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역전사를 사용하지 않는 결찰 방법을 이용한 cDNA 합성 기반 표적 유전자 검출용 조성물 및 다중 결찰 보조 재조합효소 중합효소 증폭 방법

  • 기술번호 : KST2023008514
  • 담당센터 : 광주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62-360-4654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역전사를 사용하지 않는 결찰 방법을 이용한 cDNA 합성 기반 표적 유전자 검출용 조성물 및 다중 결찰 보조 재조합효소 중합효소 증폭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역전사 효소를 이용한 cDNA의 합성 없이 실온에서 30분 내외의 짧은 반응 시간만으로도 시각적 변화를 통하여 표적 유전자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RNA 바이러스 등의 현장 유전자 분자 진단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Int. CL C12Q 1/6862 (2018.01.01) C12Q 1/70 (2006.01.01)
CPC C12Q 1/6862(2013.01) C12Q 1/70(2013.01) C12Q 2527/101(2013.01) C12Q 2525/301(2013.01) C12Q 2565/301(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036576 (2022.03.24)
출원인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138683 (2023.10.05)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18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서영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2 최문혁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다해 대한민국 서울시 서초구 서운로**, ***호(서초동, 중앙로얄오피스텔)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3.24 수리 (Accepted) 1-1-2022-0317923-14
2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3.02.28 수리 (Accepted) 4-1-2023-5049578-11
3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3.07.31 수리 (Accepted) 4-1-2023-5197067-85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표적 유전자의 일부 염기서열과 상보적인 복수개의 주형 서열;리가아제(ligase); 고리매개 등온증폭(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시약; 및고리매개 등온증폭용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고,상기 복수개의 주형 서열이 모두 결찰(ligation)될 경우 상기 표적 유전자 전체 염기서열과 상보적인 것인 다중 결찰 보조 재조합효소 중합효소 증폭(mLig-RPA) 방법
2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주형 서열은 2 내지 10개인 것인 표적 유전자 검출용 조성물
3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 유전자는 20 내지 200개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것인 표적 유전자 검출용 조성물
4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가아제는 Splint R 리가아제인 것인 표적 유전자 검출용 조성물
5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매개 등온증폭용 프라이머 세트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으로 이루어진 것인 표적 유전자 검출용 조성물
6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 유전자의 일부 염기서열과 상보적인 복수개의 주형 서열은 서열번호 7 내지 서열번호 9로 이루어진 것인 표적 유전자 검출용 조성물
7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 유전자는 SARS-CoV-2 바이러스 유래 염기서열인 것인 표적 유전자 검출용 조성물
8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SARS-CoV-2 바이러스 유래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10인 것인 표적 유전자 검출용 조성물
9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표적 유전자 검출용 조성물:[화학식 1]
10 10
피검체로부터 생물학적 시료를 수득하는 단계;상기 시료에 표적 유전자의 일부 염기서열과 상보적인 복수개의 주형 서열 및 리가아제(ligase)를 첨가하여 주형 서열의 다중 결찰(multiple ligation)을 수행하는 단계;상기 다중 결찰된 주형 서열의 증폭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 및상기 주형 서열의 증폭 반응이 확인될 경우, 상기 피검체에 상기 표적 유전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검체로부터 표적 유전자의 존재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제공방법
11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주형 서열은 2 내지 10개인 것인 피검체로부터 표적 유전자의 존재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제공방법
12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 유전자는 20 내지 200개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것인 피검체로부터 표적 유전자의 존재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제공방법
13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결찰은 Splint R 리가아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인 피검체로부터 표적 유전자의 존재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제공방법
14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반응은 고리매개 등온증폭인 것인 피검체로부터 표적 유전자의 존재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제공방법
15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주형 서열은 서열번호 7 내지 서열번호 9로 이루어진 것인 피검체로부터 표적 유전자의 존재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제공방법
16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 유전자는 SARS-CoV-2 바이러스 유래 염기서열인 것인 피검체로부터 표적 유전자의 존재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제공방법
17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SARS-CoV-2 바이러스 유래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10인 것인 피검체로부터 표적 유전자의 존재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제공방법
18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반응의 확인은 상기 증폭 반응 전 또는 상기 증폭 반응 후,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첨가하여 증폭 산물의 색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피검체로부터 표적 유전자의 존재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제공방법:[화학식 1]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견연구 신호증폭 방법을 이용한 현장적용 가능한 분자진단 방법의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