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당뇨병 기저질환에 동반되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상기 질환의 예측 또는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 기술번호 : KST2023002795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당뇨병 기저질환에 동반되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특정 지질대사체를 이용한 당뇨병 기저질환에 동반되는 염증질환의 예측 또는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및 특정 지질대사체를 이용한 당뇨병 기저질환에 동반되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물의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에 해당하는 분리유청단백질의 마이얄반응 생성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비알코올성 지방간 유도 간세포에 처리하는 경우 지질축적 및 세포사멸에 관여하는 인자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활성산소 생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발효물을 당뇨병 및 염증성 장질환을 동시에 갖는 복합질환 동물모델에 경구 섭취시킨 경우 대장질환 유발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특정 지질대사체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바,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뇨병 기저성 염증질환 및 비알콜성지방간과 같은 대사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당뇨병 및 염증성 장질환을 동시에 갖는 복합질환 동물모델에 분리유청단백질의 마이얄반응 생성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섭취시킨 후 변화되는 지질대사체를 확인하였으며 이들 지질대사체가 해당 질병과 연관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는바, 상기 지질대사체를 이용하여 당뇨병 기저질환에 동반되는 염증질환의 발병 위험도를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Int. CL G01N 33/68 (2006.01.01) G01N 33/92 (2006.01.01) A61K 38/17 (2006.01.01) A61P 1/16 (2006.01.01) A61P 29/00 (2023.01.01) A23L 33/18 (2016.01.01)
CPC G01N 33/6893(2013.01) G01N 33/92(2013.01) A61K 38/1709(2013.01) A61P 1/16(2013.01) A61P 29/00(2013.01) A61P 1/16(2013.01) A23L 33/18(2013.01) A01K 2267/0368(2013.01) G01N 2500/00(2013.01) A23V 2002/00(2013.01) A23V 2200/30(2013.01) A23V 2400/14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10171889 (2021.12.03)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084364 (2023.06.13)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12.03)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광원 서울특별시 종로구
2 정유진 서울특별시 노원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남앤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서소문로**(서소문동, 정안빌딩*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12.03 수리 (Accepted) 1-1-2021-1404984-07
2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3.08.0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3-0704278-21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a) 피검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하기 표에 표시된 지질대사체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지질대사체의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측정된 지질대사체의 수준을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뇨병 기저질환에 동반되는 염증질환의 예측 또는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염증질환은 염증성 장질환, 결장 크론병 또는 장간막 크론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N-[(9Z)-3-하이드록시헥사덱-9-에노일]스핑고신-1-포스포콜린(N-[(9Z)-3-hydroxyhexadec-9-enoyl]sphingosine-1-phosphocholine); 1-린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linoleoyl-sn-glycero-3-phosphocholine); 4,13-디메틸테트라데카노익에시드(4,13-dimethyltetradecanoic acid); 2-옥타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2-octadec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아라키도노일-글리세로-3-포스포콜린(1-arachidonoyl-glycero-3-phosphocholine); 5Z,13Z-에이코사디에노익에시드(5Z,13Z-eicosadienoic acid); 3-페룰로일퀴닉에시드(3-Feruloylquinic acid); 1-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1-palmitoyl-phosphatidylcholine); 2-아라키도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2-arachid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1-스테아로일-글리세로-3-포스포콜린(1-stearoyl-glycero-3-phosphocholine); 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palmitoyl-sn-glycero-3-phosphocholine); 스테아로일글리세론 포스페이트(Stearoylglycerone phosphate); 2-아세틸-1-(5Z,8Z,11Z,14Z-에이코사테트라엔일)-sn-글리세로-포스페이트(2-Acetyl-1-(5Z,8Z,11Z,14Z-eicosatetraenyl)-sn-glycero-phosphate); 1-하이드록시-2-에이코사디에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1-hydroxy-2-eicosadien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1-도코사헥사에노일-글리세로-3-포스포콜린(1-docosahexaenoyl-glycero-3-phosphocholine); 1-바세노일-글리세로-3-포스포콜린(1-vaccenoyl-glycero-3-phosphocholine); 1-미아도일-글리세로-3-포스포콜린(1-meadoyl-glycero-3-phosphocholine); 3'-케토락토오스(3'-Ketolactose); 