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항균성을 가진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내오염성 분리막 제조 방법

  • 기술번호 : KST2023002817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항균성을 가진 계면활성제를 첨가제로 이용하여 오염에 취약한 수처리 및 해수담수화 분리막에 항균 및 내오염성을 부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Int. CL B01D 71/56 (2006.01.01) B01D 69/10 (2006.01.01) B01D 69/12 (2006.01.01) B01D 67/00 (2006.01.01) B01D 65/08 (2006.01.01) B01D 61/02 (2006.01.01) C02F 1/44 (2006.01.01) B01D 61/00 (2006.01.01) A01N 33/12 (2006.01.01) B01D 61/14 (2006.01.01)
CPC B01D 71/56(2013.01) B01D 69/107(2013.01) B01D 69/12(2013.01) B01D 67/0006(2013.01) B01D 65/08(2013.01) B01D 61/025(2013.01) C02F 1/441(2013.01) B01D 61/002(2013.01) B01D 61/027(2013.01) C02F 1/442(2013.01) C02F 1/445(2013.01) B01D 61/145(2013.01) C02F 1/444(2013.01) A01N 33/12(2013.01) B01D 2325/4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172777 (2022.12.12)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088624 (2023.06.20)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10176474   |   2021.12.10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12.12)
심사청구항수 1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정현 서울특별시 성북구
2 박성준 서울특별시 성동구
3 최완석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4 이명석 서울특별시 성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다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 *길 **, 신관 *층~*층, **층(역삼동, 광성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12.12 수리 (Accepted) 1-1-2022-1333967-11
2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2.12.19 수리 (Accepted) 1-1-2022-1363038-7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다공성 지지체 상에 제1 유기단량체, 제1 용매 및 항균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제1 용액을 함침 또는 도포하는 단계;제2 유기단량체 및 제2 용매를 포함하는 제2 용액을 함침 또는 도포하는 단계; 및상기 제1 용액 및 제2 용액에 각각 용해되어 있는 제1 유기단량체와 제2 유기단량체 간의 계면중합(interfacial polymerization)을 통해 선택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항균성 계면활성제는 벤잘코늄클로라이드(benzalkonium chloride, BAC)인 박막 복합체 분리막의 제조 방법
2 2
제 1 항에 있어서,다공성 지지체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PAN), 폴리설폰(polysulfo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폴리아이소뷰틸렌(polyisobutylen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테프론(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폴리비닐플루라이드(polyvinylfluorid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폴리벤지미다졸(polybenzimidazol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olyvinylidenefluoride)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e)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분자로부터 형성되는 것인 박막 복합체 분리막의 제조 방법
3 3
제 1 항에 있어서,다공성 지지체의 두께는 1 내지 1,000 ㎛이고, 평균 기공 크기는 1 nm 내지 100 ㎛이며, 표면 기공도는 10 내지 90%인 박막 복합체 분리막의 제조 방법
4 4
제 1 항에 있어서, 선택층은 가교된 또는 비가교된 폴리아마이드(polyamide), 폴리피페라진-아마이드(polypiperazine-amide),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이미드(polyimide) 및 폴리에테르이미드일 수 있으며, 전 방향족(fully aromatic), 부분 방향족(partially aromatic), 또는 전 지방족(fully aliphatic)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인 박막 복합체 분리막의 제조 방법
5 5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유기단량체는 m-페닐렌디아민(m-phenylenediamine, MPD), o-페닐렌디아민(o-phenylenediamine), p-페닐렌디아민(p-phenylenediamine), 피페라진(piperazine), 디에틸렌트리아민(diethylenetriamine), 트리에틸렌테트라민(triethylenetetramine),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민(diethylaminopropylamine), 메탄디아민(methanediamine),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 o-디하이드록시벤젠(o-dihydroxybenzene), m-디하이드록시벤젠(m-dihydroxybenzene), p-디하이드록시벤젠(p-dihydroxybenzene) 및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박막 복합체 분리막의 제조 방법
6 6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용매는 물,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부탄올(but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아세톤(acetone),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및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박막 복합체 분리막의 제조 방법
7 7
제 1 항에 있어서, 항균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의 농도는 1 내지 1000 mM인 박막 복합체 분리막의 제조 방법
8 8
제 1 항에 있어서, 제2 유기단량체는 아실클로라이드 말단기를 가지며, 트리메조일 클로라이드(trimesoyl chloride, TMC),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terephthaloyl chloride), 사이클로헥산-1,3,5-트리카보닐 클로라이드(cyclohexane-1,3,5-tricarbonyl chloride), 1-이소시아네이토-3,5-벤젠디카보닐 클로라이드(1-isocyanato-3,5-benzenedicarbonyl chloride) 및 이소프탈로일 클로라이드(isophthaloyl chloride)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박막 복합체 분리막의 제조 방법
9 9
제 1 항에 있어서, 제2 용매는 n-헥산(n-hexane), 펜탄(pentane), 사이클로헥산(cyclohexane), 헵탄(heptane), 옥탄(octane), 데칸(decane), 도데칸(dodecane), 사염화탄소(carbon tetrachloride), 벤젠(benzene), 톨루엔(toluene) 및 자일렌(xylene)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이상인 박막 복합체 분리막의 제조 방법
10 10
제 1 항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박막 복합체 분리막
11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정삼투(foward osmosis, FO), 가압식 정삼투(pressure assisted osmosis), 압력지연삼투(pressure-retarded osmosis), 나노여과(nanofiltration) 및 역삼투(reverse osmosis, RO) 공정에 적용되는 박막 복합체 분리막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탄소중립형 물-에너지 통합시스템 선도연구센터
2 교육부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지속가능형 항균·항바이러스 나노 필름 및 고분자 분리막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