.09)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12.02)
심사청구항수 1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2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백승현 서울특별시 강남구
2 황지혜 서울특별시 강남구
3 김용준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4 최혁렬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5 양상율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6 김기현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상수 대한민국 서울시 서초구 효령로**길 ** *층 (브릿지웰빌딩)(에이치앤피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12.02 수리 (Accepted) 1-1-2021-1399304-62
2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23.02.02 수리 (Accepted) 1-1-2023-0124920-41
3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3.03.21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패브릭; 및상기 패브릭 상에 코팅된 전도성 도료;를 포함하고,상기 전도성 도료는 고분자 및 금속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것인,고신축성 나노복합소재
2 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패브릭은 폴리에스터, 고무, 모, 마, 면 실크, 나일론, 스판덱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포함하는 것인,고신축성 나노복합소재
3 3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고분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에폭시 수지(epoxy resin) 및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실리콘 수지(silicone resin),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 methyl methacrylate), 폴리에틸렌(poly 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 천연 고무(natural rubber), 합성고무(synthetic rubber)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고신축성 나노복합소재
4 4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금속 나노입자는 Ag, Au, Pd, Pt, Ir, Rh, W, Ni, Cu, Fe, Mn, Ru, Cr, Mo, Nb, V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고신축성 나노복합소재
5 5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금속 나노입자는 꽃 형상을 가지는 것인,고신축성 나노복합소재
6 6
패브릭 상에 전도성 도료를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신축성 나노복합소재의 제조 방법
7 7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코팅은 딥코팅, 스핀코팅, 바코팅, 잉크젯 프린팅, 노즐 프린팅, 스프레이 코팅, 슬롯다이코팅, 그라비아 프린팅, 스크린 프린팅, 전기수력학적 제트 프린팅, 전기분무,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인,고신축성 나노복합소재의 제조 방법
8 8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도료는 용매에 고분자 및 금속 나노입자를 첨가하여 제조된 것인,고신축성 나노복합소재의 제조 방법
9 9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과산화수소(H2O2), HCl:FeCl3, HCl:K3[Fe(CN)6], HCl:Fe(NO3)3, HCl:HNO3, H2O:HNO3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고신축성 나노복합소재의 제조 방법
10 10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고분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에폭시 수지(epoxy resin) 및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실리콘 수지(silicone resin),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 methyl methacrylate), 폴리에틸렌(poly 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 천연 고무(natural rubber), 합성고무(synthetic rubber)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고신축성 나노복합소재의 제조 방법
11 11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금속 나노입자는 Ag, Au, Pd, Pt, Ir, Rh, W, Ni, Cu, Fe, Mn, Ru, Cr, Mo, Nb, V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고신축성 나노복합소재의 제조 방법
12 12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금속 나노입자는 꽃 형상을 가지는 것인,고신축성 나노복합소재의 제조 방법
13 13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신축성 나노복합소재를 포함하는, 스트레인 센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교육부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나노튜브 및 나노복합구조연구센터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균관대학교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다기능성 나노복합소재 합성 및 기계적·전기적·열적 특성 연구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보통신방송혁신인재양성(R&D) ICT명품인재양성(성균관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