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신규한 카나비크로멘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 기술번호 : KST2023003638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카나비크로멘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카나바크로멘산 유도체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효능 및 부틸릴콜린에스테라제 저해 효능뿐만 아니라 모노아민 옥시다아제 B에 대한 저해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어, 치매 환자들에게서 나타나는 뇌조직 내의 아세틸콜린 수준 저하 및 혈중 부티릴콜린 수준 저하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고, 뇌세포 손상을 막음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인지기능 개선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카나비크로멘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부티릴콜린에스테라제 및 모노아민 옥시다아제 B를 동시에 저해하는 물질로 의약 및 건강기능식품 분야에서 인지기능 개선 물질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Int. CL C07D 311/04 (2006.01.01) A61K 31/352 (2006.01.01) A61K 31/541 (2006.01.01) A61K 31/453 (2006.01.01) A61K 31/427 (2006.01.01) A61K 31/496 (2006.01.01) A61P 25/28 (2006.01.01) C07D 405/12 (2006.01.01) C07D 409/12 (2006.01.01) C07D 417/12 (2006.01.01) C07D 407/12 (2006.01.01) A23L 33/10 (2022.01.01)
CPC C07D 311/04(2013.01) A61K 31/352(2013.01) A61K 31/541(2013.01) A61K 31/453(2013.01) A61K 31/427(2013.01) A61K 31/496(2013.01) A61P 25/28(2013.01) C07D 405/12(2013.01) C07D 409/12(2013.01) C07D 417/12(2013.01) C07D 407/12(2013.01) A23L 33/10(2013.01) A23V 2002/00(2013.01) A23V 2250/30(2013.01) A23V 2200/32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152759 (2022.11.15)
출원인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072436 (2023.05.24)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10157942   |   2021.11.16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11.15)
심사청구항수 1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강원도 춘천시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구연 강원도 춘천시 강원대학길 *,
2 정세희 강원도 춘천시 강원대학길 *,
3 허희영 강원도 춘천시 춘천
4 김주은 경기도 남양주시
5 이찬빈 강원도 춘천시 후석로***번길 **,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필앤온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 *층(서초동, 준영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11.15 수리 (Accepted) 1-1-2022-1215796-76
2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23.02.16 수리 (Accepted) 1-1-2023-0184866-6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나비크로멘산 유도체 화합물,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003c#화학식 1003e#상기 식에서,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C1-12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C2-12 직쇄 또는 분지쇄 알케닐; C2-5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키닐; C3-8 사이클로알킬; C5-7 아릴; 아릴 C1-4 알킬; N 및 S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가지는 5원 내지 7원환의 헤테로아릴; N, O 및 S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가지는 5원 내지 7원환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아릴 고리와 비방향족 사이클로알킬 고리가 융합된 2개환의 융합고리이거나,상기 R1 및 R2는 서로 연결되어, R1 및 R2에 연결된 N을 포함하고, N 및 S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0개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추가로 