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미세플라스틱의 분리를 위한 흡착제와 분리방법

  • 기술번호 : KST2023008696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미세플라스틱의 분리를 위한 흡착제와 미세플라스틱의 분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미세플라스틱의 분리방법은, 미세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1용액 및 제2용액과 혼합하여 혼합액을 마련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플라스틱은 상기 제1용액보다 상기 제2용액과의 친화력이 높다; 상기 혼합액에 소수성 표면을 가지는 흡착제를 접촉시켜, 상기 흡착제에 상기 미세플라스틱을 흡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흡착제로부터 상기 플라스틱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t. CL B01D 17/02 (2006.01.01) B09C 1/08 (2006.01.01) C02F 1/28 (2006.01.01) B01J 20/02 (2006.01.01) B01J 20/28 (2006.01.01) B01J 20/32 (2006.01.01)
CPC B01D 17/0202(2013.01) B09C 1/08(2013.01) C02F 1/288(2013.01) C02F 1/281(2013.01) B01J 20/0225(2013.01) B01J 20/28054(2013.01) B01J 20/28009(2013.01) B01J 20/28011(2013.01) B01J 20/327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038784 (2022.03.29)
출원인 한국화학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140099 (2023.10.06)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03.29)
심사청구항수 17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화학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정민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2 정성미 경상남도 진주시 에나로***번길 **, **
3 박준우 경상남도 진주시 초장로**번길 **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인비전 특허법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 ,*층 (신천동, 대한제당)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3.29 수리 (Accepted) 1-1-2022-0337615-25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미세플라스틱을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미세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1용액 및 제2용액과 혼합하여 혼합액을 마련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플라스틱은 상기 제1용액보다 상기 제2용액과의 친화력이 높다;상기 혼합액에 소수성 표면을 가지는 흡착제를 접촉시켜, 상기 흡착제에 상기 미세플라스틱을 흡착시키는 단계; 및상기 흡착제로부터 상기 플라스틱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흡착제는 다공성이며, 표면 밀도는 200g/m2 내지 600g/m2인 방법
3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흡착제는,금속으로 이루어진 다공성 본체; 및상기 다공성 본체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수성 표면을 형성하는 소수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방법
4 4
제3항에 있어서,상기 다공성 본체는 자성을 가지고 있는 방법
5 5
제4항에 있어서,상기 다공성 본체는 니켈, 철 및 코발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방법
6 6
제3항에 있어서,상기 소수성 코팅층은 PDMS를 포함하는 방법
7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1용액은 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2용액은 오일을 포함하는 방법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혼합액은 수상과 오일상으로 분리되며, 상기 흡착제는 상기 오일상과 접촉하는 방법
9 9
제8항에 있어서,상기 오일은 미네랄 오일을 포함하는 방법
10 10
제7항에 있어서,상기 소수성 표면의 물 접촉각은 100° 내지 150°인 방법
11 11
제1항에 있어서,상기 혼합물은 토양을 포함하는 방법
12 12
제7항에 있어서,상기 흡착단계에서는 상기 미세플라스틱를 둘러싸는 상기 오일이 추가로 상기 흡착제에 흡착되며,상기 분리단계에서는,상기 흡착제를 분리용액과 접촉시키며,상기 분리용액과 상기 오일 간의 친화력은 상기 흡착제와 상기 오일 간의 친화력보다 큰 방법
13 13
제12항에 있어서,상기 분리용액은 에탄올을 포함하는 방법
14 14
미세플라스틱의 흡착을 위한 흡착제에 있어서,금속으로 이루어진 다공성 본체; 및상기 다공성 본체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수성 표면을 형성하는 소수성 코팅층을 포함하며,표면밀도는 200g/m2 내지 600g/m2인 흡착제
15 15
제14항에 있어서,상기 다공성 본체는 자성을 가지고 있는 흡착제
16 16
제15항에 있어서,상기 다공성 본체는 니켈, 철 및 코발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흡착제
17 17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소수성 코팅층은 PDMS를 포함하는 흡착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과학기술연구회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2차 미세플라스틱 환경오염 문제해결을 위한 융합솔루션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화학연구원부설 안전성평가연구소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살아있는 식물내 유해물질 비파괴적 실시간 검출용 스마트 식물 웨어러블 센서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