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철도 설비의 가상 시운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에너지저장장치의 운영 방법

  • 기술번호 : KST2023006652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철도 설비를 가상으로 시운전하여 현장 시험없이 사전검증하기 위해 철도 설비의 가상 시운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에너지저장장치의 운영 방법이 개시된다. 철도 설비의 가상 시운전 시스템은 실시간 시뮬레이터, 전장품 제어기 하드웨어 및 컨버젼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간 시뮬레이터는 사용자 컴퓨터의 운용 체제 하에서 구현되는 실시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되, 실제 시간과 동일한 구현시간을 보이도록 설정된다. 상기 전장품 제어기 하드웨어는 철도 설비를 구성하는 전장품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컨버젼 인터페이스는 광/전기 신호 변환 기능, 전압변환 기능 및 커넥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고서, 상기 실시간 시뮬레이터와 상기 전장품 제어기 하드웨어 간을 연계한다. 이에 따라, 철도 시스템 내 전장품의 안전한 반복 시험 및 분석을 위해, 랩실 규모로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실시간 시뮬레이터 및 전장품 제어기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HILS 시스템을 구축하여 가상 시운전을 수행하므로써, 철도 설비에 대해 현장 시험 혹은 최종 완성 제품 없이 사전에 운영알고리즘을 검증할 수 있고, 전기 설비의 활용 목적에 따라 대상 전력 설비의 운용 효율성을 성능 평가할 수 있다.
Int. CL B61L 27/60 (2022.01.01) G01R 31/00 (2006.01.01)
CPC B61L 27/60(2013.01) G01R 31/00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10188261 (2021.12.27)
출원인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099145 (2023.07.04)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02.04)
심사청구항수 1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대한민국 경기도 의왕시 철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재원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
2 조환희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3 김형철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민태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 *층 **세기특허법률사무소 (역삼동, 세일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12.27 수리 (Accepted) 1-1-2021-1506556-38
2 [심사청구]심사청구서·우선심사신청서
2022.02.04 수리 (Accepted) 1-1-2022-0127817-26
3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2.09.15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사용자 컴퓨터의 운용 체제 하에서 구현되는 실시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되, 실제 시간과 동일한 구현시간을 보이도록 설정된 실시간 시뮬레이터; 철도 설비를 구성하는 전장품 제어기를 포함하는 전장품 제어기 하드웨어; 및 광/전기 신호 변환 기능, 전압변환 기능 및 커넥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고서, 상기 실시간 시뮬레이터와 상기 전장품 제어기 하드웨어 간을 연계하는 컨버젼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설비의 가상 시운전 시스템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제어기 하드웨어는 철도 차량의 제동시 발생하는 회생 에너지를 저장하고 필요시 공급하는 하이브리드 에너지저장장치의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설비의 가상 시운전 시스템
3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에너지저장장치는, 슈퍼커패시터 및 배터리 저장매체와 상기 저장매체를 관리하는 관리시스템으로 구성된 에너지 저장팩 및 회생 에너지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고 필요시 다시 활용할 수 있도록 전력전자 스위칭 소자를 통해 에너지를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설비의 가상 시운전 시스템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시뮬레이터는, DC-DC 컨버터의 스위칭 소자의 동작을 가상 모의하는 전력변환장치 가상화 모듈; 및 슈퍼커패시터 및 배터리 각각에 대한 소프트웨어 모델링에 의해 에너지 저장매체 가상화가 구현된 슈퍼커패시터 기반 에너지저장장치(Super Capacitor Energy Storage System, 이하, SCES)의 가상화 모듈과 배터리 기반 에너지저장장치(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이하, BESS)의 가상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설비의 가상 시운전 시스템
5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모델링은 온도별 충방전에 따른 전압-시간 실험데이터인 실제 측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커브 피팅법으로 온도별 전압곡선을 얻어 기본 셀 모델링에 적용하고 기본 셀을 직병렬 구조로 배열하여 용량가변이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설비의 가상 시운전 시스템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젼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전장품 제어기를 대상으로 모의하기 위해 제어기와 시뮬레이터 간 신호 변환, 전압 변동, 커넥터 형태 변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설비의 가상 시운전 시스템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 가상화 모듈은 슈퍼커패시터 또는 배터리에 대한 충방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DC-DC 컨버터의 제어기 하드웨어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설비의 가상 시운전 시스템
8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시뮬레이터에 연결되어, 실제 신호 파형을 계측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설비의 가상 시운전 시스템
9 9
(a) 시간(t)과 총전력(Ptot)을 초기화하는 단계; (b) 상기 시간(t)을 일정 시간씩 증가시키는 단계; (c)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서브전력(Psub)과 교류전력(PAC)에 기초하여 총전력(Ptot)을 산출하는 단계; (d) 관리기준 피크전력(Ppeak)이 시간(t) 동안의 평균전력(Ptot/t)보다 큰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e) 상기 관리기준 피크전력(Ppeak)이 상기 평균전력(Ptot/t)보다 큰 것으로 체크되면, 보상전력(PEM) 생성 동작을 미수행하는 단계; (f) 상기 관리기준 피크전력(Ppeak)이 상기 평균전력(Ptot/t)보다 같거나 작은 것으로 체크되면, 보상전력(PEM)을 산출하는 단계; (g)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BESS)의 출력전력(PBESS)이 0보다 큰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h) 상기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BESS)의 출력전력(PBESS)이 0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현재의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BESS)의 출력전력(PBESS)을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BESS)의 기준전력(P*BESS)으로 정의하는 단계; (i) 상기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BESS)의 출력전력(PBESS)이 0보다 큰 것으로 체크되면, 입력되는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BESS)의 출력전력(PBESS)과 보상전력(PEM)을 합산하여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BESS)의 기준전력(P*BESS)으로 정의하는 단계; (j) 상기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BESS)의 기준전력(P*BESS)을 외부로 출력하는 단계; (k) 현재까지의 연산시간이 설정시간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l) 단계(k)에서 현재까지의 연산시간이 상기 설정시간이 아닌 것으로 체크되면 단계(b)로 피드백하는 단계; 및 (m) 단계(k)에서 현재까지의 연산시간이 상기 설정시간인 것으로 체크되면 단계(a)로 피드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설비의 가상 시운전 시스템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에너지저장장치의 운영 방법
10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시간이 900초이면, 상기 보상전력(PEM)은, 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설비의 가상 시운전 시스템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에너지저장장치의 운영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