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분리수거 환경 개선을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IoT(Internet of Things) 기반 분리수거통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 기술번호 : KST2023006362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수거 환경 개선을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IoT(Internet of Things) 기반 분리수거통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1 분리수거타겟존번들 내지 제n - 상기 n은 2 이상의 정수임 - 분리수거타겟존번들 각각이 제1 타입 재활용 쓰레기를 취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분리수거통 내지 제k - 상기 k는 2 이상의 정수임 - 타입 재활용 쓰레기를 취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k 분리수거통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분리수거타겟존번들이 배치된 제1 구역 내지 상기 제n 분리수거타겟존번들이 배치된 제n 구역 각각에서 상기 제1 분리수거통 내지 상기 제k 분리수거통 중 적어도 일부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된 이격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분리수거통 관리 서버가 (i) 상기 제1 분리수거타겟존번들 내지 상기 제n 분리수거타겟존번들 각각의 상기 제1 분리수거통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IoT 센서와 상기 제k 분리수거통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k IoT 센서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1 분리수거통 내지 상기 제k 분리수거통 각각에 대한 수거통 위치 정보와 쓰레기 축적량 정보를 획득하고, (ii)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거통 서치 요청 신호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GPS 신호 또는 상기 수거통 서치 요청 신호를 참조로 하여 실제 지역에 대응되는 GPS 맵 상에서의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위치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제1 구역 내지 상기 제n 구역 중에서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결정되는 제1 특정 구역의 제1 분리수거 현황 내지 제m - 상기 m은 1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n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임 - 특정 구역의 제m 분리수거 현황 - 상기 분리수거 현황은 사용 가능한 분리수거통 개수, 사용 가능한 분리수거통 종류, 각 구역의 쓰레기 축적량 정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함 - 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GPS 맵 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b)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상기 제1 특정 구역 내지 상기 제m 특정 구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분리수거통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특정 구역 내지 상기 제m 특정 구역 중 선택 구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분리수거통 내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k 분리수거통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상기 수거통 위치 정보와 상기 쓰레기 축적량 정보를 상기 GPS 맵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Int. CL G06Q 50/26 (2012.01.01) G06Q 50/10 (2012.01.01) G06Q 10/00 (2023.01.01) G06Q 10/04 (2023.01.01) H04W 4/38 (2018.01.01) H04W 4/02 (2018.01.01) G01S 19/14 (2010.01.01) G16Y 20/10 (2020.01.01) G16Y 20/20 (2020.01.01) G08B 21/18 (2006.01.01) B65F 1/14 (2006.01.01)
CPC G06Q 50/26(2013.01) G06Q 50/10(2013.01) G06Q 10/30(2013.01) G06Q 10/04(2013.01) H04W 4/38(2013.01) H04W 4/02(2013.01) G01S 19/14(2013.01) G16Y 20/10(2013.01) G16Y 20/20(2013.01) G08B 21/182(2013.01) B65F 1/14(2013.01) B65F 2210/12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020469 (2022.02.16)
출원인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123583 (2023.08.24)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작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상준 부산광역시 동래구
2 박예찬 서울특별시 금천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길 **, *층(역삼동, 케이앤와이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2.16 수리 (Accepted) 1-1-2022-0176493-6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분리수거 환경 개선을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IoT(Internet of Things) 기반 분리수거통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a) 제1 분리수거타겟존번들 내지 제n - 상기 n은 2 이상의 정수임 - 분리수거타겟존번들 각각이 제1 타입 재활용 쓰레기를 취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분리수거통 내지 제k - 상기 k는 2 이상의 정수임 - 타입 재활용 쓰레기를 취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k 분리수거통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분리수거타겟존번들이 배치된 제1 구역 내지 상기 제n 분리수거타겟존번들이 배치된 제n 구역 각각에서 상기 제1 분리수거통 내지 상기 제k 분리수거통 중 적어도 일부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된 이격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분리수거통 관리 서버가 (i) 상기 제1 분리수거타겟존번들 내지 상기 제n 분리수거타겟존번들 각각의 상기 제1 분리수거통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IoT 센서와 상기 제k 분리수거통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k IoT 센서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1 분리수거통 내지 상기 제k 분리수거통 각각에 대한 수거통 위치 정보와 쓰레기 축적량 정보를 획득하고, (ii)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거통 서치 요청 신호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GPS 신호 또는 상기 수거통 서치 요청 신호를 참조로 하여 실제 지역에 대응되는 GPS 맵 상에서의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위치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제1 구역 내지 상기 제n 구역 중에서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결정되는 제1 특정 구역의 