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전기화된 파이버 흡착제의 제조방법 및 전기 및 전자기 스윙 흡착 공정

  • 기술번호 : KST2023003481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흡착제 및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지지체로 형성되는 전기화된 파이버 흡착제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버 흡착제는 비교적 낮은 농도, 특히 대기중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흡착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의 탈착에 필요한 에너지원이 자유롭고, 직접적인 흡착제 가열이 가능해 에너지 효율성이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다.
Int. CL B01J 20/22 (2006.01.01) B01J 20/20 (2018.01.01) B01J 20/16 (2006.01.01) B01J 20/10 (2006.01.01) B01J 20/30 (2006.01.01) B01J 20/28 (2006.01.01) B01D 53/02 (2006.01.01)
CPC B01J 20/226(2013.01) B01J 20/20(2013.01) B01J 20/165(2013.01) B01J 20/103(2013.01) B01J 20/3085(2013.01) B01J 20/28023(2013.01) B01J 20/28026(2013.01) B01J 20/28042(2013.01) B01D 53/02(2013.01) B01D 2257/504(2013.01) Y02C 20/40(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131234 (2022.10.13)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사우디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
등록번호/일자 10-2546112-0000 (2023.06.16)
공개번호/일자 10-2023-0057956 (2023.05.0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230622)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10141816   |   2021.10.22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10.13)
심사청구항수 3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사우디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 아라비아 ***** 다란 포스트 오피스 박스 *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동연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이영훈 대전광역시 유성구
3 아킬 자말 대전광역시 유성구
4 김규남 대전광역시 유성구
5 정진홍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장제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 (역삼동, 윤익빌딩)(*T국제특허법률사무소)
2 이처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 (역삼동, 윤익빌딩)(*T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사우디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 사우디 아라비아 ***** 다란 포스트 오피스 박스 *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10.13 수리 (Accepted) 1-1-2022-1076746-21
2 [우선심사신청]심사청구서·우선심사신청서
2022.10.26 수리 (Accepted) 1-1-2022-1134302-13
3 [우선심사신청]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2.10.31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4 [우선심사신청]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2.11.03 수리 (Accepted) 9-1-2022-0016933-08
5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2.12.0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2-0952163-40
6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3.01.31 수리 (Accepted) 4-1-2023-5023571-05
7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3.02.03 수리 (Accepted) 1-1-2023-0129620-10
8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3.02.03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3-0129621-66
9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23.03.2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3-0266938-05
10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3.05.04 수리 (Accepted) 4-1-2023-5110236-3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흡착제와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다공성 지지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도성 재료는 벌크 전선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된 파이버 흡착제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보어 표면 혹은 쉘 표면에 전도성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된 파이버 흡착제
3 3
흡착제와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다공성 지지체;로 형성되어 있는 전기화된 파이버 흡착제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보어에 전도성 재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된 파이버 흡착제
4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내부에 전도성 재료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된 파이버 흡착제
5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이산화탄소를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된 파이버 흡착제
6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금속-유기 골격체(Metal-Organic Framework, MOF), 다공성 유기 분자(Porous Organic Cage, POC), 유기 골격체(Covalent Organic Frameworks, COF), 다공성 배위중합체(Porous Coordination Polymers, PCP), 금속-유기다면체(Metal-Organic polyhedra, MOP), 제올라이트, 실리카, 활성탄, 탄소 소재 및 금속산화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된 파이버 흡착제
7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유기 골격체는 금속 노드 및 유기 리간드를 포함하는 전기화된 파이버 흡착제
