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연료전지용 복합 촉매 및 그 제조 방법

  • 기술번호 : KST2023007195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전이금속 탄화물을 포함하는 자이로이드 구조의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의 표면에 단일 원자로 분산된 귀금속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촉매에 관한 것이다.
Int. CL H01M 4/90 (2006.01.01) H01M 4/86 (2006.01.01) H01M 8/083 (2016.01.01)
CPC H01M 4/90(2013.01) H01M 4/9058(2013.01) H01M 4/9075(2013.01) H01M 4/9041(2013.01) H01M 4/8647(2013.01) H01M 8/083(2013.01) Y02E 60/50(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022344 (2022.02.21)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125577 (2023.08.29)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02.21)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진우 대전광역시 유성구
2 박진규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태평양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 *층(다동, 예금보험공사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2.21 수리 (Accepted) 1-1-2022-0192037-33
2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3.01.31 수리 (Accepted) 4-1-2023-5023571-05
3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3.05.04 수리 (Accepted) 4-1-2023-5110236-3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전이금속 탄화물을 포함하는 자이로이드 구조의 지지체; 및상기 지지체의 표면에 단일 원자로 분산된 귀금속;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촉매
2 2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전이금속 탄화물과 상기 귀금속이 탄소-금속 결합에 의해 연결된 단일 복합체로서 존재하고 있는 것인, 연료전지용 복합 촉매
3 3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전이금속 탄화물은 수산화 이온의 흡착점(adsorption site)을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귀금속은 수소 원자의 흡착점을 제공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복합 촉매
4 4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전이금속은 텅스텐(W), 니켈(Ni), 코발트(Co) 및 철(F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복합 촉매
5 5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전이금속 탄화물은 WC, WC2 또는 WC1-x(0003c#x003c#1)로 나타내는 텅스텐 탄화물을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복합 촉매
6 6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귀금속은 루테늄(Ru), 팔라듐(Pd), 이리듐(Ir) 및 로듐(Rh)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복합 촉매
7 7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귀금속은 백금(Pt)을 포함하지 않는 것인, 연료전지용 복합 촉매
8 8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전이금속 탄화물은 비표면적이 60 m2/g 내지 100 m2/g인 것인, 연료전지용 복합 촉매
9 9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지지체와 상기 귀금속의 합계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서, 상기 귀금속이 4 중량%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인, 연료전지용 복합 촉매
10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의 연료전지용 복합 촉매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
11 11
청구항 10의 연료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12 12
청구항 11에 있어서,음이온 교환막 연료전지(ani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인 것인, 연료전지
13 13
i) 전이금속 산화물에 귀금속 전구체를 혼합시키는 단계;ii)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과 귀금속 전구체의 혼합물, 및 시안기와 아미딘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열처리하여서,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 유래의 전이금속 탄화물을 포함하는 자이로이드 구조의 지지체의 표면에 상기 귀금속 전구체 유래의 귀금속을 단일 원자로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촉매의 제조 방법
14 14
청구항 13에 있어서,상기 전이금속은 텅스텐(W), 니켈(Ni), 코발트(Co) 및 철(F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복합 촉매의 제조 방법
15 15
청구항 13에 있어서,상기 전이금속 탄화물은 WC, WC2 또는 WC1-x(0003c#x003c#1)로 나타내는 텅스텐 탄화물을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복합 촉매의 제조 방법
16 16
청구항 13에 있어서,상기 귀금속은 루테늄(Ru), 팔라듐(Pd), 이리듐(Ir) 및 로듐(Rh)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복합 촉매의 제조 방법
17 17
청구항 13에 있어서,상기 i) 단계 이전에, (a) 전이금속 산화물 전구체를 산화시켜 전이금속 산화물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 촉매의 제조 방법
18 18
청구항 13에 있어서,상기 시안기와 아미딘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시아노아미딘(cyanoamidine), 시아노아세트아미딘(cyanoacetamidine), 시아노클로로아세트아미딘(cyanocholoro acetamidine), 디시안디아미드(dicyandiamide), 메틸시아노구아니딘(methylcyanoguanidine), 3-메틸시아노구아니딘(3-methylcyanoguanidine) 및 구아니딘 시아네이트(guanidine cya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 촉매의 제조 방법
19 19
청구항 13에 있어서,상기 전이금속 탄화물의 탄소 원자는 상기 시안기와 아미딘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에서 유래된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 촉매의 제조 방법
20 20
청구항 13에 있어서,상기 ii) 단계에서 상기 귀금속이 단일 원자로 분산되는 것은 상기 시안기와 아미딘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유래의 암모니아 기체에 의한 것인, 연료전지용 전극 촉매의 제조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원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R&D) 고체알칼리막 연료전지용 고활성, 고내구성을 가지는 저가형 비귀금속 합금 산화극 촉매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원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다공소재 계층화 시스템 기반 차세대 에너지저장 및 전환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식회사 더카본스튜디오 나노·소재기술개발(R&D) 저온 공정을 기반으로한 고결정성의 다공성 탄소 담지체 합성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