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광전효율 및 기계적 연성의 동시 개선을 위한 유기태양전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태양전지

  • 기술번호 : KST2023003341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광전효율 및 기계적 연성의 동시 개선을 위한 유기태양전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태양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고분자 주개(polymer donor); 저분자 받개(small-molecule acceptor); 및 나프탈렌 다이이미드(NDI)계 중합체인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나프탈렌 다이이미드(NDI)계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이 임계 중량평균 분자량 이상인 것인, 유기태양전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Int. CL H10K 99/00 (2023.01.01) H10K 30/00 (2023.01.01) H10K 30/80 (2023.01.01)
CPC H10K 85/113(2013.01) H10K 85/111(2013.01) H10K 85/657(2013.01) H10K 85/215(2013.01) H10K 85/6576(2013.01) H10K 30/30(2013.01) H10K 30/10(2013.01) H10K 30/8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10193325 (2021.12.30)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102870 (2023.07.07)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12.30)
심사청구항수 1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범준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이진우 대전광역시 유성구
3 마부수 대전광역시 유성구
4 김택수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무한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역삼동,화물재단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12.30 수리 (Accepted) 1-1-2021-1531114-58
2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3.01.31 수리 (Accepted) 4-1-2023-5023571-05
3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3.02.15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4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3.05.04 수리 (Accepted) 4-1-2023-5110236-3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고분자 주개(polymer donor); 저분자 받개(small-molecule acceptor); 및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나프탈렌 다이이미드(NDI)계 중합체인 첨가제;를 포함하고,상기 나프탈렌 다이이미드(NDI)계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이 100 kg/mol-1 이상인 것인, 유기태양전지용 조성물: [화학식 1] (여기서, R 및 R'은, 각각, 수소,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및 -O-Ra(Ra은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에서 선택되고, R1 및 R2는, 각각, 수소, 할로겐,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및 -O-Ra(Ra은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에서 선택되고, Y는, , , , , 및 에서 선택되고, R3 내지 R9 중 모체(NDI)와 결합되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는, 각각, 수소, 할로겐, 아미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30의 알케닐기, 탄소수 2 내지 30의 알콕시기, 탄소수 5 내지 30의 아릴기 및 탄소수 5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에서 선택되고,Z, Z' 및 Z'''는, 각각, S, Se 및 O에서 선택되며,A는 두 개의 고리를 연결하는 연결기이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렌기 및 탄소수 2 내지 30의 알케닐렌기에서 선택되고, 상기 알킬렌기 및 알케닐렌기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할로겐 또는 시아노기로 치환되고, 및 n은 정수이다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R 및 R'는, 각각, 수소, 탄소수 3 내지 25의 알킬기 및 -O-Ra(Ra는, 탄소수 3 내지 25의 알킬기)에서 선택되는 것인, 유기태양전지용 조성물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R 및 R'는, 각각, 및 (여기서, Rb 및 Rc는, 각각,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다)에서 선택되고,상기 R1 및 R2는, 각각, 수소 및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에서 선택되는 것인, 유기태양전지용 조성물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Y는, 하기에서 선택되는 것인, 유기태양전지용 조성물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고분자 주개는, 하기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유기태양전지용 조성물: [화학식 2] (여기서, R10 내지 R15은, 각각,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및 탄소수 2 내지 30의 알케닐기에서 선택되고, m은 1 내지 1000의 정수이다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저분자 받개는, 하기의 화학식 3, 화학식 4 및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유기태양전지용 조성물:[화학식 3] (화학식 3에서 R16 내지 R19는, 각각,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및 탄소수 2 내지 30의 알케닐기에서 선택된다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 중 20 중량% 이하인 것인, 유기태양전지용 조성물
8 8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저분자 받개 대 상기 첨가제의 질량비 (w/w)는, 99 : 1 내지 70 : 30인 것인, 유기태양전지용 조성물
9 9
제1항에 있어서,상기 고분자 주개; 대 상기 저분자 받개 및 상기 첨가제 모두;의 질량비(w/w)는, 1 : 0
10 10
제1항에 있어서,상기 조성물은, 10 % 이상의 균열 개시 변형률(crack onset strain)을 갖는 것인, 유기태양전지용 조성물
11 11
제1항에 있어서,상기 조성물의 균열 개시 변형률(crack onset strain)은,상기 첨가제의 첨가 이전의 상기 조성물(상기 첨가제 0 %인 상기 조성물)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하는 것인, 유기태양전지용 조성물
12 1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조성물은, 1 MJ m-3 이상의 인성(toughness) 및 1 Gpa 이상의 탄성 계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갖는 것인,유기태양전지용 조성물
13 13
투명전극 및 상대전극; 및상기 투명전극 및 상대전극 사이에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중합체인 첨가제를 포함하는 제1항의 조성물로 제조된 활성층;을 포함하는, 유기태양전지: [화학식 1] (여기서, R 및 R'은, 각각, 수소,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및 -O-Ra(Ra은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에서 선택되고, R1 및 R2는, 각각, 수소, 할로겐,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및 -O-Ra(Ra은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에서 선택되고, Y는, , , , , 및 에서 선택되고, R3 내지 R9 중 모체(NDI)와 결합되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는, 각각, 수소, 할로겐, 아미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30의 알케닐기, 탄소수 2 내지 30의 알콕시기, 탄소수 5 내지 30의 아릴기 및 탄소수 5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에서 선택되고,Z, Z' 및 Z'''는, 각각, S, Se 및 O에서 선택되며,A는 두 개의 고리를 연결하는 연결기이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렌기 및 탄소수 2 내지 30의 알케닐렌기에서 선택되고, 상기 알킬렌기 및 알케닐렌기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할로겐 또는 시아노기로 치환되고, 및 n은 정수이다
14 14
제13항에 있어서,상기 활성층의 균열 개시 변형률(crack onset strain)은, 10 % 이상이고,상기 첨가제 0 %인 상기 활성층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된 것이고,상기 활성층은, 1 MJ m-3 이상의 인성(toughness) 및 1 Gpa 이상의 탄성 계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갖는 것인,유기태양전지
15 15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유기태양전지의 초기 광전변환효율(PCE)은, 광원 1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원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고효율 및 안정성을 가지는 스트레처블 고분자 태양전지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원 집단연구지원(R&D) 늘어나도 성능이 유지되는 태양전지 개발
3 산업통상자원부 한국화학연구원 신재생에너지핵심기술개발 30cm x 30cm급 초고효율 유연 고안정성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모듈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