제1 분리수거 현황 내지 제m - 상기 m은 1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n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임 - 특정 구역의 제m 분리수거 현황 - 상기 분리수거 현황은 사용 가능한 분리수거통 개수, 사용 가능한 분리수거통 종류, 각 구역의 쓰레기 축적량 정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함 - 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GPS 맵 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b)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상기 제1 특정 구역 내지 상기 제m 특정 구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분리수거통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특정 구역 내지 상기 제m 특정 구역 중 선택 구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분리수거통 내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k 분리수거통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상기 수거통 위치 정보와 상기 쓰레기 축적량 정보를 상기 GPS 맵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c) 상기 분리수거통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분리수거타겟존번들 내지 상기 제n 분리수거타겟존번들 각각의 상기 제1 분리수거통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IoT 센서와 상기 제k 분리수거통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k IoT 센서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획득한 상기 수거통 위치 정보와 상기 쓰레기 축적량 정보를 제t 시간 구간에 대해 종합하여 상기 제1 구역 내지 상기 제n 구역 각각의 구역별 쓰레기 배출 패턴 - 상기 구역별 쓰레기 배출 패턴은 상기 제1 구역 내지 상기 제n 구역 각각에서의 총 재활용 쓰레기 배출량, 재활용 쓰레기 타입별 쓰레기 축적량, 최대 배출량을 보이는 최대 배출 재활용 쓰레기 타입과 이에 대응하는 쓰레기 축적량, 최소 배출량을 보이는 최소 배출 재활용 쓰레기 타입과 이에 대응하는 쓰레기 축적량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함 - 을 획득하고, 상기 구역별 쓰레기 배출 패턴을 참조로 쓰레기 축적량 예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t 시간 구간에 후행하는 제(t+1) 시간 구간에 대해 상기 제1 구역 내지 상기 제n 구역 각각에서의 재활용 쓰레기 타입별 예측 쓰레기 축적량을 산출하고, 상기 재활용 쓰레기 타입별 예측 쓰레기 축적량을 참조로 하여 상기 제(t+1) 시간 구간에 대해 적용할 상기 제1 구역 내지 상기 제n 구역 각각의 상기 제1 분리수거통의 제1 조정 개수 내지 상기 제n 분리수거통의 제n 조정 개수와 분리수거통 간 조정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3
제2항에 있어서,(d) 상기 제(t+1)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구역별 쓰레기 배출 패턴을 획득하면, 상기 분리수거통 관리 서버가, (i) 상기 제(t+1)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구역별 쓰레기 배출 패턴에 포함된 재활용 쓰레기 타입별 쓰레기 축적량을 그라운드 트루스(ground truth)로서 결정하고, 상기 그라운드 트루스와 상기 재활용 쓰레기 타입별 예측 쓰레기 축적량을 참조로 하여 재활용 쓰레기 타입별 로스를 계산하고, (ii) 상기 재활용 쓰레기 타입별 로스를 이용하여 상기 쓰레기 축적량 예측 파라미터를 학습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분리수거통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분리수거통 내지 상기 제k 분리수거통 각각에 대해 제1 축적량 임계치 내지 제i - 상기 i는 1 이상의 정수임 - 축적량 임계치를 설정한 상태에서, (i) 상기 제1 분리수거타겟존번들 내지 상기 제n 분리수거타겟존번들 각각의 상기 제1 분리수거통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IoT 센서와 상기 제k 분리수거통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k IoT 센서 - 상기 상기 제1 IoT 센서 내지 상기 제k IoT 센서는 내용물의 축적을 감지하기 위한 무게 센서, 물체 감지 센서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함 -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축적 내용물에 대해 감지된 축적 내용물 무게 정보 및 축적 내용물 높이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1 분리수거통 내지 상기 제k 분리수거통 각각에 대한 상기 쓰레기 축적량 정보를 획득하고, (ii) 상기 쓰레기 축적량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1 분리수거통 내지 상기 제k 분리수거통 중 적어도 일부 각각에 대해 상기 축적 내용물이 상기 제1 축적량 임계치 내지 제(i-1) 축적량 임계치에 도달함이 확인될 때마다, 제1 축적량 임계치 도달 신호 내지 제(i-1) 축적량 임계치 도달 신호를 각각 생성하고, 상기 제1 축적량 임계치 내지 제(i-1) 축적량 임계치에 도달함이 확인되는 중간스테이지 분리수거통이 포함된 중간스테이지 분리수거타겟존번들을 관리하는 중간스테이지 관리자 단말에 상기 제1 축적량 임계치 도달 신호 내지 상기 제(i-1) 축적량 임계치 도달 신호를 전송하며, (iii) 상기 쓰레기 축적량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1 분리수거통 내지 상기 제k 분리수거통 중 적어도 일부 각각에 대해 상기 축적 내용물이 상기 제i 축적량 임계치에 도달함을 확인하면, 상기 제i 축적량 임계치에 도달함이 확인되는 최종스테이지 분리수거통의 해당 IoT 센서에 입구 폐쇄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최종스테이지 분리수거통의 입구가 폐쇄되도록 하고, 제i 축적량 임계치 도달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최종스테이지 분리수거통이 포함된 최종스테이지 분리수거타겟존번들을 관리하는 최종스테이지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최종스테이지 관리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최종스테이지 분리수거통에 대한 쓰레기 수거 후 수거 확인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분리수거통 관리 서버는, (i) 상기 제1 분리수거 현황 내지 상기 제m 분리수거 현황에 포함된 상기 사용 가능한 분리수거통 개수, 상기 사용 가능한 분리수거통 종류, 상기 쓰레기 축적량 정도 중 적어도 일부를 구별하여 나타내기 위한 형상, 모양, 색깔,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성되는 제1 이모티콘 카테고리를 통해 상기 제1 분리수거 현황 내지 상기 제m 분리수거 현황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GPS 맵 상에 표시하고, (ii) 상기 제1 특정 구역 내지 상기 제m 특정 구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 구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분리수거통 내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k 분리수거통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상기 수거통 위치 정보와 상기 쓰레기 축적량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구별하여 나타내기 위한 형상, 모양, 색깔,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성되는 제2 이모티콘 카테고리를 통해 상기 수거통 위치 정보와 상기 쓰레기 축적량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GPS 맵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