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티오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의 용도

  • 기술번호 : KST2023008744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티오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상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등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티오벤즈이미다졸 유도체는 암 세포에서 활성화되어 튜불린 중합 (tubulin polymerization)을 저해하며, 개체에 투여 시 암 세포 주기를 차단하고 세포사멸을 유도함으로써 세포 독성을 나타내는바, 암의 예방 또는 치료, 바람직하게는 HER-2 양성유방암 또는 삼중음성유방암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Int. CL C07D 409/12 (2006.01.01) A61K 31/4178 (2006.01.01) A61K 31/496 (2006.01.01) A61K 31/541 (2006.01.01) A61P 35/00 (2006.01.01) C07D 491/113 (2006.01.01) C07D 235/32 (2006.01.01) C07D 401/14 (2006.01.01) C07D 409/14 (2006.01.01) C07D 401/12 (2006.01.01) C07D 417/12 (2006.01.01)
CPC C07D 409/12(2013.01) A61K 31/4178(2013.01) A61K 31/496(2013.01) A61K 31/541(2013.01) A61P 35/00(2013.01) C07D 491/113(2013.01) C07D 235/32(2013.01) C07D 401/14(2013.01) C07D 409/14(2013.01) C07D 401/12(2013.01) C07D 417/1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30041000 (2023.03.29)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141601 (2023.10.10)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20039893   |   2022.03.30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3.03.29)
심사청구항수 1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서재홍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
2 남기달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3 김지영 서울특별시 구
4 김윤재 경기도 파주시 한빛로 **, ***
5 강용구 서울특별시 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무한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역삼동,화물재단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3.03.29 수리 (Accepted) 1-1-2023-0352868-01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오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화학식 1]상기 화학식 1에서,X는 C 또는 N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며,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OR4, -NR5R6,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20의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20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2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20의 헤테로아릴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술폰아마이드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R4는 C1-C12의 알킬기이고,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12알킬기, -(CH2)n-N(R4)2,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20의 아릴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20의 헤테로아릴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n은 0 내지 6의 정수임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화학식 1]에서, 치환된 사이클로알킬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또는 술폰아마이드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술포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카르보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하이드록시기 및 헤테로아릴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치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오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티오벤즈이미다졸 유도체는 하기 화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오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화학식 1-1][화학식 1-2][화학식 1-3][화학식 1-4][화학식 1-5][화학식 1-6][화학식 1-7][화학식 1-8][화학식 1-9][화학식 1-10][화학식 1-11][화학식 1-12][화학식 1-13][화학식 1-14][화학식 1-15][화학식 1-16] ,[화학식 1-17],[화학식 1-18],[화학식 1-19] 및[화학식 1-20]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티오벤즈이미다졸 유도체는 하기 화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오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화학식 1-1][화학식 1-6][화학식 1-7][화학식 1-8][화학식 1-9][화학식 1-10][화학식 1-11][화학식 1-12][화학식 1-13][화학식 1-14][화학식 1-15][화학식 1-16] 및[화학식 1-17]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티오벤즈이미다졸 유도체는 튜불린 중합 (tubulin polymerization)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오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티오벤즈이미다졸 유도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염산염, 브롬산염, 황산염, 인산염, 질산염, 구연산염, 초산염, 젖산염, 주석산염, 말레산염, 글루콘산염, 숙신산염, 포름산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옥살산염, 푸마르산염, 글루타르산염, 아디프산염, 메탄술폰산염, 벤젠술폰산염, 파라톨루엔술폰산염, 캠퍼술폰산염, 나트륨염, 칼륨염, 리튬염, 칼슘염, 및 마그네슘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오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티오벤즈이미다졸 유도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염산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오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8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티오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9
제8항에 있어서,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암 세포 주기를 중지 (cell cycle arrest)시켜 세포사멸 (apoptosis)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10
제8항에 있어서,상기 암은 피부암, 유방암, 자궁암, 식도암, 위암, 뇌 종양, 결장암, 직장암, 대장암, 폐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외음부암, 신장암, 혈액암, 췌장암, 전립선암, 고환암, 후두암, 두경부암, 갑상선암, 간암, 방광암, 골육종, 림프종, 혈액암, 흉선암, 요도암, 및 기관지암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1 11
제8항에 있어서,상기 암은 HER-2 양성유방암 또는 삼중음성유방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