포함하는 5원 내지 7원환의 비방향족 헤테로사이클고리를 형성하고,상기 R1 및 R2를 포함하여 형성된 비방향족 헤테로사이클고리는 아릴 고리와 융합되어 2개환의 융합고리를 형성하거나 형성하지 않고,상기 R1 및 R2는 단수 또는 복수의 Ra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고,상기 Ra는 C1-5 알킬, 할로겐 치환 아릴, 할로겐 치환 헤테로아릴, 옥시도, 하이드록시, 하이드록시알킬, 머켑토, 알킬설포닐, 할로겐 또는 부톡시카르보닐이다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 및 R2가 독립적으로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부틸, 노닐, 도데실, 헥실, 운데세닐, 옥타디에닐, 프로피닐,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헵틸, 페닐, 펜에틸, 페닐프로필, 티아졸릴,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피페리디닐, 또는 디하이드로인데닐이거나, R1 및 R2가 서로 연결되어 티오모르폴리노, 피페라지닐, 또는 디하이드로이소퀴놀리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나비크로멘산 유도체 화합물,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a가 메틸, 에틸, 플루오로페닐, 브로모티오페닐, 옥시도, 하이드록시, 하이드록시에틸, 머켑토, 메틸설포닐, 브로모 또는 부톡시카르보닐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나비크로멘산 유도체 화합물,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나비크로멘산 유도체 화합물이 하기 화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나비크로멘산 유도체 화합물,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1] 5-하이드록시-N-이소프로필-2-메틸-2-(4-메틸펜트-3-엔-1-일)-7-펜틸-2H-크로멘-6-카르복사미드(4a),[2] 5-하이드록시-2-메틸-2-(4-메틸펜트-3-엔-1-일)-7-펜틸-N-페닐-2H -크로멘-6- 카르복사미드(4b),[3] N-사이클로프로필-5-하이드록시-2-메틸-2-(4-메틸펜트-3-엔-1-일)-7-펜틸-2H -크로멘-6-카르복사미드(4c),[4] N-부틸-5-하이드록시-2-메틸-2-(4-메틸펜트-3-엔-1-일)-7-펜틸-2H-크로멘-6-카르복사미드(4d),[5] N-사이클로펜틸-5-하이드록시-2-메틸-2-(4-메틸펜트-3-엔-1-일)-7-펜틸-2H-크로멘-6-카르복사미드(4e),[6] N-사이클로헥실-5-하이드록시-2-메틸-2-(4-메틸펜트-3-엔-1-일)-7-펜틸-2H-크로멘-6-카르복사미드(4f),[7] 5-하이드록시-2-메틸-2-(4-메틸펜트-3-엔-1-일)-N-노닐-7-펜틸-2H-크로멘-6-카르복사미드(4g),[8] N-도데실-5-하이드록시-2-메틸-2-(4-메틸펜트-3-엔-1-일)-7-펜틸-2H-크로멘-6-카르복사미드(4h),[9] 5-하이드록시-2-메틸-2-(4-메틸펜트-3-엔-1-일)-7-펜틸-N- (운덱-10-엔-1-일)-2H-크로멘-6-카르복사미드(4i),[10] N-(2-에틸헥실)-5-하이드록시-2-메틸-2-(4-메틸펜트-3-엔-1-일)-7-펜틸-2H-크로멘-6-카르복사미드(4j),[11] (E)-N-(3,7-디메틸옥타-2,6-디엔-1-일)-5-하이드록시-2-메틸-2-(4-메틸펜트-3-엔-1-일)-7-펜틸-2H-크로멘-6-카르복사미드(4k),[12] (1,1-디옥시도티오모폴리노)(5-하이드록시-2-메틸-2-(4-메틸펜트-3-엔-1-일)-7-펜틸-2H-크로멘-6-일)메타논(4l),[13] 5-하이드록시-2-메틸-2-(4-메틸펜트-3-엔-1-일)-7-펜틸-N- (프로프-2-인-1-일)-2H-크로멘-6-카르복사미드(4m),[14] 5-하이드록시-2-메틸-2-(4-메틸펜트-3-엔-1-일)-7-펜틸-N- (3-페닐프로필)-2H-크로멘-6-카르복사미드(4n),[15] 5-하이드록시-2-메틸-2-(4-메틸펜트-3-엔-1-일)-N-(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7-펜틸-2H-크로멘-6-카르복사미드(4o),[16] N-((4-브로모티오펜-2-일)메틸)-5-하이드록시-2-메틸-2-(4-메틸펜트-3-엔-1-일)-7-펜틸-2H-크로멘-6-카르복사미드(4p),[17] 5-하이드록시-2-메틸-2-(4-메틸펜트-3-엔-1-일)-N-(1-(메틸피페리딘-4-일)-7-펜틸-2H-크로멘-6-카르복사미드(4q),[18] 5-하이드록시-2-메틸-2-(4-메틸펜트-3-엔-1-일)-N-(5-메틸티아졸-2-일)-7-펜틸-2H-크로멘-6-카르복사미드(4r),[19] 터트-부틸(3S)-3-(5-하이드록시-2-메틸-2-(4-메틸펜트-3-엔-1-일)-7-펜틸-2H-크로멘-6-카르복사미도)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4s),[20] 5-하이드록시-2-메틸-2-(4-메틸펜트-3-엔-1-일)-7-펜틸-N- (p-톨릴)-2H-크로멘-6-카르복사미드(4t),[21] 터트-부틸 4-(5-하이드록시-2-메틸-2-(4-메틸펜트-3-엔-1-일)-7-펜틸-2H-크로멘-6-카르복사미도)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4u),[22] N-(세크-부틸)-5-하이드록시-2-메틸-2-(4-메틸펜트-3-엔-1-일)-7-펜틸-2H-크로멘-6-카르복사미드(4v),[23] N-(4'-플루오로-[1,1'-바이페닐]-4-일)-5-하이드록시-2-메틸-2-(4-메틸펜트-3-엔-1-일)-7-펜틸-2H-크로멘-6-카르복사미드(4w),[24] 5-하이드록시-N-(4-하이드록시펜에틸)-2-메틸-2-(4-메틸펜트-3-엔-1-일)-7-펜틸-2H-크로멘-6-카르복사미드(4x),[25] 