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가축의 환경 스트레스에 특이적인 대사생리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가축의 환경 스트레스 가능성의 예측 방법

  • 기술번호 : KST2023004564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가축의 환경 스트레스에 특이적인 대사생리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가축의 환경 스트레스 가능성의 예측 방법을 제공하여, 기후변화와 이상기상에 대한 비유초기 착유우의 더위 피해 추정 기술 기반을 구축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Int. CL G01N 30/72 (2006.01.01) G01N 30/02 (2006.01.01)
CPC G01N 30/7206(2013.01) G01N 2030/02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10176925 (2021.12.10)
출원인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088077 (2023.06.19)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12.10)
심사청구항수 1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홍구 서울특별시 강동구
2 조장훈 대전광역시 서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이룸리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평대로 ***, *층 (반포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12.10 수리 (Accepted) 1-1-2021-1436437-38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3.02.15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가축의 환경 스트레스에 특이적인 대사생리 바이오마커로서,온도 또는 습도 특이적으로 발현량이 변화하며, 혈액 또는 우유에서 검출 가능한 것인, 가축의 환경 스트레스에 특이적인 대사생리 바이오마커
2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에서 검출되는 바이오마커는, 알라닌 (alanine), 하이드록실아민 (hydroxylamine), 발린(valine), 류신(leucine), 아이소루신(isoleucine), 프롤린(proline), 글리신(glycine), 세린(serine), 트레오닌(threonine), 메티오닌(methionine), 글루탐산(glutamic acid),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오르니틴(ornithine), 라이신(lysine), 티로신(tyrosine), 트립토판(tryptophan), 테트라데칸산(tetradecanoic acid), 헥사데칸산(hexadecanoic acid), 올레아나이트릴(Oleanitrile), 리놀레산(linoleic acid), 올레산(oleic acid), 스테아르산(stearic acid), 올레오아미드(oleamide), 모노팔미틴(Monopalmitin), 콜레스테롤(cholesterol), 프룩토오스(fructose), 글루코스(glucose), 미오이노시톨(myo-inositol), 젖산(lact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요산(uric acid) 및 요소(ure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바이오마커
3 3
제2 항에 있어서,상기 알라닌 (alanine), 하이드록실아민 (hydroxylamine), 발린(valine), 류신(leucine), 아이소루신(isoleucine), 프롤린(prolin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티로신(tyrosine), 젖산(lactic acid) 또는 요소(urea)는, 온도 및 습도가 상승하는 한계점(threshold)에서 발현이 증가하고, 극한점(severe)에서 발현이 감소하는 것인, 바이오마커
4 4
제2 항에 있어서,상기 트립토판(tryptophan) 또는 헥사데칸산(hexadecanoic acid)은, 온도 및 습도가 상승하는 한계점(threshold) 및 극한점(severe)에서 발현이 감소하는 것인, 바이오마커
5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유에서 검출되는 바이오마커는, 알라닌(alanine), 글리신(glycine),프롤린(proline), 글루탐산(glutam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올레아나이트릴(Oleanitrile), 스테아르산(stearic acid), 올레오아미드(oleamide), 펜티톨(pentitol), 자일리톨(xylitol), 푸코스(fucose), 에리트로오스(erythrose), 갈락토오스(galactose), 글루코스(glucose), 미오이노시톨(myo-inositol), 알로오스(allose), 락토오스(lactose), 갈락티놀(galactinol), 1, 3-프로판디올(1, 3-propanediol), 젖산(lactic acid), 부단-1,4-디올(Butane-1,4-diol),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말레산(fumaric acid), 벤조산(benzoic acid), 트레온산(threonic acid),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인산(Phosphor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요소(urea), 아데노신이인산(ADP) 및 N-아세틸 D-글루코사민(N-Acetyl D-Glucosam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바이오마커
6 6
제5 항에 있어서,상기 글리신(glycine), 글루탐산(glutamic acid) 또는 젖산(lactic acid)은, 온도 및 습도가 상승하는 한계점(threshold) 및 극한점(severe)에서 발현이 증가하나, 극한점에서의 발현은 한계점에서의 발현보다 감소하는 것인, 바이오마커
7 7
제5 항에 있어서,상기 스테아르산(stearic acid), 올레오아미드(oleamide) 또는 N-아세틸 D-글루코사민(N-Acetyl D-Glucosamine)은, 온도 및 습도가 상승하는 한계점(threshold) 및 극한점(severe)에서 발현이 증가하는 것인, 바이오마커
8 8
제5 항에 있어서,상기 글루코스(glucose), 미오이노시톨(myo-inositol) 또는 갈락티놀(galactinol)은, 온도 및 습도가 상승하는 한계점(threshold)에서 발현이 증가하는 것인, 바이오마커
9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은 비유초기 착유우인, 대사생리 바이오마커
10 10
가축의 환경 스트레스 가능성을 예측하는 방법으로서, (a) 개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를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수집된 시료 내에서 제1 항의 바이오마커 발현 수준을 확인하는 단계; 및(c) 상기 바이오마커의 발현 수준을 대조군과 비교하여 증감 수준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시료는 개체의 혈장 또는 우유인, 가축의 환경 스트레스 가능성의 예측 방법
11 11
제10 항에 있어서,(d) 상기 개체의 혈액에서 알라닌 (alanine), 하이드록실아민 (hydroxylamine), 발린(valine), 류신(leucine), 아이소루신(isoleucine), 프롤린(prolin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티로신(tyrosine), 젖산(lactic acid) 또는 요소(urea)의 발현이 증가하는 경우, 온도 스트레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축의 환경 스트레스 가능성의 예측 방법
12 12
제10 항에 있어서,(d) 상기 개체의 혈액에서 트립토판(tryptophan) 또는 헥사데칸산(hexadecanoic acid)의 발현이 감소하는 경우, 온도 스트레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축의 환경 스트레스 가능성의 예측 방법
13 13
제10 항에 있어서,(d) 상기 개체의 우유에서 글리신(glycine), 글루탐산(glutamic acid) 또는 젖산(lactic acid)의 발현이 증가하는 경우, 온도 스트레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축의 환경 스트레스 가능성의 예측 방법
14 14
제10 항에 있어서,(d) 상기 개체의 우유에서 스테아르산(stearic acid), 올레오아미드(oleamide) 또는 N-아세틸 D-글루코사민(N-Acetyl D-Glucosamine)의 발현이 증가하는 경우, 온도 스트레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축의 환경 스트레스 가능성의 예측 방법
15 15
제10 항에 있어서,(d) 상기 개체의 우유에서 글루코스(glucose), 미오이노시톨(myo-inositol) 또는 갈락티놀(galactinol)의 발현이 증가하는 경우, 온도 스트레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축의 환경 스트레스 가능성의 예측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농촌진흥청 건국대학교(서울) 신농업기후변화대응체계구축(R&D) 이상기상별 젖소의 체내 생리기작 구명을 통한 피해량 평가 기술 확립
2 농림축산식품부(농촌진흥청) 건국대학교(서울) 신농업기후변화대응체계구축(R&D) 이상기상(더위지수)에 따른 가축의 대사생리 기반 피해량 조사 평가기술 개발(3공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