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

  • 기술번호 : KST2023003388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품질의 고온에너지 및 전기에너지를 모두 원활하게 저장할 수 있고, 운용 및 관리가 편리하여 활용범위를 종래보다 훨씬 확장할 수 있는,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물 또는 공기와 같이 다루기 쉬운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고온의 작동유체로 열에너지를 직접 또는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 형태로 변환하여 열저장매체에 저장하였다가 필요 시 저온의 작동유체로 열에너지를 회수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nt. CL F28D 20/00 (2018.01.01) F28F 13/00 (2006.01.01) F28F 1/34 (2006.01.01) F28F 1/14 (2006.01.01) H05B 3/16 (2006.01.01) F17D 3/01 (2006.01.01) F17D 1/08 (2006.01.01)
CPC F28D 20/0034(2013.01) F28F 13/00(2013.01) F28F 1/34(2013.01) F28F 1/14(2013.01) H05B 3/16(2013.01) F17D 3/01(2013.01) F17D 1/084(2013.01) F28D 2020/0013(2013.01) F28D 2020/006(2013.01) F28D 2020/0078(2013.01) F28D 2020/0082(2013.01) F28D 2020/008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009404 (2022.01.21)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113455 (2023.07.3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01.21)
심사청구항수 27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장대준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제상현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플러스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대로 ***번지 (둔산동, 사학연금회관) **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1.21 수리 (Accepted) 1-1-2022-0081519-68
2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3.01.31 수리 (Accepted) 4-1-2023-5023571-05
3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3.05.04 수리 (Accepted) 4-1-2023-5110236-3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열저장매체(210)가 수용되는 열저장매체탱크(110);배관 형태로 형성되어 양단의 작동유체유통구(121)를 통해 상대적 고온환경이 형성되는 고온에너지원(510) 및 상대적 저온환경이 형성되는 저온에너지원(520) 사이에 유통되는 작동유체(220)가 유통되며, 일부가 상기 열저장매체탱크(110)에 수용되고, 상기 열저장매체탱크(110)에 수용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전력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장치가 구비되는 전열배관(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
2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100)는,에너지 저장모드 시,상기 전열배관(120)을 통해 상기 고온에너지원(510)에서 상기 저온에너지원(520)으로 흘러가는 상대적 고온의 작동유체(220)로부터 상기 열저장매체탱크(110) 내의 열저장매체(210)로 열에너지가 전달되거나,외부에서 인가되는 전력에 의해 상기 전열배관(120) 상의 가열장치가 가열되어 상기 열저장매체탱크(110) 내의 열저장매체(210)로 열에너지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
3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100)는,에너지 회수모드 시,상기 열저장매체탱크(110) 내의 열저장매체(210)로부터 상기 전열배관(120)을 통해 상기 저온에너지원(520)에서 상기 고온에너지원(510)으로 흘러가는 상대적 저온의 작동유체(220)로 열에너지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
4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100)는,상기 고온에너지원(510) 및 상기 저온에너지원(520) 사이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
5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100)는,하나의 상기 열저장매체탱크(110) 내에 상기 전열배관(120)이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
6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100)는,상기 고온에너지원(510) 및 상기 저온에너지원(520) 사이에 복수 개가 구비되거나, 하나의 상기 열저장매체탱크(110) 내에 상기 전열배관(120)이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경우,복수 개의 상기 전열배관(120)을 서로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배관(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
7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100)는,상기 고온에너지원(510) 및 상기 저온에너지원(520) 사이에 복수 개가 구비되거나, 하나의 상기 열저장매체탱크(110) 내에 상기 전열배관(120)이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경우,에너지 저장모드 시,각각의 상기 전열배관(120)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고온의 작동유체(220) 또는 전기가열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열저장매체(210)에 열에너지를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
8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100)는,하나의 상기 열저장매체탱크(110) 내에 상기 전열배관(120)이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경우,상기 열저장매체탱크(110) 내에 각각의 상기 전열배관(120)이 구비되는 공간을 서로 격리 구분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리벽(1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
9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100)는,서로 격리 구분된 인접공간들 간에 유체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격리벽(111) 상에 적어도 하나의 통공(1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
10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100)는,상기 열저장매체탱크(110)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열배관(120)을 향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기체토출구(141)를 통해 비반응성기체를 배출하는 기체배출관(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
11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100)는,상기 기체배출관(140)에서 배출된 기체로부터 비말동반되는 열저장매체 입자를 제거하는 입자제거기(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
12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저장매체탱크(110)는,외부와 격리되도록 밀폐 및 단열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
