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인증 기관과 독립적으로 인증서 내의 인증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 기술번호 : KST2023007928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인증 기관과 독립적으로 인증서 내의 인증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인증서 기관(CA)이, 공개키(a public key) 대신에 식별자 정보가 삽입된 인증서(certificate)를 인증 주체인 오리진 서버(origin server)에게 발행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이, 상기 오리진 서버(origin server)로부터 수신한 상기 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외부 저장소로부터 식별자 다큐먼트를 불러오고, 상기 식별자 다큐먼트에 포함된 상기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서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t. CL H04L 9/40 (2022.01.01) H04L 9/32 (2006.01.01)
CPC H04L 63/0884(2013.01) H04L 9/3247(2013.01) H04L 63/0823(2013.01) H04L 9/3263(2013.01) G06F 16/95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030198 (2022.03.10)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133098 (2023.09.19)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08.09)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윤대근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지명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남부순환로**** 차우빌딩*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3.10 수리 (Accepted) 1-1-2022-0261140-35
2 [심사청구]심사청구서·우선심사신청서
2022.08.09 수리 (Accepted) 1-1-2022-0831706-36
3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3.06.16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4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3.08.1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23-0161195-72
5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3.08.3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3-0793068-15
6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3.09.06 1-1-2023-0985255-03
7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3.09.06 수리 (Accepted) 1-1-2023-0985257-9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인증서 기관이, 공개키 대신에 식별자 정보가 삽입된 인증서를 오리진 서버(origin server)에게 발행하는 단계; 및사용자 단말이, 상기 오리진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외부 저장소로부터 식별자 다큐먼트를 불러오고, 상기 식별자 다큐먼트에 포함된 상기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서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증 기관과 독립적으로 인증서 내의 인증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2 2
제1항에서,상기 인증서를 상기 오리진 서버에게 발행하는 단계는,상기 오리진 서버가 상기 인증 기관에게 상기 식별자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상기 인증 기관이 상기 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저장소로부터 상기 식별자 다큐먼트에 포함된 상기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자 정보의 소유권을 검증하는 단계;상기 식별자 정보의 소유권이 검증되면, 상기 인증서에 상기 식별자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 및상기 식별자 정보가 삽입된 상기 인증서를 상기 오리진 서버에게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증 기관과 독립적으로 인증서 내의 인증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3 3
제2항에서,상기 식별자 정보의 소유권을 검증하는 단계는,상기 식별자 다큐먼트에 명시된 공개키를 이용하여 검증하는 단계인 것인 인증 기관과 독립적으로 인증서 내의 인증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4 4
제2항에서,상기 인증서에 상기 식별자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는,X
5 5
제2항에서,상기 인증서에 상기 식별자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는,X
6 6
제1항에서,상기 식별자 정보는 상기 식별자 다큐먼트를 가리키는 URI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인증 기관과 독립적으로 인증서 내의 인증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7 7
제1항에서,상기 외부 저장소는,탈중앙화된 저장소(Decentralized Storage) 또는 분산 저장소(Distributed storage)인 것인 인증 기관과 독립적으로 인증서 내의 인증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8 8