5-하이드록시-N-(2-머르캅토에틸)-2-메틸-2-(4-메틸펜트-3-엔-1-일)-7-펜틸-2H-크로멘-6-카르복사미드(4y),[26] 5-하이드록시-2-메틸-2-(4-메틸펜트-3-엔-1-일)-7-펜틸-N-(피페리딘-1-일)-2H-크로멘-6-카르복사미드(4z),[27] N-(2,3-디하이드로-1H-인덴-2-일)-5-하이드록시-2-메틸-2-(4-메틸펜트-3-엔-1-일)-7-펜틸-2H-크로멘-6-카르복사미드(4aa),[28] N-사이클로헵틸-5-하이드록시-2-메틸-2-(4-메틸펜트-3-엔-1-일)-7-펜틸-2H-크로멘-6-카르복사미드(4ab),[29] (3,4-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2(1H)-일)(5-하이드록시-2-메틸-2-(4-메틸펜트-3-엔-1-일)-7-펜틸-2H-크로멘-6-일)메타논(4ac),[30] N-(4-브로모페닐)-5-하이드록시-2-메틸-2-(4-메틸펜트-3-엔-1-일)-7-펜틸-2H-크로멘-6-카르복사미드(4ad),[31] (5-하이드록시-2-메틸-2-(4-메틸펜트-3-엔-1-일)-7-펜틸-2H-크로멘-6-일)(4-(2-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진-1-일)메타논(4ae),[32] 5-하이드록시-2-메틸-2-(4-메틸펜트-3-엔-1-일)-7-펜틸-N- (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2H-크로멘-6-카르복사미드(4af),[33] N-사이클로펜틸-5-하이드록시-N,2-디메틸-2-(4-메틸펜트-3-엔-1-일)-7-펜틸-2H-크로멘-6-카르복사미드(4ag)
5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카나비크로멘산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6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기능 개선용이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7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질환이 알츠하이머병, 경도 인지 장애, 뇌졸증 및 혈관성 치매, 전두측두엽 치매, 루이소체 치매,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외상성 두부 손상, 매독,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 및 기타 바이러스 감염, 뇌 농양, 뇌 종양, 다발성 경화증, 대사성 질환에 의한 치매, 저산소증, 파킨슨병, 루게릭병, 헌팅턴병, 픽병,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간질, 허혈, 중풍,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정신분열증, 우울증, 조울증,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척수손상 및 척수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8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카나비크로멘산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노아민 옥시다아제(monoamine oxidase: MAO) 저해용 조성물
9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카나비크로멘산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10 10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E)-논-3-엔-2-온과 하기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디메틸말로네이트를 유기용매 중에서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제1 화합물을 얻는 단계;상기 얻어진 제1 화합물을 시트랄 및 수산화칼슘과 혼합하여, 유기용매 중에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제2 화합물을 얻는 단계;상기 얻어진 제2 화합물을 티오페놀 및 탄산세슘에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3a로 표시되는 제3 화합물을 얻는 단계; 및상기 얻어진 제3 화합물을 1-하이드록시벤조트라이졸과, 1-(3-디메틸아미노프로피)-3-에틸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아민 화합물과 반응시킨 후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나비크로멘산 유도체 화합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나비크로멘산 유도체 화합물의 제조방법:003c#화학식 1003e#003c#화학식 1-1003e#003c#화학식 1-2003e#003c#화학식 1a003e#003c#화학식 2a003e#003c#화학식 3a003e#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패밀리 정보가 없습니다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WO2023090822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재)춘천바이오산업진흥 지역의 미래를 여는 과학기술 프로젝트(내역) 강원 그린바이오 한국형 헴프 플랫폼 및 산업화 연구개발
2 중소벤처기업부 (주)케이메디켐 창업성장기술개발 다중 작용 기전 기반 알츠하미성 치매 신약 후보물질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