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뇌 영상을 이용한 복합부위통증증후군 분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기술번호 : KST2023002810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뇌 영상을 이용한 복합부위통증증후군 분석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복합부위통증증후군 분석 장치는 대상자의 뇌 부위를 촬영한 뇌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획득한 뇌 영상을 기초로 대상자의 중심뒤이랑 부위를 포함하는 제1기준 영역에 병변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제1기준 영역에 병변이 존재하면, 대상자를 복합부위통증증후군(CRPS,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발병 위험 대상자라고 결정하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t. CL A61B 5/055 (2006.01.01) A61B 5/00 (2021.01.01) A61B 5/11 (2006.01.01)
CPC A61B 5/055(2013.01) A61B 5/4824(2013.01) A61B 5/4064(2013.01) A61B 5/1124(2013.01) A61B 5/0033(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10175517 (2021.12.09)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086981 (2023.06.16)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12.09)
심사청구항수 17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편성범 서울특별시 강남구
2 태우석 강원도 춘천시 퇴계로 ***-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기갑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역삼동) 여산빌딩 *층 ***호(온유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12.09 수리 (Accepted) 1-1-2021-1427919-22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2.06.15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뇌 영상을 이용한 복합부위통증증후군 분석 장치에 있어서,대상자의 뇌 부위를 촬영한 뇌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상기 뇌 영상을 기초로 상기 대상자의 중심뒤이랑 부위를 포함하는 제1기준 영역에 병변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상기 제1기준 영역에 병변이 존재하면, 상기 대상자를 복합부위통증증후군(CRPS,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발병 위험 대상자라고 결정하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뇌 영상을 이용한 복합부위통증증후군 분석 장치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기준 영역은,미상핵, 피각 및 백질 복합체 부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인,복합부위통증증후군 분석 장치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복합부위통증증후군 분석 장치는,뇌졸중 상지기능 검사(Manual Function Test, MFT), 수정바텔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 푸글메이어평가(Fugl-Meyer Assessment), 편마비 측 어깨 굴곡 및 손목 신전에 대한 MRC 척도, 버그 균형 척도(Berg Balance Scale, BBS) 및 간이정신상태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상기 대상자가 수행하여 획득한 결과를 포함하는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평가 정보부,를 더 포함하는,복합부위통증증후군 분석 장치
4 4
제3항에 있어서,상기 분석부는,상기 제1기준 영역에 병변이 존재하고, 상기 평가 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 기준보다 미만일 경우, 상기 대상자를 복합부위통증증후군(CRPS,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발병 고위험 대상자라고 결정하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복합부위통증증후군 분석 장치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복합부위통증증후군 분석 장치는,상기 대상자의 상지에 대한 체성감각유발전위 부재 빈도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복합부위통증증후군 분석 장치
6 6
제5항에 있어서,상기 분석부는,상기 제1기준 영역에 병변이 존재하고, 상기 대상자의 상지에 대한 체성감각유발전위 부재 빈도가 기 설정된 임계 기준을 초과할 경우, 상기 대상자를 복합부위통증증후군(CRPS,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발병 고위험 대상자라고 결정하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복합부위통증증후군 분석 장치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판단부는,상기 뇌 영상을 기초로 상기 대상자의 대뇌기저핵 부위 및 일차 운동피질 부위를 포함하는 제2기준 영역에 병변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하는 것인,복합부위통증증후군 분석 장치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분석부는,상기 제1기준 영역 및 제2기준 영역에 병변이 존재하면, 상기 대상자가 복합부위통증증후군 발병 고위험 대상자라고 결정하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복합부위통증증후군 분석 장치
9 9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복합부위통증증후군 분석 장치는,상기 대상자에 관하여, 편마비, 어깨 아탈구, 상지 고정, 운동 결손, 중증 관절 외상 및 회전근개 파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증상 여부를 수신하는 증상 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복합부위통증증후군 분석 장치
10 10
제9항에 있어서,상기 분석부는,상기 제1기준 영역에 병변이 존재하고, 상기 대상자가 상기 증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보유하면, 상기 대상자가 복합부위통증증후군 발병 고위험 대상자라고 결정하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복합부위통증증후군 분석 장치
11 11
제1항에 있어서,상기 판단부는,상기 뇌 영상을 기초로 상기 대상자의 회백질 부위의 부피를 더 판단하는 것인,복합부위통증증후군 분석 장치
12 12
제11항에 있어서,상기 분석부는,상기 제1기준 영역에 병변이 존재하고, 상기 대상자의 회백질 부위의 부피가 기 설정된 수치 미만일 경우, 상기 대상자가 복합부위통증증후군 발병 고위험 대상자라고 결정하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복합부위통증증후군 분석 장치
13 13
제1항에 있어서,상기 대상자의 뇌 영상은 자기공명영상인 것인,복합부위통증증후군 분석 장치
14 14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복합부위통증증후군 분석 장치는,상기 대상자의 단말, 상기 대상자의 보호자의 단말 및 상기 대상자가 지정한 병원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분석 정보를 발신하는 발신부,를 더 포함하는,복합부위통증증후군 분석 장치
15 15
복합부위통증증후군 분석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복합부위통증증후군 분석 기준 정보 산출 방법에 있어서,뇌졸중 이력이 있는 복수의 환자의 뇌 영상을 수집하는 단계;상기 복수의 환자 중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이 나타난 환자를 포함하는 환자 그룹을 대상군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환자 중 상기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이 나타나지 않은 환자를 포함하는 환자 그룹을 대조군으로 설정하는 단계;상기 대상군의 뇌 영상 및 상기 대조군의 뇌 영상에 통계적 영상분석 기법(Voxel-based lesion symptom mapping)을 수행하여 뇌 손상의 차이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 및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복합부위통증증후군(CRPS,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의 발병 위험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상기 뇌 손상의 차이 영역에 해당하는 뇌 부위는 중심뒤이랑 부위를 포함하는 것인,복합부위통증증후군 기준 정보 생성 방법
16 16
복합부위통증증후군 분석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뇌 영상을 이용한 복합부위통증증후군 분석 방법에 있어서,영상 획득부가 대상자의 뇌 부위를 촬영한 뇌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판단부가 상기 뇌 영상을 기초로 상기 대상자의 중심뒤이랑 부위를 포함하는 제1기준 영역에 병변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분석부가 상기 제1기준 영역에 병변이 존재하면, 상기 대상자를 복합부위통증증후군(CRPS,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발병 위험 대상자라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뇌 영상을 이용한 복합부위통증증후군 분석 방법
17 17
제15항 내지 제16항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