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불균형도 기반 배터리 상태 판단 방법 및 전자 장치

  • 기술번호 : KST2023008525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일 실시예는,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복수의 셀들에 대해 각 셀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설정된 배터리 모델에 기반하여 상기 각 셀의 전압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전압과 상기 추정된 전압에 기반하여 각 셀의 용량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된 용량 및 상기 추정된 전압에 기반하여 각 셀의 불균형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한 불균형도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불균형도 기반 배터리 상태 판단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Int. CL G01R 31/367 (2019.01.01) G01R 31/396 (2019.01.01) G01R 31/36 (2019.01.01) G01R 31/392 (2019.01.01) G01R 31/382 (2019.01.01)
CPC G01R 31/367(2013.01) G01R 31/396(2013.01) G01R 31/3648(2013.01) G01R 31/392(2013.01) G01R 31/38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034553 (2022.03.21)
출원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136998 (2023.10.04)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03.21)
심사청구항수 1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백종복 대전광역시 유성구
2 배국열 대전광역시 유성구
3 강모세 대전광역시 유성구
4 박화평 대전광역시 유성구
5 김종훈 대전광역시 유성구
6 신승화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명신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 **층(도화동, 진도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3.21 수리 (Accepted) 1-1-2022-0300030-71
2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2.03.22 수리 (Accepted) 1-1-2022-0306523-1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복수의 셀들에 대해 각 셀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설정된 배터리 모델에 기반하여 상기 각 셀의 전압을 추정하는 단계;상기 측정된 전압과 상기 추정된 전압에 기반하여 각 셀의 용량을 추정하는 단계;상기 추정된 용량 및 상기 추정된 전압에 기반하여 각 셀의 불균형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상기 판단한 불균형도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불균형도 기반 배터리 상태 판단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셀의 불균형도를 판단하는 단계는,상기 추정된 용량 및 상기 추정된 전압의 분포 상 상대적인 밀도에 기반하여 상기 각 셀의 불균형도를 판단하는, 불균형도 기반 배터리 상태 판단 방법
3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셀의 불균형도를 판단하는 단계는,LOF(Local Outlier Factor)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상기 각 셀의 불균형도를 판단하는, 불균형도 기반 배터리 상태 판단 방법
4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셀의 불균형도를 판단하는 단계는,상기 LOF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산출된 LOF 값으로부터 SOF(State of Functionality)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불균형도 기반 배터리 상태 판단 방법
5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셀의 불균형도를 판단하는 단계는,설정된 SOC(State of Charge)의 범위 내에서 SOF(State of Functionality)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불균형도 기반 배터리 상태 판단 방법
6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셀의 불균형도를 판단하는 단계는,상기 계산된 각 셀의 SOF 값이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해당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이 불균형한 것으로 판단하는, 불균형도 기반 배터리 상태 판단 방법
7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상기 배터리 팩에 포함된 복수의 배터리 모듈들 중 불균형한 것으로 판단된 배터리 모듈의 개수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상태를 판단하는, 불균형도 기반 배터리 상태 판단 방법
8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델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델 파라미터값을 입력 받는, 불균형도 기반 배터리 상태 판단 방법
9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델 파라미터값은,상기 각 배터리 셀의 내부 저항 값을 포함하는, 불균형도 기반 배터리 상태 판단 방법
1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셀의 용량을 추정하는 단계는,EKF(Extended Kalman Filter)에 기반하여 용량을 추정하는, 불균형도 기반 배터리 상태 판단 방법
11 11
불균형도 기반 배터리 상태 판단을 위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복수의 셀들에 대해 각 셀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검출부;설정된 배터리 모델에 기반하여 상기 각 셀의 전압을 추정하고, 상기 측정된 전압과 상기 추정된 전압에 기반하여 각 셀의 용량을 추정하며, 상기 추정된 용량 및 상기 추정된 전압에 기반하여 각 셀의 불균형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한 불균형도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상태를 판단하는 컨트롤러; 및상기 컨트롤러에서 판단한 배터리 팩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상기 추정된 용량 및 상기 추정된 전압의 분포 상 상대적인 밀도에 기반하여 상기 각 셀의 불균형도를 판단하는, 전자 장치
13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LOF(Local Outlier Factor)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상기 각 셀의 불균형도를 판단하는, 전자 장치
14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상기 LOF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산출된 LOF 값으로부터 SOF(State of Functionality)를 계산하는, 전자 장치
15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설정된 SOC(State of Charge)의 범위 내에서 SOF(State of Functionality)를 계산하는, 전자 장치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ESS기술개발사업(R&D) 배터리 수명 향상과 모듈화가 가능한 다기능 ESS용 통합 운영 시스템 및 SW 고도화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