13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저장매체탱크(110)는,상기 전열배관(120)과 절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
14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열저장매체탱크(110)는,절연재질로 형성되거나,전도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전열배관(120)과의 연결부분에 단전부(113) 또는 단전플랜지(11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
15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배관(120)은,전력이 통과하는 전력입구(122a) 및 전력출구(122b),상기 전력입구(122a) 및 상기 전력출구(122b)에 의해 전력이 인가되는 부분과 나머지 다른 부분을 절연시키는 단전이음매(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
16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배관(120)은,상기 작동유체유통구(121)에 차단밸브(126)가 구비되며,상기 차단밸브(126)의 밀폐부가 상기 단전이음매(123) 역할을 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
17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배관(120)은,상기 전력입구(122a) 및 상기 전력출구(122b)가 상기 열저장매체탱크(110) 외부에 형성되거나,상기 전력입구(122a) 및 상기 전력출구(122b)가 상기 열저장매체탱크(110) 내에 수용된 열저장매체(210) 수위 아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
18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배관(120)은,전력이 인가되면 발열하는 재질로 형성되며,상기 전력입구(122a) 및 상기 전력출구(122b)가 상기 전열배관(120)에 직접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
19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배관(120)은,전기저항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영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
20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배관(120)은,상기 전열배관(120) 외면에 감겨 구비되며 외부와 절연되게 형성되는 별도의 발열선(124)을 구비하며,상기 전력입구(122a) 및 상기 전력출구(122b)가 상기 발열선(12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
21 21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배관(120)은,일부는 전력이 인가되면 발열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직접발열부(A)를 형성하고,일부는 상기 전열배관(120) 외면에 감겨 구비되며 외부와 절연되게 형성되는 별도의 발열선(124)을 구비하는 간접발열부(B)를 형성하고,상기 직접발열부(A) 및 상기 간접발열부(B)가 직렬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
22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배관(120)은,열저장매체(210)와의 접촉면적이 커지도록 사행유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
23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배관(120)은,상기 열저장매체탱크(110) 하부에서 열저장매체(210)와의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연장 또는 굴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
24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배관(120)은,열저장매체(210)와의 접촉면적이 커지도록 외면에 구비되는 방열핀(1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
25 2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100)는,상기 고온에너지원(510) 및 상기 저온에너지원(520) 사이에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경우,각각의 상기 전열배관(120)과 연결되어 작동유체(220)의 유통을 조절하는 배관시스템(3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
26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시스템(300)은,상기 고온에너지원(510)에 연결되어 상대적 고온의 작동유체(220)가 유통되는 고온헤더(310),상기 고온헤더(310) 및 복수 개의 상기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110) 각각에 구비된 상기 전열배관(120)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고온배관(315),상기 고온헤더(310) 상의 복수 개의 상기 고온배관(315)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온헤더밸브(310v),상기 고온배관(315) 상에 구비되는 고온배관밸브(315v),상기 저온에너지원(520)에 연결되어 상대적 저온의 작동유체(220)가 유통되는 저온헤더(320),상기 저온헤더(320) 및 복수 개의 상기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110) 각각에 구비된 상기 전열배관(120)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저온배관(325),상기 저온헤더(320) 상의 복수 개의 상기 저온배관(325)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저온헤더밸브(320v),상기 저온배관(325) 상에 구비되는 저온배관밸브(325v)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
27 27
제 1항에 의한 전기 및 고온에너지 저장장치(100)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및 회수 시스템(400)에 있어서,상기 열저장매체탱크(110)는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열저장매체탱크(110)의 일측부터 타측까지 열저장매체(210)의 온도가 저온에서 고온으로 구배되되, 저온측에서 고온측으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증기발생영역, 재가열영역, 과가열영역이 형성되며,상기 에너지 저장 및 회수 시스템(400)은,작동유체(210)를 응축하여 배출하는 응축기(410);상기 응축기(410)에서 배출된 상대적 저온의 작동유체(210)를 펌핑하는 저온응축액펌프(420);상기 저온응축액펌프(420)에서 배출된 상대적 저온의 작동유체(210)를 기액분리하는 탈기기(430);상기 탈기기(430)에서 배출된 상대적 고온의 작동유체(210)를 펌핑하는 고온응축액펌프(440);상기 증기발생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고온응축액펌프(440)에서 배출된 작동유체(210)가 통과하면서 증발하는 증기발생영역전열배관(120g);상기 증기발생영역전열배관(120g)에서 배출된 작동유체(210) 증기를 저장하는 증기저장부(450);상기 과가열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증기저장부(450)에서 배출된 작동유체(210)가 통과하면서 과가열되는 과가열영역전열배관(120s);상기 과가열영역전열배관(120s)에서 배출된 상대적 고온의 작동유체(210)에 의해 회전하는 고온터빈(460);상기 재가열영역(420r)에 배치되며 상기 고온터빈(460)에서 배출된 작동유체(210)가 통과하면서 재가열되는 재가열영역전열배관(120r);상기 재가열영역전열배관(120r)에서 배출된 상대적 저온의 작동유체(210)에 의해 회전하는 저온터빈(470);을 포함하며, 상기 저온터빈(470)에서 배출된 작동유체(210)가 상기 응축기(410)로 유입되어 작동유체(210)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및 회수 시스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