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의료기관용 스마트밴드 및 환자감시 시스템

  • 기술번호 : KST2023007514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의료기관용 스마트밴드 및 환자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밴드는 의료기관 내의 환자가 패용하며, 의료기관의 서로 다른 실내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서버와 통신하는 임베디드 기반의 다수의 단말 중에 적어도 하나와 무선 연결되는 환자용 스마트밴드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스마트밴드를 이용하여 환자 상태 데이터를 측정하고 측정된 환자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료진이 비대면으로 환자에 대한 감시 및 진단하며, 진단에 이용된 의료데이터를 자동으로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에 연동하여 기록할 수 있다.
Int. CL A61B 5/00 (2021.01.01) A61B 5/0205 (2006.01.01) G16H 10/60 (2018.01.01) G16H 40/67 (2018.01.01)
CPC A61B 5/0024(2013.01) A61B 5/002(2013.01) A61B 5/02055(2013.01) A61B 5/681(2013.01) A61B 5/747(2013.01) A61B 5/0008(2013.01) A61B 5/0006(2013.01) A61B 5/14551(2013.01) A61B 5/332(2013.01) A61B 5/7405(2013.01) G16H 10/60(2013.01) G16H 40/67(2013.01) A61B 2560/0209(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024404 (2022.02.24)
출원인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127414 (2023.09.0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02.24)
심사청구항수 2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기태 경기도 구리시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이룸리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평대로 ***, *층 (반포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2.24 수리 (Accepted) 1-1-2022-0210274-60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의료기관 내의 환자가 패용하며, 의료기관의 서로 다른 실내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서버와 통신하는 임베디드 기반의 다수의 단말 중에 적어도 하나와 무선 연결되는 환자용 스마트밴드로서,상기 환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상기 환자의 광적용맥파(photoplethysmogram, PPG)을 기반으로 상기 환자의 심박을 측정하는 심박센서;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표시데이터를 표시하되, 상기 환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시간, 달력, 문자, 음악컨트롤 및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중 적어도 하나의 편의 기능을 표시하며, 상기 체온 및 상기 심박의 측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상기 다수의 단말의 무선 통신 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상기 환자의 실내 위치의 단말에 접속하여, 접속된 단말과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 및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온도센서, 상기 심박센서 및 상기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측정된 상기 체온 및 심박에 대한 환자 상태 데이터를 상기 환자의 식별정보(ID)와 함께 상기 접속된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밴드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환자의 혈중 산소포화도(SPO2)를 측정하는 제1 의료기기나, 상기 환자의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를 측정하는 제2 의료기기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 단자를 포함하며,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단자를 통해 연결된 상기 제1 의료기기 또는 상기 제2 의료기기에서 측정되는 상기 SPO2 또는 상기 ECG를 상기 환자의 식별정보(ID)와 함께 상기 의료기관의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스마트밴드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환자의 선택에 따라 야간 전등용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 모듈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밴드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동안 상기 터치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의 화면 표시를 OFF하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하며, 상기 슬립 모드 중에 상기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환자의 바코드, 이름 및 ID를 디폴드 화면으로 표시하는 스마트밴드
5 5
제1항에 있어서,응급상황의 발생을 알리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응급상황 신호를 상기 환자의 ID와 함께 상기 접속된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상기 접속된 단말은 자신의 ID인 단말 ID, 상기 환자의 ID 및 상기 응급상황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며,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 ID를 기반으로 상기 환자의 위치를 파악하며, 의료진이 패용하여 상기 다수의 단말 중에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의료진용 스마트밴드로 파악된 환자 위치 및 상기 환자의 ID를 전송하는 스마트밴드
6 6
제5항에 있어서,상기 환자의 제1 소리 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 및상기 의료진용 스마트밴드의 마이크에서 생성된 상기 의료진의 제2 소리 신호를 재생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상기 서버는 상기 접속된 단말과 상기 의료진용 스마트밴드에 연결된 단말의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소리 신호를 전달하는 스마트밴드
7 7
제1항에 있어서,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녹창 크기를 측정하는 레이저 측정기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밴드
8 8
의료기관 내의 환자가 패용하며, 다수의 단말 중에 적어도 하나와 무선 연결되는 환자용 스마트밴드; 및의료기관의 서로 다른 실내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서버와 통신하며,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에 연결된 단말의 경우에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임베디드 기반의 상기 다수의 단말;을 포함하며,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는,상기 환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상기 환자의 광적용맥파(photoplethysmogram, PPG)을 기반으로 상기 환자의 심박을 측정하는 심박센서;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표시데이터를 표시하되, 상기 환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시간, 달력, 문자, 음악컨트롤 및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중 적어도 하나의 편의 기능을 표시하며, 상기 체온 및 상기 심박의 측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상기 다수의 단말의 무선 통신 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상기 환자의 실내 위치의 단말에 접속하여, 접속된 단말과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 및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온도센서, 상기 심박센서 및 상기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측정된 상기 체온 및 심박에 대한 환자 상태 데이터를 상기 환자의 식별정보(ID)와 함께 상기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9 9
