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PLC 활성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기술번호 : KST2023003049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PLC 활성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PLC 활성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AβO에 의해 억제된 S-eCB 동원을 복원시키고, AβO로 손상된 시냅스 가소성을 회복시키며, AβO 처리 마우스 해마 절편 및 AD 만성 단계의 5XFAD 마우스 해마 절편에서 PLCβ1 단백질 수준을 정상으로 회복시킬 뿐만 아니라, AD 마우스에서 맥락적 공포 기억 손상을 회복시키는 바, 알츠하이머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Int. CL A61K 31/18 (2006.01.01) A61P 25/28 (2006.01.01) G01N 33/68 (2006.01.01)
CPC A61K 31/18(2013.01) A61P 25/28(2013.01) G01N 33/6896(2013.01) G01N 2500/04(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034260 (2022.03.18)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054238 (2023.04.24)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10137527   |   2021.10.15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03.18)
심사청구항수 1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곽지현 서울특별시 강남구
2 이재동 서울특별시 노원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이룸리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평대로 ***, *층 (반포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3.18 수리 (Accepted) 1-1-2022-0297043-92
2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22.10.13 수리 (Accepted) 1-1-2022-1077380-9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PLC 활성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PLC 활성제는 PLCβ1 단백질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PLC 활성제는 엔도카나비노이드(endocannabinoid, eCB)의 합성 및 분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PLC 활성제는 하기 특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a) 해마 시냅스 가소성(synaptic plasticity); 및(b) 맥락적 공포 기억(contextual fear memory)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PLC 활성제는 m-3M3FB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6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a)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 후보물질을 처리하는 단계;(b) 상기 시료의 PLCβ1 단백질의 활성 수준, 또는 eCB의 합성 또는 분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c) 후보물질 비처리군과 비교하여, PLCβ1 단백질의 활성 수준, 또는 eCB의 합성 또는 분비 수준이 증가한 경우에, 상기 후보물질을 알츠하이머 치료제로 판정하는 단계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시료는 해마 유래 시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8
제6항에 있어서,상기 (b) 단계의 측정은 웨스턴 블랏,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방사선면역분석(RIA: radioimmunoassay), 방사 면역 확산법(radioimmunodiffusion), 및 면역침전분석법(immunoprecipitation assay)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9
피검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PLCβ1 단백질의 활성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10 10
제9항에 있어서,상기 피검체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11
제9항에 있어서,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해마 유래 시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12
제9항에 있어서,상기 방법은 측정한 상기 PLCβ1 단백질의 활성 수준이 대조군의 PLCβ1 단백질의 활성 수준에 비교하여 감소된 경우, 알츠하이머 치매로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13
제9항에 있어서,상기 PLCβ1 단백질의 활성 수준은 웨스턴 블랏,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방사선면역분석(RIA: radioimmunoassay), 방사 면역 확산법(radioimmunodiffusion), 및 면역침전분석법(immunoprecipitation assay)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20230118869 US 미국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DOCDB 패밀리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보건복지부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국가치매극복기술개발(R&D) 해마-피질 신경회로 제어를 통한 초기 알츠하이머성 치매 기억 치료기술개발
2 보건복지부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R&D) 다중 신경회로의 동시적 신호측정 및 제어 기법을 통한 알츠하이머성 치매 쥐 모델에서의 표적 신경회로 발굴 및 손상 기전 규명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려대학교 미래뇌융합기술개발(R&D) 자연신경망 원리 기반 능동적 적응지능 수리계산 모델링 및 AI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