8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노드는 Mg, Al, Y, Sc, Mo, Ti, V, Cr, Mn, Fe, Co, Ni, Cu, Zr, Cd, Ca, Pd, Pt, Au, Ag, Ru, Gd, Eu, Tb 및 Nb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유기 리간드는 4,4'-디옥시도-3,3'-비페닐디카복실레이트, 2,5-디옥시도-1,4-벤젠디카복실레이트, 1,5-디옥사이드-2,6-나프탈렌디카복실레이트 4,4'-디옥시도-3,3'-트리페닐디카복실레이트, 2,5-디하이드록시테레프탈산, 4-(4-카복시-3-하이드록시-페닐)-2-하이드록시-벤조산, 4,4'-에티닐렌다이벤조산, 1,3,5-벤젠트리카르복실레이트, 2-브로모-1,4-벤젠디카르복실산, 피리딘-3-카르복실산, 2-메틸-1H-이미다졸, 4-메틸-5-이미다졸카르복스 알데하이드 및 바이페닐4,4'-디카르복실산(biphenyl-4,4'-dicarboxylic acid)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된 파이버 흡착제
9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유기 골격체는 NbOFFIVE-1-N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된 파이버 흡착제
10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소재는 다공성 탄소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된 파이버 흡착제
11 11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아민 계열의 화합물을 추가적으로 투입 또는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된 파이버 흡착제
12 12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재료는 전도성 다공성 구조체, 전도성 금속 및 합금, 전도성 2D 재료, 및 전도성 탄소재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된 파이버 흡착제
13 13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재료의 저항은 0
14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금속 및 합금은 은, 구리, 어닐링된 구리(annealed copper), 금, 알루미늄, 칼슘, 텅스텐, 아연, 코발트, 니켈, 루테늄, 리튬, 철, 백금, 주석, 갈륨, 니오븀, 탄소강, 납, 갈린스탄, 티타늄, 방향성 전기강판(grain oriented electrical steel), 망가닌(manganin), 콘스탄탄(constantan), 스테인리스강, 수은, 망간 및 니크롬(nichrom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된 파이버 흡착제
15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2D 재료는 이황화몰리브덴(MoS2), 포스포린(phosphorene), 비스무신(bismuthene), 맥신(Mxene) 또는 이황화텅스텐(WS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된 파이버 흡착제
16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탄소재료는 그래핀, 그래핀옥사이드, 그래파이트(graphite), 탄소검정(carbon black) 및 탄소나노튜브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된 파이버 흡착제
17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다공성 구조체는 유기 골격체(Covalent Organic Framework, COF) 또는 금속-유기 골격체(Metal-Organic Framework, MOF) 또는 탄소계열 다공성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된 파이버 흡착제
18 1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재료는 입자 형태 또는 벌크 전선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된 파이버 흡착제
19 19
제1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벌크 전선은 절연체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된 파이버 흡착제
20 2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고분자 또는 소결을 통한 무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된 파이버 흡착제
21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미세 다공성 고분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산화 니켈, 산화 구리, 알루미나, 산화 아연, 탄화규소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된 파이버 흡착제
22 22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중공 구조 또는 모노리틱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된 파이버 흡착제
23 23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상기 지지체 내에 1 wt% 내지 80 wt%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된 파이버 흡착제
24 2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서셉터(susceptor)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된 파이버 흡착제
25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서셉터는 탄소 섬유, 산화크로뮴, 침철석(Goethite), 레피도크로사이트(Lapidocrocite, 적철석(Hematite), 마그헤마이트(Maghemite), 자철석(Magnetite), 타이타늄철석(Ilmenite), 철(Fe) 및 코발트(Co)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된 파이버 흡착제
26 26
흡착제와 지지체를 포함하는 도프 용액을 방사한 다음,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용액에 침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의 전기화된 파이버 흡착제의 제조방법
27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버 흡착제의 제조방법은 상기 지지체를 용액에 침지하기 전에, 상기 지지체의 쉘 표면을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기화된 파이버 흡착제의 제조방법
28 28
흡착제 및 지지체를 포함하는 도프 용액을 방사하되, 스피너렛의 보어 또는 코어 측에 전도성 재료를 첨가한 후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또는 제3항의 전기화된 파이버 흡착제의 제조방법
29 29
제1항 또는 제3항의 전기화된 파이버 흡착제를 복수 개 포함하는 이산화탄소의 전기 및 전자기 스윙 흡착을 위한 전기화된 파이버 흡착제 모듈
30 30
(a) 이산화탄소 함유 기체를 제1항 또는 제3항의 전기화된 파이버 흡착제와 접촉시켜 상기 이산화탄소를 흡착하는 단계; 및(b) 상기 파이버 흡착제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탈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의 전기 및 전자기 스윙 흡착 방법
31 31
제30항에 있어서,저항 가열 방식 또는 유도 가열 방식에 의하여 전압을 인가하여 이산화탄소를 흡착한 흡착제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의 전기 및 전자기 스윙 흡착 방법
32 32
제30항에 있어서,상기 기체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1000 p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의 전기 및 전자기 스윙 흡착 방법
33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에, (c) 상기 (a) 및 (b)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이산화탄소의 전기 및 전자기 스윙 흡착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패밀리 정보가 없습니다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WO2023068651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