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 기술번호 : KST2023006056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지의 수명 및 성능을 향상시키는 음극 바인더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Int. CL H01M 4/62 (2006.01.01) H01M 4/36 (2006.01.01) H01M 4/587 (2010.01.01) H01M 4/38 (2006.01.01) H01M 4/134 (2010.01.01) H01M 10/052 (2010.01.01) H01M 4/02 (2006.01.01)
CPC H01M 4/62(2013.01) H01M 4/625(2013.01) H01M 4/621(2013.01) H01M 4/364(2013.01) H01M 4/587(2013.01) H01M 4/386(2013.01) H01M 4/134(2013.01) H01M 10/052(2013.01) H01M 2004/027(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105081 (2022.08.22)
출원인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049542 (2023.04.13)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10132751   |   2021.10.06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08.22)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안희준 서울특별시 용산구
2 박창용 서울특별시 성동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최훈식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로 *** (가산동) ****호(강한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8.22 수리 (Accepted) 1-1-2022-0878441-77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하나 이상의 제1 작용기를 포함하는 퀀텀닷;하나 이상의 제2 작용기를 포함하는 수용성 바인더; 및음극 활물질을 포함하고,상기 퀀텀닷 및 상기 수용성 바인더는 빛 및 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여 화학졀합으로 연결되는,이차전지용 음극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작용기 또는 제2 작용기는 수용성 작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차전지용 음극
3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1 작용기는 하이드록시기(-OH), 아미노기(-NH2) 및 카르복실기(-COOH)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고,상기 제2 작용기는 하이드록시기(-OH), 아미노기(-NH2), 카르복실기(-COOH), 아미드기(-NHCO-), 에폭시기(-O-),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기(-R=R)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차전지용 음극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퀀텀닷은 카본퀀텀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차전지용 음극
5 5
제4항에 있어서,상기 카본퀀텀닷의 크기는 1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수용성 바인더는 폴리아크릴릭애시드(PAA), 폴리바이닐알코올(PVA),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AN), 폴리에틸렌글리콜(PEG)/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스타이렌 부타다이엔 러버(SBR),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CMC), 알지네이트(Alg), PFFOMB(poly(9,9-diotylfluorene-co-fluorenone-co-methylbenzoic ester)), 검아라빅(GA), 구아검(GG), 키토산, 녹말(starch),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이민, 젤라틴, 폴리(1-파이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pyrene-1-ylmethyl-methacrylate), 잔탄검(XG), 카라기난, 에폭시수지(epoxy resin), 및 폴리우레탄(PU)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차전지용 음극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수용성 바인더가 PAA인 경우 분자량(Mw)은 10,000 내지 9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차전지용 음극
8 8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음극 활물질은,Si, Li, SiOx, Sn, Ge, Mg, P, Al, Zn, Pb, Pn, 및 As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Si, Li, SiOx, Sn, Ge, Mg, P, Al, Zn, Pb, Pn, 및 As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탄소재료의 복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차전지용 음극
9 9
제8항에 있어서,상기 탄소재료는 흑연, 그래핀, 탄소섬유 및 탄소나노튜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차전지용 음극
10 10
제8항에 있어서,상기 음극 활물질이 Si인 경우 10nm 내지 50μm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차전지용 음극
11 11
제1항에 있어서,상기 퀀텀닷과 상기 수용성 바인더는 2:98 내지 50:50의 중량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차전지용 음극
12 12
제11항에 있어서,상기 퀀텀닷과 상기 수용성 바인더는 극단파 백색광을 조사함으로써 가교 결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13 1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이차전지용 음극은 첨가제를 더 포함하고,상기 첨가제는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카본 블랙, 그래핀 및 리듀스드 그래핀 옥사이드(rGO)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차전지용 음극
14 14
제1항에 있어서,도전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퀀텀닷과 상기 수용성 바인더는 빛 및 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여 축합중합되어 가교된 고분자(crosslinked polymer)인 바인더 복합체로 구비되고, 상기 바인더 복합체는 상기 음극 활물질 및 상기 도전제와 혼합되어 상기 음극 활물질을 바인딩(bind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차전지용 음극
15 15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음극 활물질, 상기 바인더 복합체 및 상기 도전재는 50:25:25 내지 99:0
16 16
제14항에 있어서,상기 빛은 극단파 백색광(IP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차전지용 음극
17 17
제16항에 있어서,상기 극단파 백색광은 1회 이상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차전지용 음극
18 18
제16항에 있어서,상기 극단파 백색광의 조사 강도는 1
19 19
제18항에 있어서,상기 이차전지용 음극의 전기 전도도는 상기 극단파 백색광을 가하는 경우, 상기 극단파 백색광을 가하지 않은 경우보다 5s/m 내지 30s/m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차전지용 음극
20 20
제1항 내지 19항 중 어느 하나의 이차전지용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17Y) (재)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재도약연구 / 재도약연구(중견연구)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한 유연한 아연 이온 마이크로 배터리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