제8항에 있어서,상기 각 단말은 동일 공간 내의 서로 다른 환자가 패용한 복수개의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와 동시에 연결 가능한 시스템
10 10
제8항에 있어서,상기 접속된 단말은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의료 데이터 관리 및 전송에 관한 표준 프로토콜 방식으로 변환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시스템
11 11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접속된 단말은 의료기기와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파이(WIFI) 방식으로 연결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환자에 대해 상기 의료기기에서 측정된 상기 체온 및 상기 심박 외의 환자 상태 데이터를 상기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방식을 통해 상기 의료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와 상기 환자의 ID를 의료 데이터 관리 및 전송에 관한 표준 프로토콜 방식에 따라 변환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시스템
12 12
제11항에 있어서,상기 다수의 단말과 다른 실내 위치에 배치된 의료진용 컴퓨터와, 상기 서버에 각각 설치되는 원격 감시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며,상기 서버는 상기 접속된 단말이 전송한 상기 환자용 스마트 밴드 또는 상기 의료기기의 전송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의료진용 컴퓨터가 전송한 데이터를 상기 접속된 단말로 전송하며,상기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상기 환자의 ID 및 상기 환자 상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경우에 수신된 상기 환자 상태 데이터에 대한 실시간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의료진용 컴퓨터 또는 상기 서버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써 의료진에게 실시간 감시 기능을 제공하고,상기 접속된 단말은 상기 원격 감시 프로그램의 전송 데이터를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로 전송하는 시스템
13 13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에 대한 설정 사항의 데이터를 상기 서버 및 상기 접속 단말을 거쳐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로 전송하며,상기 설정 사항의 데이터는 상기 환자 상태 데이터의 측정시간 및 측정횟수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 상기 단말 및 상기 원격 감시 프로그램 간의 시간 동기화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14 14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상기 환자의 ID 및 상기 환자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수신된 상기 환자의 ID에 따른 수신된 상기 환자 상태 데이터를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에 연동하여 기록하는 시스템
15 15
제12항에 있어서,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 및 상기 접속된 단말 간의 무선 통신 신호 세기가 일정 이하에 도달하면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 및 상기 접속된 단말 간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고,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동안 터치 입력이 없는 경우에 상기 터치 스크린의 화면 표시를 OFF하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하면서 상기 슬립 모드 전환을 알리는 슬립 모드 알림 데이터를 상기 환자의 ID와 함께 상기 접속된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상기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상기 슬립 모드 알림 데이터, 상기 통신 연결 해제 여부 및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상기 환자의 수면 여부를 판단하며,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의 움직임은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에 대한 상기 접속된 단말의 변경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시스템
16 16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인공지능(AI) 기법에 따라 수신된 상기 환자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환자의 응급상황을 판단하고, 응급상황 발생의 판단 시에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시스템
17 17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AI 기법에 따라 수신된 상기 환자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환자의 의심질환을 판단하는 시스템
18 18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상기 접속된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환자의 병실 이탈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환자의 병실 이탈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환자에게 의료 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경우에 병실 입실 요청에 대한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며,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 및 상기 접속된 단말을 거쳐 전송된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
19 19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투약시간, 의료진 회진시간, 검사시간 및 검사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며,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 및 상기 접속된 단말을 거쳐 전달된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
20 20
제8항에 있어서,상기 각 단말은 자신이 속하는 상기 실내 공간 내의 조명 또는 텔레비전과 연결되어 해당 기기에 대한 제어가 가능한 시스템
21 21
제8항에 있어서,상기 다수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는 병실 전면에 설치되며, 병실 명칭, 환자 성명 및 환자 성별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22 22
제8항에 있어서,상기 접속된 단말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기능을 내장한 와이파이(WiFi) 모듈을 포함하는 시스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