1-테트라데카노일-2-아이코사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tetradecanoyl-2-eicos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에이코사디에노일-글리세로-3-포스포콜린(1-eicosadienoyl-glycero-3-phosphocholine); 1-미리스트올레오일-2-스테아리도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1-myristoleoyl-2-stearidon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1-에이코사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eicos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팔미토일-2-오스본도일-sn-글리세로-3-포스포이노시톨(1-palmitoyl-2-osbondoyl-sn-glycero-3-phosphoinositol); 1-하이드록시-2-오스본도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1-hydroxy-2-osbond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및 1-스테아로일-2-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stearoyl-2-palmitoyl-sn-glycero-3-phosphochol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지질대사체의 수준이 정상 대조군 보다 높은 경우 당뇨병 기저질환에 동반되는 염증질환의 발병 확률이 높은 위험군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1-팔미토일-sn-글리세롤 3-포스페이트(1-palmitoyl-sn-glycerol 3-phosphate); 1-팔미트올레오일-2-아라키토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palmitoleoyl-2-arachidonoyl-sn-glycero-3-phosphocholine); 키네텐신 4-8(Kinetensin 4-8); 1-헥사데카노일-2,3-디옥타데카노일-sn-글리세롤(1-hexadecanoyl-2,3-dioctadecanoyl-sn-glycerol); 1-펜타데카노일-2-헥사데카노일-3-옥타데카노일-sn-글리세롤(1-pentadecanoyl-2-hexadecanoyl-3-octadecanoyl-sn-glycerol); 1-팔미토일-2-아드레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palmitoyl-2-adre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스테아리도노일-2-아라키도닐-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1-stearidonoyl-2-arachidon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1-팔미토일-2-에익소아테트라에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palmitoyl-2-eicsoatetrae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아라키도노일-2-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arachidonoyl-2-oleoyl-sn-glycero-3-phosphocholine); 1-에익소아테트라에노일-2-펜타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eicsoatetraenoyl-2-pentadec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올레오일-2-a-린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1-oleoyl-2-a-linolen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1-스테아로일-2-아라키도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stearoyl-2-arachidonoyl-sn-glycero-3-phosphocholine); 및 1-린올레오일-2-미아도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linoleoyl-2-meadoyl-sn-glycero-3-phosphochol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지질대사체의 수준이 정상 대조군 보다 낮은 경우 당뇨병 기저질환에 동반되는 염증질환의 발병 확률이 높은 위험군에 속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시료는 환자의 혈액, 혈장, 혈청, 뇨, 눈물, 객담, 비분비물, 기관지 분비물, 기관지 세척액, 폐분비물, 및 폐포 세척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지질대사체의 수준 측정은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 광흡수분석법, 발광분광분석법 핵자기공명분광기, 자외선분광기, 적외선분광기, 형광분광기,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및 질량분석기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이상인 것을 이용하여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은 LC-triple-Q-MS(Liquid chromatography triple quadrupole mass spectrometry) 또는 GC-TOF-MS(gas chromatography/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8 8
ⅰ) 당뇨병 및 염증성 장질환을 동시에 갖는 복합질환 동물모델에 후보약물을 처리하는 단계; 및ⅱ) 상기 ⅰ) 단계를 거친 동물모델에서 하기 표에 표시된 지질대사체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지질대사체의 수준의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뇨병 기저질환에 동반되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물의 스크리닝 방법
9 9
제8항에 있어서,상기 복합질환 동물모델은 제2형 당뇨병 동물모델에 대장염을 유도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10 10
제8항에 있어서,N-[(9Z)-3-하이드록시헥사덱-9-에노일]스핑고신-1-포스포콜린(N-[(9Z)-3-hydroxyhexadec-9-enoyl]sphingosine-1-phosphocholine); 1-린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linoleoyl-sn-glycero-3-phosphocholine); 4,13-디메틸테트라데카노익에시드(4,13-dimethyltetradecanoic acid); 2-옥타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2-octadec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아라키도노일-글리세로-3-포스포콜린(1-arachidonoyl-glycero-3-phosphocholine); 5Z,13Z-에이코사디에노익에시드(5Z,13Z-eicosadienoic acid); 3-페룰로일퀴닉에시드(3-Feruloylquinic acid); 1-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1-palmitoyl-phosphatidylcholine); 2-아라키도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2-arachid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1-스테아로일-글리세로-3-포스포콜린(1-stearoyl-glycero-3-phosphocholine); 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palmitoyl-sn-glycero-3-phosphocholine); 