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뇌연령에 기초한 연령 관련 인지 저하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 기술번호 : KST2023004547
  • 담당센터 : 인천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2-420-358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뇌연령에 기초한 연령 관련 인지 저하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인지 저하 모니터링 방법은 환자의 뇌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뇌 구조의 노화 정도를 나타내는 구조적 뇌연령을 예측하는 단계; 환자의 관류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뇌 기능의 노화 정도를 나타내는 기능적 뇌연령을 예측하는 단계; 환자의 자기 공명 분광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뇌 대사의 노화 정도를 나타내는 대사적 뇌연령을 예측하는 단계; 상기 구조적 뇌연령, 상기 기능적 뇌연령 및 상기 대사적 뇌연령을 기초로 환자의 실제 뇌연령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환자의 실제 연령 및 상기 실제 뇌연령을 기초로 환자의 인지 기능 저하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t. CL A61B 5/00 (2021.01.01) A61B 5/055 (2006.01.01) G16H 50/30 (2018.01.01) A61N 1/20 (2006.01.01) A61N 1/04 (2006.01.01) A61N 1/36 (2006.01.01)
CPC A61B 5/4088(2013.01) A61B 5/4064(2013.01) A61B 5/055(2013.01) A61B 5/0263(2013.01) A61B 5/7275(2013.01) A61B 5/4836(2013.01) A61N 1/20(2013.01) A61N 1/0456(2013.01) A61N 1/3602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007967 (2022.01.19)
출원인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111921 (2023.07.26)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01.19)
심사청구항수 16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류인균 서울특별시 서초구
2 윤수정 서울특별시 송파구
3 하은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4 이향원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무한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역삼동,화물재단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1.19 수리 (Accepted) 1-1-2022-0070086-32
2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3.06.2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3-0566786-10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환자의 뇌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뇌 구조의 노화 정도를 나타내는 구조적 뇌연령을 예측하는 단계;환자의 관류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뇌 기능의 노화 정도를 나타내는 기능적 뇌연령을 예측하는 단계;환자의 자기 공명 분광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뇌 대사의 노화 정도를 나타내는 대사적 뇌연령을 예측하는 단계;상기 구조적 뇌연령, 상기 기능적 뇌연령 및 상기 대사적 뇌연령을 기초로 환자의 실제 뇌연령을 결정하는 단계; 및상기 환자의 실제 연령 및 상기 실제 뇌연령을 기초로 환자의 인지 기능 저하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의 인지 저하 모니터링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구조적 뇌연령을 예측하는 단계는,상기 뇌 자기 공명 영상에 포함된 뇌 피질 두께(cortical thickness)가 얇을수록 상기 구조적 뇌연령이 높은 것으로 예측하는 환자의 인지 저하 모니터링 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구조적 뇌연령을 예측하는 단계는,상기 뇌 자기 공명 영상에 포함된 피질하 구조의 부피(subcortical structures volume)가 작을수록 상기 구조적 뇌연령이 높아지는 것으로 예측하는 환자의 인지 저하 모니터링 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구조적 뇌연령을 예측하는 단계는,상기 뇌 자기 공명 영상에 포함된 뇌 백질 완전성(white matter integrity)이 낮을수록 상기 구조적 뇌연령이 높아지는 것으로 예측하는 환자의 인지 저하 모니터링 방법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기능적 뇌연령을 예측하는 