제1항에서,상기 인증서를 검증하는 단계는,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인증서에 대한 검증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제1 메시지를 상기 오리진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상기 오리진 서버가 상기 제1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저장소로부터 식별자 다큐먼트를 불러오는 단계; 및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식별자 다큐먼트에 포함된 상기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서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증 기관과 독립적으로 인증서 내의 인증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9 9
제8항에서, 상기 제1 메시지는 The Transport Layer Security (TLS) Version 1
10 10
제1항에서,상기 인증서를 상기 오리진 서버에게 발행하는 단계 이전에,상기 인증서 기관이, 상기 식별자 다큐먼트를 관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상기 외부 저장소에 전송하여 설치하는 단계;상기 오리진 서버가, 정해진 양식에 따라 상기 공개키를 포함하는 상기 식별자 다큐먼트를 생성하는 단계;상기 외부 저장소에 설치된 상기 소프트웨어가, 상기 오리진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식별자 다큐먼트에 포함된 상기 공개키에 대응하는 비밀키의 소유권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상기 외부 저장소에 설치된 상기 소프트웨어가, 상기 비밀키의 소유권에 대한 검증이 확인되면, 상기 식별자 다큐먼트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증 기관과 독립적으로 인증서 내의 인증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11 11
제10항에서,상기 소프트웨어는,상기 식별자 다큐먼트에 대한 CRUD 기능을 제공하는 것인 인증 기관과 독립적으로 인증서 내의 인증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12 12
제10항에서,상기 식별자 다큐먼트를 생성하는 단계는,상기 공개키를 기록하기 위한 제1 필드, 상기 식별자 다큐먼트의 수정 권한을 기록하기 위한 제2 필드 및 웹 서비스 업체의 URL을 기록하기 위한 제3 필드를 포함하는 상기 식별자 다큐먼트를 생성하는 단계인 것인 인증 기관과 독립적으로 인증서 내의 인증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13 13
제10항에서,상기 식별자 다큐먼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자 다큐먼트에 포함된 상기 공개키에 대응하는 비밀키의 소유권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 사이에서, 상기 오리진 서버가, 상기 식별자 다큐먼트의 등록 요청 메시지를 상기 외부 저장소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는,상기 식별자 다큐먼트의 해시값을 상기 식별자 다큐먼트에 명시된 공개키에 대응하는 비밀키로 서명한 값을 포함하는 것인 인증 기관과 독립적으로 인증서 내의 인증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14 14
인증서 기관(CA)이, 공개키 대신에 분산 식별자(Decentralized Identifier: DID)가 삽입된 인증서를 오리진 서버에게 발행하는 단계; 및사용자 단말이, 상기 오리진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DID를 기반으로 데이터 저장소로부터 DID 다큐먼트를 불러오고, 상기 DID 다큐먼트에 포함된 상기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서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오리진 서버가, 상기 DID 다큐먼트에 포함된 공개키의 추가, 수정 또는 폐기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데이터 저장소로 전송하는 단계; 및상기 데이터 저장소가,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DID 다큐먼트에 포함된 공개키를 추가, 수정 또는 폐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증 기관과 독립적으로 인증서 내의 인증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15 15
제14항에서,상기 DID 다큐먼트에 포함된 공개키를 추가, 수정 또는 폐기하는 단계는,상기 데이터 저장소가, 상기 식별자 다큐먼트에 대한 CRUD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DID 다큐먼트에 포함된 공개키를 추가, 수정 또는 폐기하는 단계인 것인 인증 기관과 독립적으로 인증서 내의 인증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16 16
제14항에서,상기 DID는 상기 공개키의 위치를 가리키는 URI인 것인 인증 기관과 독립적으로 인증서 내의 인증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17 17
인증 기관으로부터 공개키 대신에 분산 식별자(DID)가 삽입된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기반의 인증서를 수신하는 오리진 서버; 및상기 오리진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DID에 따라 검증 가능한 데이터 저장소(Verifiable Data Registry)로부터 DID 다큐먼트를 불러오고, 상기 DID 다큐먼트에 포함된 상기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서를 검증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인증 기관과 독립적으로 인증서 내의 인증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18 18
제17항에서,상기 DID 다큐먼트는,상기 공개키가 기록된 제1 필드, 상기 DID 다큐먼트의 수정 권한이 기록된 제2 필드 및 웹 서비스 업체의 URL이 기록된 제3 필드를 포함하는 것인 인증 기관과 독립적으로 인증서 내의 인증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19 19
제17항에서,상기 DID는,상기 DID 다큐먼트를 가리키는 URI인 것인 인증 기관과 독립적으로 인증서 내의 인증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20 20
제17항에서,상기 DID는,상기 공개키의 위치를 가리키는 URI인 것인 인증 기관과 독립적으로 인증서 내의 인증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부출연금사업(기관고유사업) 지능형 사이버 보안 및 신뢰 인프라 기술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