스테아로일글리세론 포스페이트(Stearoylglycerone phosphate); 2-아세틸-1-(5Z,8Z,11Z,14Z-에이코사테트라엔일)-sn-글리세로-포스페이트(2-Acetyl-1-(5Z,8Z,11Z,14Z-eicosatetraenyl)-sn-glycero-phosphate); 1-하이드록시-2-에이코사디에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1-hydroxy-2-eicosadien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1-도코사헥사에노일-글리세로-3-포스포콜린(1-docosahexaenoyl-glycero-3-phosphocholine); 1-바세노일-글리세로-3-포스포콜린(1-vaccenoyl-glycero-3-phosphocholine); 1-미아도일-글리세로-3-포스포콜린(1-meadoyl-glycero-3-phosphocholine); 3'-케토락토오스(3'-Ketolactose); 1-테트라데카노일-2-아이코사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tetradecanoyl-2-eicos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에이코사디에노일-글리세로-3-포스포콜린(1-eicosadienoyl-glycero-3-phosphocholine); 1-미리스트올레오일-2-스테아리도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1-myristoleoyl-2-stearidon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1-에이코사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eicos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팔미토일-2-오스본도일-sn-글리세로-3-포스포이노시톨(1-palmitoyl-2-osbondoyl-sn-glycero-3-phosphoinositol); 1-하이드록시-2-오스본도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1-hydroxy-2-osbond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및 1-스테아로일-2-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stearoyl-2-palmitoyl-sn-glycero-3-phosphochol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지질대사체의 수준이 후보약물을 처리 전 대비 감소되는 경우 상기 후모약물을 치료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11 11
제8항에 있어서,1-팔미토일-sn-글리세롤 3-포스페이트(1-palmitoyl-sn-glycerol 3-phosphate); 1-팔미트올레오일-2-아라키토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palmitoleoyl-2-arachidonoyl-sn-glycero-3-phosphocholine); 키네텐신 4-8(Kinetensin 4-8); 1-헥사데카노일-2,3-디옥타데카노일-sn-글리세롤(1-hexadecanoyl-2,3-dioctadecanoyl-sn-glycerol); 1-펜타데카노일-2-헥사데카노일-3-옥타데카노일-sn-글리세롤(1-pentadecanoyl-2-hexadecanoyl-3-octadecanoyl-sn-glycerol); 1-팔미토일-2-아드레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palmitoyl-2-adre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스테아리도노일-2-아라키도닐-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1-stearidonoyl-2-arachidon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1-팔미토일-2-에익소아테트라에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palmitoyl-2-eicsoatetrae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아라키도노일-2-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arachidonoyl-2-oleoyl-sn-glycero-3-phosphocholine); 1-에익소아테트라에노일-2-펜타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eicsoatetraenoyl-2-pentadec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올레오일-2-a-린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1-oleoyl-2-a-linolen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1-스테아로일-2-아라키도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stearoyl-2-arachidonoyl-sn-glycero-3-phosphocholine); 및 1-린올레오일-2-미아도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linoleoyl-2-meadoyl-sn-glycero-3-phosphochol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지질대사체의 수준이 후보약물을 처리 전 대비 증대되는 경우 상기 후모약물을 치료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12 12
분리유청단백질의 마이얄반응 생성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기저질환에 동반되는 염증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13 13
제12항에 있어서,상기 발효물은 분리유청단백질 및 갈락토오스를 혼합하여 반응시킨 마이얄반응 생성물에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발효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기저질환에 동반되는 염증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14 14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염증질환은 염증성 장질환, 결장 크론병 또는 장간막 크론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15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16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17
분리유청단백질의 마이얄반응 생성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코올성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18 18
제17항에 있어서,상기 발효물은 분리유청단백질 및 갈락토오스를 혼합하여 반응시킨 마이얄반응 생성물에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발효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코올성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19 19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0 20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농림축산식품부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 발효 당화유단백질을 이용한 장내 기저성 염증 개선 기능성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