단계는,상기 관류 자기 공명 영상에 포함된 평균 뇌 혈류량(global CBF), 또는 국소 뇌 혈류량(regional CBF)이 낮을수록 상기 기능적 뇌연령이 높아지는 것으로 예측하는 환자의 인지 저하 모니터링 방법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기능적 뇌연령을 예측하는 단계는,상기 관류 자기 공명 영상에 포함된 뇌 혈류량 편측성(CBF laterality)이 클수록 상기 기능적 뇌연령이 높아지는 것으로 예측하는 환자의 인지 저하 모니터링 방법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대사적 뇌연령을 예측하는 단계는,상기 자기 공명 분광 영상에 포함된 뇌내 신경전달물질 및 에너지대사 물질 농도가 낮을수록 상기 기능적 뇌연령이 높아지는 것으로 예측하는 환자의 인지 저하 모니터링 방법
8 8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환자의 실제 뇌연령을 결정하는 단계는,상기 환자의 실제 연령이 높을수록 상기 구조적 뇌연령, 및 상기 기능적 뇌연령에 상기 대사적 뇌연령보다 높은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환자의 실제 뇌연령을 결정하는 환자의 인지 저하 모니터링 방법
9 9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환자의 실제 뇌연령을 결정하는 단계는,상기 환자의 실제 연령이 낮을수록 상기 대사적 뇌연령에 상기 구조적 뇌연령, 및 상기 기능적 뇌연령보다 높은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환자의 실제 뇌연령을 결정하는 환자의 인지 저하 모니터링 방법
10 10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인지 기능 저하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는,상기 환자의 실제 연령과 상기 실제 뇌연령 간의 차이에 비례하여 상기 환자의 인지 기능의 저하 정도를 판단하는 환자의 인지 저하 모니터링 방법
11 11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환자의 인지 기능 저하 정도에 따라 환자에 대한 관리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환자의 인지 저하 모니터링 방법
12 12
제11항에 있어서,상기 관리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단계는,상기 환자의 실제 연령과의 차이가 가장 큰 뇌 연령이 구조적 뇌연령인 경우, 상기 인지 기능 저하 정도에 따라 파라미터가 설정된 경두개 자기 자극술을 상기 환자의 관리 프로토콜로 결정하는 환자의 인지 저하 모니터링 방법
13 13
제11항에 있어서,상기 관리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단계는,상기 환자의 실제 연령과의 차이가 가장 큰 뇌 연령이 기능적 뇌연령인 경우, 상기 인지 기능 저하 정도에 따라 파라미터가 설정된 고압 산소 요법을 상기 환자의 관리 프로토콜로 결정하는 환자의 인지 저하 모니터링 방법
14 14
제11항에 있어서,상기 관리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단계는,상기 환자의 실제 연령과의 차이가 가장 큰 뇌 연령이 대사적 뇌연령인 경우, 상기 인지 기능 저하 정도에 따라 파라미터가 설정된 경두개 직류 자극술을 상기 환자의 관리 프로토콜로 결정하는 환자의 인지 저하 모니터링 방법
15 15
환자의 인지 저하 모니터링 방법을 수행하는 인지 저하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상기 인지 저하 모니터링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상기 프로세서는,환자의 뇌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뇌 구조의 노화 정도를 나타내는 구조적 뇌연령을 예측하고,환자의 관류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뇌 기능의 노화 정도를 나타내는 기능적 뇌연령을 예측하고, 환자의 자기 공명 분광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뇌 대사의 노화 정도를 나타내는 대사적 뇌연령을 예측하고,상기 구조적 뇌연령, 상기 기능적 뇌연령 및 상기 대사적 뇌연령을 기초로 환자의 실제 뇌연령을 결정하며,상기 환자의 실제 연령 및 상기 실제 뇌연령을 기초로 환자의 인지 기능 저하 정도를 판단하는 환자의 인지 저하 모니터링 장치
16 16
제15항에 있어서,상기 프로세서는,상기 환자의 인지 기능 저하 정도에 따라 환자에 대한 관리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환자의 인지 저하 모니터링 장치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교육부 이화여자대학교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이화여자대학교 뇌융합과학연구원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화여자대학교 뇌질환극복연구사업(R&D) 스트레스 모델 바이오타입 기반의 다층모형 자살행동 진단-예측 시스템 개발
3 교육부 이화여자대학교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항우울 신규 치료타깃 발굴을 위한 산소노출에 따른 대뇌 에너지대사 변화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